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124-130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124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정영해, 김임선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학과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Daegu Health College, Daegu, Korea
Correspondence to :
Im-Sun Kim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Daegu Health College, 15 Yeongsong-ro, Buk-gu, Daegu 41453, Korea
E-mail: futuredt@dhc.ac.kr
https://orcid.org/0000-0002-2546-028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linical experience of single and bridge crowns fabricated using a cementless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system. In the case of single crown (#37), regular link (HDL) was used, and bridge crowns (#15~#24), (#26~#27), (#17~#14) (#24~#26) were fabricated by selecting regular link and short link considering the vertical height. One abutment was hex shaped to ensure that it could be mounted while preventing insertion and prosthesis rotation. The advantages of cementless implant prosthesis include shorter chair time and periodic care, strong retention with LINK abutment, safety from inflammation, bacterial infection, and complications due to peri-implant cement, and high patient satisfaction. Dentists should double-check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and dental technicians should continuously manage the fit of the link and prosthesis with digital equipment to reduce screw loosening and fractures.
Keywords: Abutment, Cementless implant prosthetic, Fixture, Link, Screw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저출산과 더불어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 중이다. 그 대비책의 일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노인의 저작 기능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2012년 7월부터 완전틀니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는 노인 임플란트 시술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다[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령층의 임플란트 환자 수는 지난 2016년 급여 대상 연령이 65세로 확대된 후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에 대한 부담이 줄고 틀니에 비해 기능과 심미성이 우수해 2016년 65세 이상 임플란트 수술 환자 수는 약 42만9000명이었으나, 그로부터 6년 뒤인 지난 2022년에는 80만5000여 명으로 87.6% 증가하였다[3].
치과 임플란트 치료는 디지털 영상장비의 보급을 시작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디지털 전환이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가속화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기술 역시 바뀌고 있다. 인공지능, three-dimensional (3D) 프린터, 구강스캐너와 같이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해 이전보다 정확하고 빠른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정밀한 진단 및 치료, 수술 후 관리 등 더 나은 치료 환경과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4]. 또한, 치과 임플란트 보철의 역사는 1세대를 거쳐 3세대까지 세대별의 문제점을 보완해 오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5].
그 중에서 잔존 시멘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의 유지결합력만을 이용한 임플란트 시스템들이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은 통상적인 보철 방법인 보철물과 지대주(abutment) 사이를 치과용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보철물과 abutment 사이의 공간을 마찰력을 이용해 결착하는 방식으로 고정체(fixture)와 베이스 어버트먼트(base abutment), base abutment와 링크 어버트먼트(link-abutment) 2중구조로 나사(screw)를 이용하여 보철물과 결합을 유도하여 교합압의 분산과 thinking-down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6].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 있어 사용된 시멘트 유지형(cement type)과 비교 했을 때 주요 장점으로는 잔류 접착제 문제 해결, 세균 감염 방지, 심미적인 보철물 제작, 진료시간의 단축, 작업공정의 편리함 및 간편화로 보철 결과물 오차 발생 최소화, 5 mm까지 낮은 수직고경 보철물 제작 가능, fixture의 손상 없이 abutment와 보철 분리 가능, 수리나 관리가 용이한 점 등을 지니고 있어 경제적인 보철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7]. 임플란트 주위에 잔존하는 시멘트는 치태 축적과 미생물의 응집을 유발하거나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합병증은 자연치에서보다 임플란트에서 더 빈번하게 발견된다. 자연치에서는 보철물의 변연이 유리 치은연 내부나 치은 연상에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 잔존 시멘트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하고, 임플란트와 자연치는 열구상피 부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8,9]. 이러한 시멘트로 인한 부작용들의 문제점들은 보철물 결합방식에 따른 체결 시스템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멘트리스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 시스템(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한 single crown 및 bridge crown의 임상증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는 50대 남자 환자로 내원 당시 전체적으로 치아 마모와 치은 퇴축이 심하고 대합치는 강도가 비교적 높은 보철물을 수복한 상태였다. 다양한 보철 종류와 각각의 장·단점에 관한 진료실 상담을 거쳐 기존 임플란트 결합 방식인 cement type과 스크류 유지형(screw type)보다는 구강 내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여 수정 작업이 용이하고 잔존 접착제가 남지 않아 주변의 치주관리가 쉬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한 single crown을 최종보철물로 수복하기로 하였다(Fig. 1).
보철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 식립부의 위치, 치은의 두께, 교합고경 등에 따라 최적의 base abutment를 체결하고 다음으로 스캔바디(scan body)를 체결하였다. 이 과정은 인상채득의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인상 채득 전 X-ray 촬영을 통해 스캔바디가 base abutment와 잘 체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Fig. 2).
Cementless implant system은 환자 구강에서 인상재를 이용하는 직접 인상 채득법을 통한 보철물 제작과, 구강스캐너(Trios 4; 3Shape)를 이용하여 모델 제작 없이 디지털 작업만으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진료시간 단축 등 환자와 진료실 모두의 편의를 위해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모형 제작 없이 작업을 진행하였다(Fig. 3).
디지털로 전환된 인상 데이터는 CAD (computer-aided-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자인 작업을 통해 주변의 자연치아와 교합관계 등을 고려하여 환자 구강 상태에 맞는 최적의 보철물 형태로 디자인을 완성하였다(Fig. 4).
3D로 기록된 데이터는 디지털 밀링 장비(5X-300 Pro; Arum Dentistry)를 이용해서 최종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제작되었다(Fig. 5~7).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절삭·가공 작업 후 소결 과정과 착색(stain) 및 광택내기(glazing) 작업을 통해 완성되었다(Fig. 8).
두 번째 증례는 2022년 4월에 내원한 75세 여자 환자로 내원 당시 전치부 porcelain fused metal 파절로 인해 그를 제거하고, 잔존 지대치 및 인접치는 우식으로 인해 발치한 사례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임플란트 2개를 포함하여 #15~#24까지 9-unit bridge를 지르코니아 보철로 제작하기로 하였다. 제작과정은 첫 번째 사례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bridge crown의 임플란트 고정체(implant fixture)는 모두 IBS Magic Core (IBS IMPLANT)를 사용하였다. abutment는 일반적으로 Highness digital link abutment (HDL; Highness)를 사용하며, 수직고경이 낮거나 골조직이 소실되어 대합치까지의 거리가 7 mm 이하인 경우 Highness digital short link abutment (HDLS; Highness)를 사용하였다. 일반 link와 short link는 각각 다시 hex와 non hex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5, #13, #23, #25는 모두 non hex link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 Highness)를 사용하였고, #14, #12~#22는 pontic으로 제작하였으며 인상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채득하였다. 해당 환자는 6개월마다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받고 있으며 치료 결과 지금까지 별다른 문제가 없으며 예전의 보철물에 비해 기능적·심미적으로 환자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Fig. 9).
세 번째 증례는 2022년 8월에 치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한 50대 여성 환자 사례로, 인상재를 이용한 직접 인상채득법으로 구강 상태를 채득하고 모형을 다시 스캔하여 #24, #25, #26, #27을 제작 완성하였다. Digital link abutment는 #24를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를 사용하였고, #26은 hex 형태로, #27은 non hex 형태로 각각 short link abutment (HDLS 6500)를 사용하여 완성하였다. 해당 환자는 보철물 제작 후 6개월마다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받고 있으며 기능적·심미적으로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 우측에도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최종보철물을 수복하기로 하였다(Fig. 10).
네 번째 증례는 2022년 2월에 내원한 60대 남자 환자 사례로 구치부에 가철성 국부의치를 장착하여 불편을 호소하며 치료를 시작하였다. 치주 관리가 쉬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17~#14 (4-unit bridge), #24~#26 (3-unit bridge)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Digital link abutment는 #17을 hex 형태의 abutment (HDL 6500)를 사용하였고, #15, #14는 non hex 형태로 abutment (HDL 5500)를 사용하였다. #24는 non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를 사용하였고, #26은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6500)를 사용하여 좌·우측 7개를 제작 완성하였다. 좌·우 골 소실 정도가 달라 우측 구치는 일반 link, 좌측 구치는 short link를 사용하였다. 치료 결과 환자는 하악에 장착 중인 국소의치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하악에도 보철물을 수복하기로 결정하였다(Fig. 11).
기존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커스텀 abutment를 제작하고 그 위에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완성하여 시멘트로 유지를 얻는 방식이고, 현재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최근에는 cementless implant system에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 문제점들은 시멘트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질환들과 작업공정에서 커스텀 abutment를 제작하여 그 위에 상부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적합성의 문제, 그리고 사후 관리의 문제 등이 야기되었다. Cementless implant system은 보철물과 abutment 사이의 공간에 link라는 abutment가 metal로 되어 있고 metal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대와 상부 보철물과의 결착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진료시간의 단축, 작업공정의 간편화로 보철 결과물 오차 발생 최소, 보철 분리 가능, 수리나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10,11].
본 연구의 임상증례 보고는 2021년부터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철물로 전치부 및 구치부의 single crown 뿐만 아니라 bridge crown에서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implant fixture는 모두 IBS Magic Core를 사용하였고, abutment는 일반적으로 HDL을 사용하였으며, 인상은 대부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모델 제작 없이 디지털 작업만으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보철물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증례 환자들은 모두 기존의 보철물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재보철물의 파절과 기존 의치상의 불편으로 인한 교체, 치주질환의 중증도로 인한 골조직의 과도한 흡수로 좌·우측의 치조골의 높이가 다른 상태여서 abutment의 선택에도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Single crown의 경우에는 일반 link (HDL)를 사용하였고, bridge crown은 수직고경을 고려하여 일반 link와 short link를 선택하여 제작하였으며, abutment 1개는 hex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삽입로 방향과 보철물 회전을 방지하면서 장착되도록 하였다. 그리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현재까지 환자들의 재제작이나 수리 요청이 없고, 정기적인 검사 결과에서도 주변 치은염 등이 크게 발생하고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구강 내 인상은 전악(full mouth)의 경우 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채득은 불편하거나 변형이 오기 쉽지만 구강스캐너를 활용하면 인상과 바이트(bite) 채득 또한 쉬워지고 정확해지며 변형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사례들은 대부분 디지털 임프레션(impression)으로 제작하였으며, 임플란트는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지금까지 경험으로 보아 성공적인 cementless implant를 완성하려면 환자가 내원하는 순간부터 진료실의 정확한 진단과 판단을 통한 임플란트 관련 치료, CAD/CAM 장비를 이용한 치과기공사의 보철물 제작에 관한 숙련된 기술이 어우러져야 한다고 본다. 즉, 치과의사는 진료실에서 implant fixture 식립 시 X-ray를 통해 삽입방향과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fixture가 정확히 식립되었는지 재차 확인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보철물을 제작하는 치과기공사는 정기적인 디지털 장비관리를 통해 청소 및 사용한 바(bur) 관리 및 교체시기 확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abutment와 보철물, link와 보철물의 공차를 줄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보철물 제작 시 수직압과 fixture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교합관계를 잘 설정하여야 우수한 교합력 분산과 나사풀림 및 파절의 경우가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12].
시술은 본인 구강구조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 못지않게 수술방법이 결과를 좌우하므로 치료 관련한 장비 및 의료진의 임상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과잉진료가 없이 환자 스스로도 잇몸 관리를 꼼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바른 칫솔질과 함께 치실, 치간 칫솔을 사용해 주위염을 예방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면 좀 더 만족도가 높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결과를 얻을 것이라 생각된다.
None.
None to declare.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124-130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124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정영해, 김임선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학과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Daegu Health College, Daegu, Korea
Correspondence to:Im-Sun Kim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Daegu Health College, 15 Yeongsong-ro, Buk-gu, Daegu 41453, Korea
E-mail: futuredt@dhc.ac.kr
https://orcid.org/0000-0002-2546-028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linical experience of single and bridge crowns fabricated using a cementless screw-retained implant prosthesis system. In the case of single crown (#37), regular link (HDL) was used, and bridge crowns (#15~#24), (#26~#27), (#17~#14) (#24~#26) were fabricated by selecting regular link and short link considering the vertical height. One abutment was hex shaped to ensure that it could be mounted while preventing insertion and prosthesis rotation. The advantages of cementless implant prosthesis include shorter chair time and periodic care, strong retention with LINK abutment, safety from inflammation, bacterial infection, and complications due to peri-implant cement, and high patient satisfaction. Dentists should double-check the position of the implant fixture and dental technicians should continuously manage the fit of the link and prosthesis with digital equipment to reduce screw loosening and fractures.
Keywords: Abutment, Cementless implant prosthetic, Fixture, Link, Screw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저출산과 더불어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 중이다. 그 대비책의 일환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노인의 저작 기능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2012년 7월부터 완전틀니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는 노인 임플란트 시술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다[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령층의 임플란트 환자 수는 지난 2016년 급여 대상 연령이 65세로 확대된 후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에 대한 부담이 줄고 틀니에 비해 기능과 심미성이 우수해 2016년 65세 이상 임플란트 수술 환자 수는 약 42만9000명이었으나, 그로부터 6년 뒤인 지난 2022년에는 80만5000여 명으로 87.6% 증가하였다[3].
치과 임플란트 치료는 디지털 영상장비의 보급을 시작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디지털 전환이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가속화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기술 역시 바뀌고 있다. 인공지능, three-dimensional (3D) 프린터, 구강스캐너와 같이 4차 산업기술을 적용해 이전보다 정확하고 빠른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으며, 환자들에게 정밀한 진단 및 치료, 수술 후 관리 등 더 나은 치료 환경과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4]. 또한, 치과 임플란트 보철의 역사는 1세대를 거쳐 3세대까지 세대별의 문제점을 보완해 오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5].
그 중에서 잔존 시멘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나사의 유지결합력만을 이용한 임플란트 시스템들이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은 통상적인 보철 방법인 보철물과 지대주(abutment) 사이를 치과용 접착제로 결합하는 방식이 아닌 보철물과 abutment 사이의 공간을 마찰력을 이용해 결착하는 방식으로 고정체(fixture)와 베이스 어버트먼트(base abutment), base abutment와 링크 어버트먼트(link-abutment) 2중구조로 나사(screw)를 이용하여 보철물과 결합을 유도하여 교합압의 분산과 thinking-down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6]. 임플란트 보철 수복에 있어 사용된 시멘트 유지형(cement type)과 비교 했을 때 주요 장점으로는 잔류 접착제 문제 해결, 세균 감염 방지, 심미적인 보철물 제작, 진료시간의 단축, 작업공정의 편리함 및 간편화로 보철 결과물 오차 발생 최소화, 5 mm까지 낮은 수직고경 보철물 제작 가능, fixture의 손상 없이 abutment와 보철 분리 가능, 수리나 관리가 용이한 점 등을 지니고 있어 경제적인 보철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7]. 임플란트 주위에 잔존하는 시멘트는 치태 축적과 미생물의 응집을 유발하거나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합병증은 자연치에서보다 임플란트에서 더 빈번하게 발견된다. 자연치에서는 보철물의 변연이 유리 치은연 내부나 치은 연상에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 잔존 시멘트에 대한 접근이 보다 용이하고, 임플란트와 자연치는 열구상피 부착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8,9]. 이러한 시멘트로 인한 부작용들의 문제점들은 보철물 결합방식에 따른 체결 시스템의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멘트리스 나사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 시스템(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한 single crown 및 bridge crown의 임상증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는 50대 남자 환자로 내원 당시 전체적으로 치아 마모와 치은 퇴축이 심하고 대합치는 강도가 비교적 높은 보철물을 수복한 상태였다. 다양한 보철 종류와 각각의 장·단점에 관한 진료실 상담을 거쳐 기존 임플란트 결합 방식인 cement type과 스크류 유지형(screw type)보다는 구강 내에서 쉽게 분리 가능하여 수정 작업이 용이하고 잔존 접착제가 남지 않아 주변의 치주관리가 쉬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한 single crown을 최종보철물로 수복하기로 하였다(Fig. 1).
보철을 제작하기 위해 먼저, 구강 내에서 임플란트 식립부의 위치, 치은의 두께, 교합고경 등에 따라 최적의 base abutment를 체결하고 다음으로 스캔바디(scan body)를 체결하였다. 이 과정은 인상채득의 정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인상 채득 전 X-ray 촬영을 통해 스캔바디가 base abutment와 잘 체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Fig. 2).
Cementless implant system은 환자 구강에서 인상재를 이용하는 직접 인상 채득법을 통한 보철물 제작과, 구강스캐너(Trios 4; 3Shape)를 이용하여 모델 제작 없이 디지털 작업만으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이 모두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진료시간 단축 등 환자와 진료실 모두의 편의를 위해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모형 제작 없이 작업을 진행하였다(Fig. 3).
디지털로 전환된 인상 데이터는 CAD (computer-aided-design) 프로그램을 이용한 디자인 작업을 통해 주변의 자연치아와 교합관계 등을 고려하여 환자 구강 상태에 맞는 최적의 보철물 형태로 디자인을 완성하였다(Fig. 4).
3D로 기록된 데이터는 디지털 밀링 장비(5X-300 Pro; Arum Dentistry)를 이용해서 최종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제작되었다(Fig. 5~7).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절삭·가공 작업 후 소결 과정과 착색(stain) 및 광택내기(glazing) 작업을 통해 완성되었다(Fig. 8).
두 번째 증례는 2022년 4월에 내원한 75세 여자 환자로 내원 당시 전치부 porcelain fused metal 파절로 인해 그를 제거하고, 잔존 지대치 및 인접치는 우식으로 인해 발치한 사례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임플란트 2개를 포함하여 #15~#24까지 9-unit bridge를 지르코니아 보철로 제작하기로 하였다. 제작과정은 첫 번째 사례와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bridge crown의 임플란트 고정체(implant fixture)는 모두 IBS Magic Core (IBS IMPLANT)를 사용하였다. abutment는 일반적으로 Highness digital link abutment (HDL; Highness)를 사용하며, 수직고경이 낮거나 골조직이 소실되어 대합치까지의 거리가 7 mm 이하인 경우 Highness digital short link abutment (HDLS; Highness)를 사용하였다. 일반 link와 short link는 각각 다시 hex와 non hex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5, #13, #23, #25는 모두 non hex link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 Highness)를 사용하였고, #14, #12~#22는 pontic으로 제작하였으며 인상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채득하였다. 해당 환자는 6개월마다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받고 있으며 치료 결과 지금까지 별다른 문제가 없으며 예전의 보철물에 비해 기능적·심미적으로 환자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Fig. 9).
세 번째 증례는 2022년 8월에 치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시작한 50대 여성 환자 사례로, 인상재를 이용한 직접 인상채득법으로 구강 상태를 채득하고 모형을 다시 스캔하여 #24, #25, #26, #27을 제작 완성하였다. Digital link abutment는 #24를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를 사용하였고, #26은 hex 형태로, #27은 non hex 형태로 각각 short link abutment (HDLS 6500)를 사용하여 완성하였다. 해당 환자는 보철물 제작 후 6개월마다 정기적인 사후 관리를 받고 있으며 기능적·심미적으로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 우측에도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최종보철물을 수복하기로 하였다(Fig. 10).
네 번째 증례는 2022년 2월에 내원한 60대 남자 환자 사례로 구치부에 가철성 국부의치를 장착하여 불편을 호소하며 치료를 시작하였다. 치주 관리가 쉬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17~#14 (4-unit bridge), #24~#26 (3-unit bridge)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Digital link abutment는 #17을 hex 형태의 abutment (HDL 6500)를 사용하였고, #15, #14는 non hex 형태로 abutment (HDL 5500)를 사용하였다. #24는 non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5500)를 사용하였고, #26은 hex 형태로 short link abutment (HDLS 6500)를 사용하여 좌·우측 7개를 제작 완성하였다. 좌·우 골 소실 정도가 달라 우측 구치는 일반 link, 좌측 구치는 short link를 사용하였다. 치료 결과 환자는 하악에 장착 중인 국소의치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하악에도 보철물을 수복하기로 결정하였다(Fig. 11).
기존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커스텀 abutment를 제작하고 그 위에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완성하여 시멘트로 유지를 얻는 방식이고, 현재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최근에는 cementless implant system에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 문제점들은 시멘트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조직의 질환들과 작업공정에서 커스텀 abutment를 제작하여 그 위에 상부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적합성의 문제, 그리고 사후 관리의 문제 등이 야기되었다. Cementless implant system은 보철물과 abutment 사이의 공간에 link라는 abutment가 metal로 되어 있고 metal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대와 상부 보철물과의 결착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진료시간의 단축, 작업공정의 간편화로 보철 결과물 오차 발생 최소, 보철 분리 가능, 수리나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10,11].
본 연구의 임상증례 보고는 2021년부터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된 보철물로 전치부 및 구치부의 single crown 뿐만 아니라 bridge crown에서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implant fixture는 모두 IBS Magic Core를 사용하였고, abutment는 일반적으로 HDL을 사용하였으며, 인상은 대부분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모델 제작 없이 디지털 작업만으로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보철물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증례 환자들은 모두 기존의 보철물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재보철물의 파절과 기존 의치상의 불편으로 인한 교체, 치주질환의 중증도로 인한 골조직의 과도한 흡수로 좌·우측의 치조골의 높이가 다른 상태여서 abutment의 선택에도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Single crown의 경우에는 일반 link (HDL)를 사용하였고, bridge crown은 수직고경을 고려하여 일반 link와 short link를 선택하여 제작하였으며, abutment 1개는 hex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삽입로 방향과 보철물 회전을 방지하면서 장착되도록 하였다. 그리 길지 않은 기간이지만 현재까지 환자들의 재제작이나 수리 요청이 없고, 정기적인 검사 결과에서도 주변 치은염 등이 크게 발생하고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구강 내 인상은 전악(full mouth)의 경우 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채득은 불편하거나 변형이 오기 쉽지만 구강스캐너를 활용하면 인상과 바이트(bite) 채득 또한 쉬워지고 정확해지며 변형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사례들은 대부분 디지털 임프레션(impression)으로 제작하였으며, 임플란트는 cementless implant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지금까지 경험으로 보아 성공적인 cementless implant를 완성하려면 환자가 내원하는 순간부터 진료실의 정확한 진단과 판단을 통한 임플란트 관련 치료, CAD/CAM 장비를 이용한 치과기공사의 보철물 제작에 관한 숙련된 기술이 어우러져야 한다고 본다. 즉, 치과의사는 진료실에서 implant fixture 식립 시 X-ray를 통해 삽입방향과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fixture가 정확히 식립되었는지 재차 확인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보철물을 제작하는 치과기공사는 정기적인 디지털 장비관리를 통해 청소 및 사용한 바(bur) 관리 및 교체시기 확인,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abutment와 보철물, link와 보철물의 공차를 줄이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보철물 제작 시 수직압과 fixture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교합관계를 잘 설정하여야 우수한 교합력 분산과 나사풀림 및 파절의 경우가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12].
시술은 본인 구강구조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 못지않게 수술방법이 결과를 좌우하므로 치료 관련한 장비 및 의료진의 임상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과잉진료가 없이 환자 스스로도 잇몸 관리를 꼼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바른 칫솔질과 함께 치실, 치간 칫솔을 사용해 주위염을 예방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함께 노력한다면 좀 더 만족도가 높은 임플란트 보철물의 결과를 얻을 것이라 생각된다.
None.
None to declare.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Min-Ho Hong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1; 43(3): 99-105 https://doi.org/10.14347/jtd.2021.43.3.99Lee, Myung-Kon;Kim, Kap-Jin;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18; 40(1): 41-47 https://doi.org/10.14347/kadt.2019.4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