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95-101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95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정혜은1, 이현식2
1신구대학교 치기공학과, 2연세고운미소치과 치과기공실
1Department of Dental Science & Technology, Health & Medical Field, Shingu College, Seongnam, Korea
2Yonsei Gounmiso Laboratory, Seongnam, Korea
Correspondence to :
Hyeeun Jeong
Department of Dental Science & Technology, Health & Medical Field, Shingu College, 377 Gwangmyeong-ro, Jungwon-gu, Seongnam 13174, Korea
E-mail: jhe@shingu.ac.kr
https://orcid.org/0000-0001-5011-440X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n effect on employment intention of satisfaction level as a basis for increasing the employment rate of dental technicians.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among 150 dental technology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7.0 (IBM).
Results: The students exhibi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4.20) and dental technology major (4.07). Further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to work in dental laboratories and satisfaction with a dental technology major (practice; r=0.437, p<0.05); clinical practice organization (r=0.682, p<0.05); and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r=0.650,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p<0.05) were also observed between clinical practice form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dental technology major, and school region (i.e., metropolitan are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dental technology major can contribute to increased employment rates among dental technicians by promoting their intention to work in the related industry.
Keywords: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mployment intention, Major satisfaction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교육 수준과 생활 수준이 꾸준히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1]. 특히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어 양질의 치과 의료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구강보건 인력의 중요성으로 이어지고 있다[2].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에서는 전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지만 학교 수업만으로 의료기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치기공(학)과의 임상실습은 학교 교육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과정이자 치과기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3,4]. 또한 임상실습이란 모든 교과를 통합하여 실습을 진행하는 것으로 이론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기본 원리를 현장에서 응용하는 방식으로 전문적 가치를 습득한다[1]. 따라서 전국 대부분의 대학 치기공(학)과에서는 졸업 후 의료기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임상실습 교과목을 정규교과목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5].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만족도를 임상실습 내용에 관한 만족도, 실습 과목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 등으로 나누었고, Kim [6]은 실습내용 및 방법, 실습지도, 실습환경, 실습시간, 임상실습 후 만족감 등으로 나누었다. Cha [7]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임상실습 교과목, 실습내용, 실습환경, 실습시간, 실습평가 등에서 나오는 긍정적 정서반응을 임상실습 만족도라고 정의하였다.
Mun과 Hwang [8]은 전공만족도란 학업성취와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인이 기대치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라고 하였고, Shin 등[9] 역시 개인 스스로 설정한 직업과 진로에 대한 기대치에 비교하여 본인이 소속된 전공을 평가하는 과정이라 하였으며,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는 교내·외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비경험군에 비해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1]. 또한, Jung과 Jang [10]의 연구에서도 전공만족도는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하였고, Shin 등[9]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관계에 있다고 하였다.
Kim [6]에 의하면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처로의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Jung 등[11]은 취업에 대한 선택과 실행의 정도인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라 하였다.
우리나라 치과기공사의 수는 선진국에 비해 과잉공급 상태이나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치과기공사의 수는 부족한 실정이다[12]. 따라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기공(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여 치과기공사의 취업률 신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전국 치기공(학)과 3,4학년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9일부터 2023년 7월 25일까지 7일간 N사의 폼을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자 150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에 성실하게 임한 150부 모두 분석에 사용하였다.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취업 의향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총 22문항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임상실습의 형태 및 환경 7문항,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6문항, 전공 및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필요성 4문항, 취업의향 및 형태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hoi [2], Kim [6], Whang [13]의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필요성, 취업 의향은 리커트 5점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 또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7.0 (IBM)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0.947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실습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만족도와 취업 의향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만족도가 취업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은 남학생 44.7%, 여학생 55.3%였고, 응답자의 학교의 위치에 따라 수도권 지역에 60.0%, 수도권 외 지역에 40.0%로 집계되었으며 응답자의 나이는 ‘20세 이상 25세 이하’가 75.4%, ‘26세 이상 30세 이하’가 19.3%, ‘31세 이상 40세 이하’가 5.3%로 ‘20세 이상 25세 이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 Number (%) |
---|---|
Sex | |
Male | 67 (44.7) |
Female | 83 (55.3) |
Location of the school | |
Metropolitan area | 90 (60.0) |
Non-metropolitan area | 60 (40.0) |
Age (y) | |
20~25 | 113 (75.4) |
26~30 | 29 (19.3) |
31~40 | 8 (5.3) |
Total | 150 (100.0) |
임상실습 여부에 관한 질문은 응답자 150명 모두 참여하였고 임상실습을 나간 시기는 ‘2학년 2학기 이후’, ‘3학년 1학기 이후’, ‘2학년 1학기 이후’ 순이었으며, 임상실습 기관의 형태는 치과기공소가 91.3%, 치과기공실 8.0%, 대학병원 치과기공실 0.7%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관 규모는 ‘6인 이상 10인 이하’가 가장 많았고, ‘5인 이하’, ‘11인 이상 20인 이하’ 순이었으며 ‘30인 이상’ 기관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임상실습 기관을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은(편도 기준) ‘31분 이상 1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고, 임상실습 기간을 묻는 질문에는 ‘1개월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1개월 초과 2개월 이하’가 다음으로 높았다.
임상실습 기간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적당하다가 57.3%로 가장 많았고, 짧게 느껴졌다는 응답이 24.0%, 매우 길게 느껴졌다는 응답이 10.7% 순으로 집계되었다(Table 2).
Table 2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Variable | Number (%) |
---|---|
Clinical practice status | |
Participation | 150 (100.0) |
Non-participation | 0 (0) |
The time of clinical practice |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2 (1.3) |
After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121 (80.7)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 27 (18.0) |
Clinical practice place | |
Dental laboratory | 137 (91.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2 (8.0)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 (0.7) |
Number of employees | |
≤5 | 60 (40.0) |
6~10 | 62 (41.3) |
11~20 | 14 (9.3) |
21~30 | 13 (8.7) |
≥30 | 1 (0.7) |
Commuting time (one way/min) | |
0~30 | 29 (19.3) |
31~60 | 94 (62.7) |
61~90 | 27 (18.0) |
Period (mo) | |
≤1 | 138 (92.0) |
1<mo≤2 | 8 (5.4) |
2<mo≤3 | 2 (1.3) |
>3 | 2 (1.3) |
How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felt | |
Feels very long | 16 (10.7) |
Long | 12 (8.0) |
Suitable | 86 (57.3) |
Short | 36 (24.0) |
임상실습 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6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은 실습에 필요한 장비와 재료가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었다’에 대해 평균 4.30으로 대체로 장비와 재료가 잘 구비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임상실습은 현장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29, ‘임상실습은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를 위한 기회가 되었다’에는 평균 4.25, ‘임상실습은 임상실습이 이루어지기에 적절하였다’에 대한 응답은 평균 4.17,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 및 전공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평균 4.14, ‘임상실습 후 직무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10으로 대체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Variable | Mean±SD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re properly equipped with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practice | 4.30±0.702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theories and major skills learned at school | 4.14±0.898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field adaptability of dental laboratories | 4.29±0.848 |
After clinical practice, job performance improved | 4.10±0.947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f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 4.25±0.744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were appropriate for clinical practice to take place | 4.17±0.865 |
SD: standard deviation.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전공만족도는 평균 4.07이었고 임상실습 후 전공만족도가 향상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02를 나타내었다. 임상실습은 필요한지에 대한 결과는 평균 4.51이었으며 임상실습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결과 평균 4.20이었다(Table 4).
Table 4 .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Variable | Mean±SD |
---|---|
Major satisfaction | 4.07±0.730 |
Satisfaction with major improved after clinical practice | 4.02±0.945 |
Clinical practice requirement | 4.51±0.71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4.20±0.905 |
SD: standard deviation.
졸업 후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항목에서 매우 그렇다는 42.0%, 그렇다는 42.7%로 대체적으로 취업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취업 의향이 없는 학생은 6.0%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하고 싶은 기관의 형태를 묻는 항목에서 150명, 286개의 응답을 중복처리한 결과 치과기공소가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과의원 및 치과병원 내 치과기공실이 32.2%, 대학병원 치과기공실 18.9%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응답을 차지한 항목은 치과기공 분야로 취업하지 않을 예정으로 4.2%의 응답률이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Employment intention
Variable | Number (%)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employment | 150 (100) |
Strongly agree | 63 (42.0) |
Agree | 64 (42.7) |
Neutral | 14 (9.3) |
Disagree | 6 (4.0) |
Strongly agree | 3 (2.0) |
Desired career path | 286 (100) |
Dental laboratory | 101 (35.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92 (32.2)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54 (18.9) |
Dental technological companies | 27 (9.4) |
I will not be working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 12 (4.2) |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437, 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 실습 기관에 대한 평가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82, p<0.05).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에 따라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50, p<0.05; Table 6).
Table 6 . Correlation analysis
Variable | Mean±SD | 1 | 2 | 3 | 4 |
---|---|---|---|---|---|
Satisfaction with major | 4.07±0.730 | 1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4.21±0.710 | 0.470* | 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4.11±0.870 | 0.472* | 0.876* | 1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 4.51±0.712 | 0.437* | 0.682* | 0.650* | 1 |
S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 회귀분석 결과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 지역(수도권)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은 0.481,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는 0.135, 학교 지역(수도권)은 –0.136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 계수).
또한,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0.9%(R2)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성선은 문제없는 것으로 나타났다(variance inflation factor<12.0; Table 7).
Table 7 . Regression analysis
Model | Unstandardized coefficients | Standardized coefficients | t | Significant | Collinearity statistics | |||
---|---|---|---|---|---|---|---|---|
B | Standard error | Beta | Tolerance | Variance inflation factor | ||||
(Constant) | 0.422 | 0.374 | 1.127 | 0.26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0.156 | 0.128 | 0.151 | 1.221 | 0.224 | 0.222 | 4.498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0.615 | 0.157 | 0.481 | 3.919 | <0.001 | 0.225 | 4.441 | |
Satisfaction with major | 0.168 | 0.083 | 0.135 | 2.028 | 0.044 | 0.764 | 1.310 | |
School region=metropolitan area | -0.250 | 0.109 | -0.136 | -2.302 | 0.023 | 0.977 | 1.024 | |
R=0.713, R2=0.509, adjR2=0.495, F=37.564, p<0.001 |
임상실습이란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교육 방식으로, 임상실습을 시행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임상현장에 투입 가능한 치과기공사 양성을 위해 학교에서 설정한 교육목표에 다가가는 것이다[14].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만족도에 관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이 된다[15].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기공(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파악하고 만족도에 따라 취업 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기공학과 재학생 총 150명으로 남학생 44.7%, 여학생 55.3%로 여학생의 응답이 다소 많았다. 또한 수도권에 재학생이 60.0%, 비수도권 재학생이 40.0%로 수도권 재학생의 응답률이 더 높았다.
임상실습의 형태와 환경을 조사한 결과 치과기공소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91.3%로 가장 높았는데,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장소로 치과기공소가 87.0%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임상실습은 대체로 치과기공소에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상실습 기관의 규모는 ‘5인 이하’가 40.0%, ‘6인 이상 10인 이하’의 기관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41.3%로 응답자의 대다수가 소규모 기관에서 실습을 진행하였는데, Jeong [16]의 연구에서 ‘10인 미만’ 치과기공소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59.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것과 일치한다. 이는 대규모의 치과기공소보다 소규모의 치과기공소가 더 많은 것을 시사한다. 또한 실습은 80.7%의 인원이 2학년 2학기를 마친 후 시행하였고, Choi [2]의 연구에서 실습시기는 3학년 1학기가 50.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각 대학의 학제와 상황에 따라 임상실습을 시행하는 시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상실습 기간은 92.0%의 학생이 ‘1개월 이하’의 기간 동안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임상실습 기간은 어떻게 느껴지는지에 대한 대답으로 57.3%의 학생이 적절하다, 24.0%의 학생이 짧게 느껴졌다 응답하였다.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기간은 64.0%가 적당하다, 23.0%가 짧다, 13.0%가 길게 느껴진다고 응답하였는데 본 연구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는 ‘임상실습 기관은 실습에 필요한 장비와 재료가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었다’가 평균 4.30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임상실습은 치과기공소(실)의 현장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가 4.29, ‘임상실습은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를 위한 기회가 되었다’ 4.2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는 평균 4.10 이상, 임상실습 만족도는 평균 4.20으로 Lee 등[5]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현장에 대한 만족도 평균 3.44였고 신기자재 및 신기술 경험이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hoi [2]에 따르면 임상실습 만족도는 실습 내용에 대한 만족이 3.56, 임상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이 3.40,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이 3.21 순으로 전체적인 실습 만족도는 평균 3.84로 나타나 본 연구의 전반적인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가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hin과 Im [15]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후 임상실습 만족도는 3년제 재학중인 학생이 3.48±0.61, 4년제 재학중인 학생은 3.42±0.34로 나타났다. Hwang [17]의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내용에 관한 평균 만족도가 4.40, 운영에 관한 평균 만족도는 4.30으로 본 연구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임상실습 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향상 여부는 평균 4.02로 이 또한 높은 편이었으며, ‘임상실습은 필요하다’는 질문에 평균 4.51로 대부분의 재학생이 임상실습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치기공(학)과에 대한 전공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평균 4.07로 Choi [2]는 만족한다가 43.5%, 보통이다 42.0% Lee와 Jung [12]의 연구에서 보통이다 51.3%, 만족한다 32.0%로 전공만족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Kim [6]은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다 하였고, Moon 등[1]은 교내와 교외 실습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실습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교내실습경험 후 전공만족도, 교외실습 경험 이후 강의만족, 전공만족, 학과만족이 비경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임상실습 후 취업을 하고 싶은 기관을 묻는 질문에 다중응답을 처리한 결과(n=280) 치과기공소 35.3%, 치과기공실 32.2%, 종합병원 치과기공실 18.9% 순으로 나타났고 관련업종으로 취업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2%였다. 이는 Lee와 Jung [12]의 졸업 후 희망 근무지는 10인 미만의 치과기공소(실) 46.7%, 치과병원, 종합병원의 치과기공실이 32.7%였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임상실습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로 Lee와 Jung [12]은 ‘그저 그렇다’ 50.0%, ‘도움이 된다’ 42.7%로 나타났으나 교육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임상실습등의 실습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52.0%였다. Kim [6]은 취업의지가 강할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임상실습장소 기대차이, 개인의 임상실습경험, 임상실습 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처로의 취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와 동일하게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이다.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지역(수도권)으로 나타났는데 Jung 등[11]의 연구에서 치기공(학)과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의 순으로 강한 영향을 나타낸다 하였다.
전문기술인을 양성하고자 설립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는 직업교육을 통한 현장취업에 있다고 한다[18]. 현재 전국 치기공(학)과의 학제는 3년제, 또는 4년제로 전문대학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수한 치과기공인을 양성하는데 그 뜻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이 우수한 치과기공인 양성을 위해 재학생에게 양질의 임상실습 경험을 부여함으로서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를 높여 관련 업종으로의 취업 의향을 신장시켜 치과기공계의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전국 치기공(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전체 치기공(학)과 학생수에 비해 응답수가 충분하지 않아 모든 학생의 생각을 대변할 수 없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본 연구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기공(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 취업 의향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만족(4.20)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공만족도 역시 높은 수준의 만족도(4.07)를 나타내고 있었다.
2.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고(r=0.437, 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 실습 기관에 대한 평가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으며(r=0.682, p<0.05)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에 따라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50, p<0.05).
3.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 지역(수도권)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기회를 다양하게 부여하고 임상실습 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세부적인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여 치과기공 전공에 대한 취업 의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None.
None to declare.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95-101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95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정혜은1, 이현식2
1신구대학교 치기공학과, 2연세고운미소치과 치과기공실
1Department of Dental Science & Technology, Health & Medical Field, Shingu College, Seongnam, Korea
2Yonsei Gounmiso Laboratory, Seongnam, Korea
Correspondence to:Hyeeun Jeong
Department of Dental Science & Technology, Health & Medical Field, Shingu College, 377 Gwangmyeong-ro, Jungwon-gu, Seongnam 13174, Korea
E-mail: jhe@shingu.ac.kr
https://orcid.org/0000-0001-5011-440X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n effect on employment intention of satisfaction level as a basis for increasing the employment rate of dental technicians.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among 150 dental technology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d correlation analys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7.0 (IBM).
Results: The students exhibit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ir clinical practice (4.20) and dental technology major (4.07). Further analy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ntion to work in dental laboratories and satisfaction with a dental technology major (practice; r=0.437, p<0.05); clinical practice organization (r=0.682, p<0.05); and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r=0.650, p<0.05).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p<0.05) were also observed between clinical practice form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dental technology major, and school region (i.e., metropolitan area).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dental technology major can contribute to increased employment rates among dental technicians by promoting their intention to work in the related industry.
Keywords: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Employment intention, Major satisfaction
의료기술이 발달하고 교육 수준과 생활 수준이 꾸준히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1]. 특히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어 양질의 치과 의료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구강보건 인력의 중요성으로 이어지고 있다[2].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학교에서는 전문적으로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지만 학교 수업만으로 의료기사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치기공(학)과의 임상실습은 학교 교육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과정이자 치과기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3,4]. 또한 임상실습이란 모든 교과를 통합하여 실습을 진행하는 것으로 이론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기본 원리를 현장에서 응용하는 방식으로 전문적 가치를 습득한다[1]. 따라서 전국 대부분의 대학 치기공(학)과에서는 졸업 후 의료기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임상실습 교과목을 정규교과목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5].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만족도를 임상실습 내용에 관한 만족도, 실습 과목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 등으로 나누었고, Kim [6]은 실습내용 및 방법, 실습지도, 실습환경, 실습시간, 임상실습 후 만족감 등으로 나누었다. Cha [7]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임상실습 교과목, 실습내용, 실습환경, 실습시간, 실습평가 등에서 나오는 긍정적 정서반응을 임상실습 만족도라고 정의하였다.
Mun과 Hwang [8]은 전공만족도란 학업성취와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본인이 기대치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라고 하였고, Shin 등[9] 역시 개인 스스로 설정한 직업과 진로에 대한 기대치에 비교하여 본인이 소속된 전공을 평가하는 과정이라 하였으며,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는 교내·외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비경험군에 비해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하였다[1]. 또한, Jung과 Jang [10]의 연구에서도 전공만족도는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하였고, Shin 등[9]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관계에 있다고 하였다.
Kim [6]에 의하면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처로의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Jung 등[11]은 취업에 대한 선택과 실행의 정도인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라 하였다.
우리나라 치과기공사의 수는 선진국에 비해 과잉공급 상태이나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치과기공사의 수는 부족한 실정이다[12]. 따라서,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기공(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여 치과기공사의 취업률 신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전국 치기공(학)과 3,4학년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9일부터 2023년 7월 25일까지 7일간 N사의 폼을 이용하여 자기기입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응답자 150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에 성실하게 임한 150부 모두 분석에 사용하였다.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취업 의향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항은 총 22문항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문항, 임상실습의 형태 및 환경 7문항,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6문항, 전공 및 임상실습 만족도, 임상실습 필요성 4문항, 취업의향 및 형태 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hoi [2], Kim [6], Whang [13]의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필요성, 취업 의향은 리커트 5점척도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 또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7.0 (IBM)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α 계수는 0.947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실습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만족도와 취업 의향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만족도가 취업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은 남학생 44.7%, 여학생 55.3%였고, 응답자의 학교의 위치에 따라 수도권 지역에 60.0%, 수도권 외 지역에 40.0%로 집계되었으며 응답자의 나이는 ‘20세 이상 25세 이하’가 75.4%, ‘26세 이상 30세 이하’가 19.3%, ‘31세 이상 40세 이하’가 5.3%로 ‘20세 이상 25세 이하’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 Number (%) |
---|---|
Sex | |
Male | 67 (44.7) |
Female | 83 (55.3) |
Location of the school | |
Metropolitan area | 90 (60.0) |
Non-metropolitan area | 60 (40.0) |
Age (y) | |
20~25 | 113 (75.4) |
26~30 | 29 (19.3) |
31~40 | 8 (5.3) |
Total | 150 (100.0) |
임상실습 여부에 관한 질문은 응답자 150명 모두 참여하였고 임상실습을 나간 시기는 ‘2학년 2학기 이후’, ‘3학년 1학기 이후’, ‘2학년 1학기 이후’ 순이었으며, 임상실습 기관의 형태는 치과기공소가 91.3%, 치과기공실 8.0%, 대학병원 치과기공실 0.7%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관 규모는 ‘6인 이상 10인 이하’가 가장 많았고, ‘5인 이하’, ‘11인 이상 20인 이하’ 순이었으며 ‘30인 이상’ 기관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거주지로부터 임상실습 기관을 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은(편도 기준) ‘31분 이상 1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고, 임상실습 기간을 묻는 질문에는 ‘1개월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1개월 초과 2개월 이하’가 다음으로 높았다.
임상실습 기간은 어떠하였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적당하다가 57.3%로 가장 많았고, 짧게 느껴졌다는 응답이 24.0%, 매우 길게 느껴졌다는 응답이 10.7% 순으로 집계되었다(Table 2).
Table 2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Variable | Number (%) |
---|---|
Clinical practice status | |
Participation | 150 (100.0) |
Non-participation | 0 (0) |
The time of clinical practice |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2 (1.3) |
After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121 (80.7)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 27 (18.0) |
Clinical practice place | |
Dental laboratory | 137 (91.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2 (8.0)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 (0.7) |
Number of employees | |
≤5 | 60 (40.0) |
6~10 | 62 (41.3) |
11~20 | 14 (9.3) |
21~30 | 13 (8.7) |
≥30 | 1 (0.7) |
Commuting time (one way/min) | |
0~30 | 29 (19.3) |
31~60 | 94 (62.7) |
61~90 | 27 (18.0) |
Period (mo) | |
≤1 | 138 (92.0) |
1<mo≤2 | 8 (5.4) |
2<mo≤3 | 2 (1.3) |
>3 | 2 (1.3) |
How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felt | |
Feels very long | 16 (10.7) |
Long | 12 (8.0) |
Suitable | 86 (57.3) |
Short | 36 (24.0) |
임상실습 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6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알아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은 실습에 필요한 장비와 재료가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었다’에 대해 평균 4.30으로 대체로 장비와 재료가 잘 구비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임상실습은 현장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29, ‘임상실습은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를 위한 기회가 되었다’에는 평균 4.25, ‘임상실습은 임상실습이 이루어지기에 적절하였다’에 대한 응답은 평균 4.17, ‘임상실습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 및 전공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평균 4.14, ‘임상실습 후 직무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10으로 대체로 모든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Variable | Mean±SD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re properly equipped with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practice | 4.30±0.702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theories and major skills learned at school | 4.14±0.898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field adaptability of dental laboratories | 4.29±0.848 |
After clinical practice, job performance improved | 4.10±0.947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f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 4.25±0.744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were appropriate for clinical practice to take place | 4.17±0.865 |
SD: standard deviation..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전공만족도는 평균 4.07이었고 임상실습 후 전공만족도가 향상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4.02를 나타내었다. 임상실습은 필요한지에 대한 결과는 평균 4.51이었으며 임상실습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결과 평균 4.20이었다(Table 4).
Table 4 .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Variable | Mean±SD |
---|---|
Major satisfaction | 4.07±0.730 |
Satisfaction with major improved after clinical practice | 4.02±0.945 |
Clinical practice requirement | 4.51±0.71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4.20±0.905 |
SD: standard deviation..
졸업 후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항목에서 매우 그렇다는 42.0%, 그렇다는 42.7%로 대체적으로 취업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취업 의향이 없는 학생은 6.0%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하고 싶은 기관의 형태를 묻는 항목에서 150명, 286개의 응답을 중복처리한 결과 치과기공소가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치과의원 및 치과병원 내 치과기공실이 32.2%, 대학병원 치과기공실 18.9%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응답을 차지한 항목은 치과기공 분야로 취업하지 않을 예정으로 4.2%의 응답률이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Employment intention.
Variable | Number (%)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employment | 150 (100) |
Strongly agree | 63 (42.0) |
Agree | 64 (42.7) |
Neutral | 14 (9.3) |
Disagree | 6 (4.0) |
Strongly agree | 3 (2.0) |
Desired career path | 286 (100) |
Dental laboratory | 101 (35.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92 (32.2)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54 (18.9) |
Dental technological companies | 27 (9.4) |
I will not be working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 12 (4.2) |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437, 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 실습 기관에 대한 평가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82, p<0.05).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에 따라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50, p<0.05; Table 6).
Table 6 . Correlation analysis.
Variable | Mean±SD | 1 | 2 | 3 | 4 |
---|---|---|---|---|---|
Satisfaction with major | 4.07±0.730 | 1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4.21±0.710 | 0.470* | 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4.11±0.870 | 0.472* | 0.876* | 1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 4.51±0.712 | 0.437* | 0.682* | 0.650* | 1 |
S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 회귀분석 결과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 지역(수도권)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은 0.481,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는 0.135, 학교 지역(수도권)은 –0.136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 계수).
또한,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0.9%(R2)으로 나타났다. 다중공성선은 문제없는 것으로 나타났다(variance inflation factor<12.0; Table 7).
Table 7 . Regression analysis.
Model | Unstandardized coefficients | Standardized coefficients | t | Significant | Collinearity statistics | |||
---|---|---|---|---|---|---|---|---|
B | Standard error | Beta | Tolerance | Variance inflation factor | ||||
(Constant) | 0.422 | 0.374 | 1.127 | 0.26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0.156 | 0.128 | 0.151 | 1.221 | 0.224 | 0.222 | 4.498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0.615 | 0.157 | 0.481 | 3.919 | <0.001 | 0.225 | 4.441 | |
Satisfaction with major | 0.168 | 0.083 | 0.135 | 2.028 | 0.044 | 0.764 | 1.310 | |
School region=metropolitan area | -0.250 | 0.109 | -0.136 | -2.302 | 0.023 | 0.977 | 1.024 | |
R=0.713, R2=0.509, adjR2=0.495, F=37.564, p<0.001 |
임상실습이란 학교에서 학습한 지식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교육 방식으로, 임상실습을 시행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임상현장에 투입 가능한 치과기공사 양성을 위해 학교에서 설정한 교육목표에 다가가는 것이다[14].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만족도에 관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이 된다[15].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기공(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파악하고 만족도에 따라 취업 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기공학과 재학생 총 150명으로 남학생 44.7%, 여학생 55.3%로 여학생의 응답이 다소 많았다. 또한 수도권에 재학생이 60.0%, 비수도권 재학생이 40.0%로 수도권 재학생의 응답률이 더 높았다.
임상실습의 형태와 환경을 조사한 결과 치과기공소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91.3%로 가장 높았는데,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장소로 치과기공소가 87.0%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임상실습은 대체로 치과기공소에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상실습 기관의 규모는 ‘5인 이하’가 40.0%, ‘6인 이상 10인 이하’의 기관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41.3%로 응답자의 대다수가 소규모 기관에서 실습을 진행하였는데, Jeong [16]의 연구에서 ‘10인 미만’ 치과기공소에서 실습을 진행한 학생이 59.0%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던 것과 일치한다. 이는 대규모의 치과기공소보다 소규모의 치과기공소가 더 많은 것을 시사한다. 또한 실습은 80.7%의 인원이 2학년 2학기를 마친 후 시행하였고, Choi [2]의 연구에서 실습시기는 3학년 1학기가 50.5%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각 대학의 학제와 상황에 따라 임상실습을 시행하는 시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상실습 기간은 92.0%의 학생이 ‘1개월 이하’의 기간 동안 실습을 진행하였으며, 임상실습 기간은 어떻게 느껴지는지에 대한 대답으로 57.3%의 학생이 적절하다, 24.0%의 학생이 짧게 느껴졌다 응답하였다. Choi [2]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기간은 64.0%가 적당하다, 23.0%가 짧다, 13.0%가 길게 느껴진다고 응답하였는데 본 연구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는 ‘임상실습 기관은 실습에 필요한 장비와 재료가 적절하게 구비되어 있었다’가 평균 4.30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고, ‘임상실습은 치과기공소(실)의 현장 적응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가 4.29, ‘임상실습은 진로탐색 및 진로설계를 위한 기회가 되었다’ 4.2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는 평균 4.10 이상, 임상실습 만족도는 평균 4.20으로 Lee 등[5]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현장에 대한 만족도 평균 3.44였고 신기자재 및 신기술 경험이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hoi [2]에 따르면 임상실습 만족도는 실습 내용에 대한 만족이 3.56, 임상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이 3.40, 임상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이 3.21 순으로 전체적인 실습 만족도는 평균 3.84로 나타나 본 연구의 전반적인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가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hin과 Im [15]의 연구에서 임상실습 후 임상실습 만족도는 3년제 재학중인 학생이 3.48±0.61, 4년제 재학중인 학생은 3.42±0.34로 나타났다. Hwang [17]의 연구에서는 임상실습 내용에 관한 평균 만족도가 4.40, 운영에 관한 평균 만족도는 4.30으로 본 연구보다 다소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임상실습 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향상 여부는 평균 4.02로 이 또한 높은 편이었으며, ‘임상실습은 필요하다’는 질문에 평균 4.51로 대부분의 재학생이 임상실습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치기공(학)과에 대한 전공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평균 4.07로 Choi [2]는 만족한다가 43.5%, 보통이다 42.0% Lee와 Jung [12]의 연구에서 보통이다 51.3%, 만족한다 32.0%로 전공만족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Kim [6]은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다 하였고, Moon 등[1]은 교내와 교외 실습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실습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교내실습경험 후 전공만족도, 교외실습 경험 이후 강의만족, 전공만족, 학과만족이 비경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임상실습 후 취업을 하고 싶은 기관을 묻는 질문에 다중응답을 처리한 결과(n=280) 치과기공소 35.3%, 치과기공실 32.2%, 종합병원 치과기공실 18.9% 순으로 나타났고 관련업종으로 취업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2%였다. 이는 Lee와 Jung [12]의 졸업 후 희망 근무지는 10인 미만의 치과기공소(실) 46.7%, 치과병원, 종합병원의 치과기공실이 32.7%였던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임상실습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로 Lee와 Jung [12]은 ‘그저 그렇다’ 50.0%, ‘도움이 된다’ 42.7%로 나타났으나 교육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임상실습등의 실습위주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자가 52.0%였다. Kim [6]은 취업의지가 강할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임상실습장소 기대차이, 개인의 임상실습경험, 임상실습 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처로의 취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와 동일하게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이다.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지역(수도권)으로 나타났는데 Jung 등[11]의 연구에서 치기공(학)과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의 순으로 강한 영향을 나타낸다 하였다.
전문기술인을 양성하고자 설립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는 직업교육을 통한 현장취업에 있다고 한다[18]. 현재 전국 치기공(학)과의 학제는 3년제, 또는 4년제로 전문대학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수한 치과기공인을 양성하는데 그 뜻을 같이 한다. 이와 같이 우수한 치과기공인 양성을 위해 재학생에게 양질의 임상실습 경험을 부여함으로서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를 높여 관련 업종으로의 취업 의향을 신장시켜 치과기공계의 인력난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전국 치기공(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전체 치기공(학)과 학생수에 비해 응답수가 충분하지 않아 모든 학생의 생각을 대변할 수 없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수를 충분하게 확보하여 본 연구 주제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기공(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도, 취업 의향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만족(4.20)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전공만족도 역시 높은 수준의 만족도(4.07)를 나타내고 있었다.
2.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환경,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치기공(학)과 전공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고(r=0.437, p<0.05)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소(실)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 실습 기관에 대한 평가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으며(r=0.682, p<0.05)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에 따라 관련업종으로 취업 할 의향이 있는지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치과기공소(실) 취업 의향의 상관은 양의 상관으로 나타났다(r=0.650, p<0.05).
3. 임상실습 기관 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취업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임상실습 형태 및 환경, 치기공(학)과 전공 만족도, 학교 지역(수도권)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를 바탕으로 전공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임상실습 기회를 다양하게 부여하고 임상실습 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세부적인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여 치과기공 전공에 대한 취업 의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None.
None to declare.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 | Number (%) |
---|---|
Sex | |
Male | 67 (44.7) |
Female | 83 (55.3) |
Location of the school | |
Metropolitan area | 90 (60.0) |
Non-metropolitan area | 60 (40.0) |
Age (y) | |
20~25 | 113 (75.4) |
26~30 | 29 (19.3) |
31~40 | 8 (5.3) |
Total | 150 (100.0) |
Table 2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Variable | Number (%) |
---|---|
Clinical practice status | |
Participation | 150 (100.0) |
Non-participation | 0 (0) |
The time of clinical practice |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2 (1.3) |
After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cond year | 121 (80.7) |
After the first semester of the third grade | 27 (18.0) |
Clinical practice place | |
Dental laboratory | 137 (91.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2 (8.0)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1 (0.7) |
Number of employees | |
≤5 | 60 (40.0) |
6~10 | 62 (41.3) |
11~20 | 14 (9.3) |
21~30 | 13 (8.7) |
≥30 | 1 (0.7) |
Commuting time (one way/min) | |
0~30 | 29 (19.3) |
31~60 | 94 (62.7) |
61~90 | 27 (18.0) |
Period (mo) | |
≤1 | 138 (92.0) |
1<mo≤2 | 8 (5.4) |
2<mo≤3 | 2 (1.3) |
>3 | 2 (1.3) |
How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felt | |
Feels very long | 16 (10.7) |
Long | 12 (8.0) |
Suitable | 86 (57.3) |
Short | 36 (24.0) |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Variable | Mean±SD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re properly equipped with equipment and materials necessary for practice | 4.30±0.702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theories and major skills learned at school | 4.14±0.898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field adaptability of dental laboratories | 4.29±0.848 |
After clinical practice, job performance improved | 4.10±0.947 |
Clinical practice became an opportunity for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 4.25±0.744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were appropriate for clinical practice to take place | 4.17±0.865 |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 Major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
Variable | Mean±SD |
---|---|
Major satisfaction | 4.07±0.730 |
Satisfaction with major improved after clinical practice | 4.02±0.945 |
Clinical practice requirement | 4.51±0.71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4.20±0.905 |
SD: standard deviation..
Table 5 . Employment intention.
Variable | Number (%)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employment | 150 (100) |
Strongly agree | 63 (42.0) |
Agree | 64 (42.7) |
Neutral | 14 (9.3) |
Disagree | 6 (4.0) |
Strongly agree | 3 (2.0) |
Desired career path | 286 (100) |
Dental laboratory | 101 (35.3) |
Dental clinic and dental hospital dental laboratory | 92 (32.2) |
University hospital dental laboratory | 54 (18.9) |
Dental technological companies | 27 (9.4) |
I will not be working in the field of dental technology | 12 (4.2) |
Table 6 . Correlation analysis.
Variable | Mean±SD | 1 | 2 | 3 | 4 |
---|---|---|---|---|---|
Satisfaction with major | 4.07±0.730 | 1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4.21±0.710 | 0.470* | 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4.11±0.870 | 0.472* | 0.876* | 1 | |
Intentions for dental technology (laboratory) | 4.51±0.712 | 0.437* | 0.682* | 0.650* | 1 |
S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Table 7 . Regression analysis.
Model | Unstandardized coefficients | Standardized coefficients | t | Significant | Collinearity statistics | |||
---|---|---|---|---|---|---|---|---|
B | Standard error | Beta | Tolerance | Variance inflation factor | ||||
(Constant) | 0.422 | 0.374 | 1.127 | 0.261 | ||||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satisfaction | 0.156 | 0.128 | 0.151 | 1.221 | 0.224 | 0.222 | 4.498 | |
Environment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 0.615 | 0.157 | 0.481 | 3.919 | <0.001 | 0.225 | 4.441 | |
Satisfaction with major | 0.168 | 0.083 | 0.135 | 2.028 | 0.044 | 0.764 | 1.310 | |
School region=metropolitan area | -0.250 | 0.109 | -0.136 | -2.302 | 0.023 | 0.977 | 1.024 | |
R=0.713, R2=0.509, adjR2=0.495, F=37.564, p<0.001 |
Jae-Sun Hwang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2; 44(2): 38-46 https://doi.org/10.14347/jtd.2022.44.2.38Wol Kang, Yeon Jang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1; 43(4): 194-201 https://doi.org/10.14347/jtd.2021.43.4.194Wol Kang, Yeon Jang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0; 42(4): 388-393 https://doi.org/10.14347/jtd.2020.42.4.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