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riginal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111-1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111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 및 발전을 위한 연구

이선경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Received: November 6, 2023; Revised: December 12, 2023; Accepted: December 20, 2023

A study on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status and development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 :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6495, Korea
E-mail: oksk3737@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7025-7483

Received: November 6, 2023; Revised: December 12, 2023; Accepted: December 20,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aid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progressive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development program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dental technicians nationwide who attended the 2023 Korea Dental Technology Expo & Scientific Conference and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from July 21 to July 23, 2023. In total, 180 copies were analyzed.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demonstrated a Cronbach’s α of 0.924.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IBM)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was 2.78, 2.81, 3.21, 2.96, and 2.87 for the number of lectures offered, composition of major fields, lecture content, instructor level, and overall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was 2.93,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overall improvement was required.
Conclusion: Measures for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continuing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within the government’s legal influence by actively using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Strengthening verification of comple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mproving autonomous disciplinary rights, diversifying the content and learning methods of continuing education, linking with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improving institutional postevaluation, and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should be conducted when opening a dental laboratory.

Keywords: Continuing education, Dental technicians,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License report

보건의료인은 급변하는 의료상황에서 각자의 역할에 요구되는 책임을 다하고 대상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1]. 특히 보건의료 분야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의료의 질적 유지 및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분야이고, 지속적인 교육은 환자들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2].

보수교육이란 ‘기술·기능 및 자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해당자격의 변화된 내용과 기술정보를 제공, 보충하는 교육으로서 주기적이고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교육’으로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에서는 치기공분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3]. 따라서 보수교육은 치과기공사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며, 교육의 방법이나 수준은 담당하고 있는 직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보수교육은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하는 전문적인 직업일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4]. 이러한 보수교육의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핵심적 내용은 전문성 강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한 조직의 안정성 강화, 자기효능감의 증진으로 압축될 수 있다[5].

보건의료인의 보수교육과 면허관리를 통해 환자 안전 및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료인의 면허신고제도가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 보건의료인의 면허신고제를 통해 의료인의 자격관리 및 보수교육 내실화를 통한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보건의료인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제고하는 것이 목표이다. 보건의료인은 최초로 면허를 받은 후부터 3년마다 소속 중앙회 홈페이지를 통해 면허신고가 가능하다[6].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은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생산되는 최신의 의료기술과 정보를 전달하여 의료기사의 자질향상을 도모하고 개인의 자기개발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보건 및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사법과 대한치과기공사협회(이하 협회)의 정관에 의거하여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7]. 협회 보수교육 시행의 목적은 ‘의료기사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8조, 정관 제51조’에 의거 필요한 보수교육을 실시하여 회원의 자질향상을 도모함에 있다. 그러나 보수교육은 법 이전에 사회적인 요구와 치과기공사의 자발적인 필요성 인식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환자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하는 치과기공사에게 전문직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은 항상 새로워야 한다. 매일 새로워지는 의료지식이나 기술의 수명은 영원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면허 취득 후에는 그 역할을 협회가 보수교육을 통해 마련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속에서 치과기공의 재료 및 장비는 3-dimensional 프린터,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등 최첨단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다양한 요구를 대응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평생교육이고 협회에서는 이를 보수교육으로 칭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이 이와 같은 목적과 변화의 추세를 달성하고 있는지 미가입 회원의 증가추세로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으며, 그 동안 시대 변화에 따른 보수교육의 점수, 내용구성과 제공방법, 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 관리 등의 개선점에 대한 지적들이 꾸준히 있어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때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보수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보수교육 실태와 인식[1], 보수교육의 실태와 만족도[8-10], 보수교육의 실태와 요구도[11], 보수교육의 개선 관련[12], 보수교육의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13]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보수교육에 대한 실태 파악으로만 그쳐지고 면허신고와 연관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운영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2023 KDTEX (Korea Dental Technology Expo & Scientific Conference, 치과기공사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한 전국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2023년 7월 21일부터 7월 23일까지 온라인 설문 응답을 받았다. 설문지에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개인의 비밀을 보장하고 설문 내용은 연구 이외의 목적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명시하였다. 설문 시간은 10분 정도이며 총 186부의 설문을 회수하였고, 무응답 문항이 많은 6부를 제외하고 18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Lee [10] 그리고 Park 등[13]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 3문항(성별, 연령, 근무지),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도 1문항,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의 만족도 5문항(개설 강의 수 만족도, 전공분야 구성 만족도, 강의 내용 만족도, 강사 수준 만족도, 전체적인 만족도)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Likert) 5점 척도 ‘매우 만족’은 5점, ‘매우 불만족’은 1점으로 산정하였다. 보수교육 만족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24로 나타났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에서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아 협회 회원 현황, 협회 회원 보수교육 이수자수 및 이수비율(2018~2022년),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2015~2022년)에 대해 연도별 빈도와 퍼센트를 정리하였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IBM)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 특성,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도 관련 내용, 보수교육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가 70.6%, 여자가 29.4%를 나타냈고, 연령은 40~49세가 34.5%, 30~39세 29.4%, 20~29세 25.0%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지는 치과기공소가 72.8%, 치과의원 기공실이 14.4%, 치과병원 기공실이 8.3%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teristicDivisionN (%)
GenderMan127 (70.6)
Woman53 (29.4)
Age (yr)20~2945 (25.0)
30~3953 (29.4)
40~4962 (34.5)
50~5916 (8.9)
≥604 (2.2)
Work placeDental laboratory131 (72.8)
Dental clinic laboratory26 (14.4)
Dental hospital laboratory15 (8.3)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5 (2.8)
Etc.3 (1.7)
Total180 (100.0)


2.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회원 현황

치과기공사 면허자수는 2022년 41,789명이며, 협회에 가입한 치과기공사 수는 2022년 20,303명이다. 그 중 협회 자료에 의하면 보수교육에 참여하고 꾸준히 활동하는 회원은 10,706명(2022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허자 수 대비 26.2%이다(Table 2).

Table 2 . Membership status of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Division20222021202020192018
Number of licensees41,78940,86339,93738,42937,466
Registered member20,30320,18419,75519,39818,625
Active member10,70610,91110,74111,04610,502
Active membership rate (%)26.226.726.928.728.0


3.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회원 보수교육 이수자수 및 이수비율(2018~2022년)

협회에 가입된 16개 시도회의 회원은 총 20,303명(100.0%)이며 2022년 보수교육 이수현황을 보면 서울회가 33.3%, 경기회 12.7%, 부산회 10.4%, 대구회 9.6%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보수교육 이수비율은 2018년 39.4%, 2019년 36.8%, 2020년 33.9%, 2021년 29.3%, 2022년 24.2%로 최근 5년간 보수교육 이수자가 감소하고 있음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 3 . Number and completion rate of continuing education among members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RegionMember (%)20222021202020192018
Seoul6,733 (33.3)1,651 (24.5)1,832 (9.0)2,126 (10.5)2,373 (11.7)2,448 (12.1)
Busan2,112 (10.4)549 (26.0)541 (2.7)607 (3.0)682 (3.4)702 (3.5)
Daegu1,947 (9.6)373 (19.2)557 (2.7)596 (2.9)557 (2.7)604 (3.0)
Gyeongbuk609 (3.0)103 (16.9)145 (0.7)184 (0.9)166 (0.8)161 (0.8)
Gyeongnam794 (3.9)169 (21.3)221 (1.1)290 (1.4)324 (1.6)349 (1.7)
Ulsan415 (2.0)78 (18.8)90 (0.4)144 (0.7)127 (0.6)155 (0.8)
Incheon636 (3.1)219 (34.4)262 (1.3)272 (1.3)268 (1.3)249 (1.2)
Gyeonggi2,583 (12.7)670 (25.9)833 (4.1)990 (4.9)1,052 (5.2)1,011 (5.0)
Daejeon816 (4.0)268 (32.8)321 (1.6)317 (1.6)309 (1.5)320 (1.6)
Chungnam527 (2.6)135 (25.6)132 (0.7)157 (0.8)175 (0.9)135 (0.7)
Chungbuk424 (2.1)140 (33.0)150 (0.7)182 (0.9)185 (0.9)205 (1.0)
Jeonnam473 (2.3)147 (31.1)174 (0.9)181 (0.9)196 (1.0)200 (1.0)
Gwangju945 (4.7)162 (17.1)269 (1.3)312 (1.5)374 (1.8)724 (3.6)
Jeonbuk758 (3.7)197 (26.0)223 (1.1)280 (1.4)294 (1.4)303 (1.5)
Gangwon301 (1.5)50 (16.6)104 (0.5)134 (0.7)200 (1.0)186 (0.9)
Jeju230 (1.1)98 (42.6)92 (0.5)108 (0.5)186 (0.9)253 (1.2)
Total20,303 (100.0)4,911 (24.2)5,946 (29.3)6,880 (33.9)7,468 (36.8)8,005 (39.4)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4.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는 Table 4와 같다. 보수교육의 형태를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로 원하는 경우가 32.8%,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형태가 19.5%로 조사되었으며,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가 17.2%, 온라인 강의 17.0%,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가 13.5%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 Dema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DivisionN (%)
Practice-oriented field experience lecture126 (32.8)
Appropriate allocation of audiovisual and field experience lectures75 (19.5)
Audiovisual lectures by field and level66 (17.2)
Online lecture65 (17.0)
Lecture on audiovisual theory of overseas speakers52 (13.5)
Total180 (100.0)

Multiple responses (total=384).



5.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만족도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만족도에 관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보수교육 강의내용의 만족도는 3.21±0.81점, 강사 수준의 만족도는 2.96±0.77점, 전체적인 만족도는 2.87±0.85점, 전공분야의 구성 만족도는 2.81±0.79점, 개설된 강의 수 만족도는 2.78±0.82점으로 나타났다.

Table 5 . Satisfaction with dental technician continuing education

CharacteristicMean±SD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continuing education2.78±0.82
Satisfaction with composition of major field2.81±0.79
Satisfaction with course content3.21±0.81
Instructor level satisfaction2.96±0.77
Overall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2.87±0.85
Average2.93±0.80

Likert scale (max 5, min 1).

SD: standard deviation.



보수교육 만족도는 평균 2.93±0.80점으로 보통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6.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2015~2022년)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은 Table 6과 같다. 2014년에 의료기사 면허신고제가 도입되어 2015년도에는 8,988명(51.1%)이 면허신고를 하였으며, 2016년 198명(1.1%), 2017년 58명(0.3%)이 면허신고를 하였다. 면허신고가 3년 주기로 진행되어 2018년에 다시 증가하여 3,174명(17.0%), 2019년 3,536명(18.2%), 2020년 773명(3.9%)이 신고하였다. 2021년 1,345명(6.7%), 2022년 619명(3.0%)이 면허신고를 하였다. 면허신고 예외자인 미활동자 사유는 출산육아, 일시적 폐업, 실직, 질병사고, 해외체류, 기타 등으로 나타났다.

Table 6 . Dental technician license report status (2015~2022)

YearMembers (%)First quarter2nd quarter3rd quarter4th quarterTotal
202220,303 (100.0)183 (0.9)112 (0.6)77 (0.4)247 (1.2)619 (3.0)
202120,184 (100.0)172 (0.9)144 (0.7)393 (1.9)636 (3.2)1,345 (6.7)
202019,755 (100.0)199 (1.0)221 (1.1)124 (0.6)229 (1.2)773 (3.9)
201919,398 (100.0)1,103 (5.7)467 (2.4)443 (2.3)1,523 (7.9)3,536 (18.2)
201818,625 (100.0)184 (1.0)237 (1.3)293 (1.6)2,460 (13.2)3,174 (17.0)
201718,275 (100.0)10 (0.05)11 (0.06)17 (0.09)20 (0.1)58 (0.3)
201617,822 (100.0)123 (0.7)38 (0.2)22 (0.1)15 (0.08)198 (1.1)
201517,575 (100.0)915 (5.2)2,127 (12.1)1,187 (6.8)4,759 (27.1)8,988 (51.1)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보수교육을 의무화한 것은 의료기사로 국민의 보건 및 의료향상을 위해 최소한의 실력향상을 보장하게 하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14]. 교육이란 받는 사람이 적극적으로 받아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면허는 있으나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의 보수교육 이수여부는 정확한 파악이 되지 않아 관리가 되지 않고, 보수교육 이수의무를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제20조, 보수교육)에 위반되는 경우이므로 보수교육 이수의무에 대한 홍보 및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사의 면허신고제 도입(2014.11.23.) 이후에는 보수교육을 이수하지 않고 면허신고를 하지 않은 의료기사는 면허의 효력이 정지된다[6]. 따라서 보수교육과 면허신고는 의료에 종사하는 의료기사는 의무적으로 이수 및 신고해야 한다.

치과기공사의 면허신고율은 시행초기인 2015년 5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다 면허신고 3년 주기인 2018년 약간 증가하여 17.0%를 나타냈다. 의료인(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조산사) 단체는 협회 가입이 의무로 지정되어 있어서 2013년 면허신고율이 평균 69%이나[15], 협회가 임의 가입단체로 분류되어있는 의료기사 등(치과기공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위생사, 의무기록사, 안경사)은 평균 27% 수준이다[16]. 이는 신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보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4만 명이 넘는 보수교육대상자 관리 인력 부족이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결국 협회 미등록자 2만여명은 관리의 사각지대에서 보수교육에 대한 정보를 받기가 어렵고 해당 자격의 변화된 내용과 취득자격의 기술, 기능 및 자질향상을 도모하기 어렵다. 보수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문제는 그동안 협회와 시·도회 등 꾸준한 개선과 대책을 요구해 온 사항이다. 미이수자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행정처분이 일차적인 불만대상이다. 그리고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소재 미파악자들의 보수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다는 것 또한 보수교육 대상자 관리 어려움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협회 주관으로 시행하는 중앙회 보수교육을 중심으로 보수교육의 형태와 만족도 등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응답자가 희망하는 보수교육의 형태는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를 원하는 경우가 32.8%,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형태가 19.5%로 조사되었으며,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가 17.2%, 온라인 강의 17.0%,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가 13.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Lee [10] 그리고 Park 등[13]의 연구결과와 같은 의견으로, 치과기공사는 보수교육에서 실제 임상현장에서 활용가능하고, 치과기공사의 주된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그리고 온라인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가 17.0% 나타났는데 French와 Dowds [17]는 보수교육을 이수하는데 있어서 제한점으로 시간 및 거리, 그리고 재정적인 문제를 포함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보수교육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비용 등의 재정적인 문제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만족도에 관한 내용에서 보수교육에 개설된 강의 수 만족도는 2.78로 조사되었고, 전공분야의 구성의 만족도는 2.81로 조사되었으며, 강의내용의 만족도는 3.21로 조사되었다. 강사 수준은 2.9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만족도는 2.87로 나타났다. 이는 Lee [10]의 연구와 같은 결과로 보수교육 만족도가 보통(3점) 이하로 조사되어 보수교육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 보수교육에 대한 현황을 보고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미필자에 대한 행정조치가 적절하게 취해지지 않아 일부 회원들은 보수교육 이수 의무가 있음에도 이수의무에 대한 인식저하로 이수하지 않거나, 혹은 본인이 보수교육을 얼마나 이수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가장 빨리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협회에 의무가입을 하게하거나 자율징계권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시·도회별로 해마다 한 번씩은 보수교육실적에 대한 부분을 회원에게 개별 우편배송하고 개인 SNS 등을 통해 보수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등 보수교육 미필자에 대한 홍보 및 경고 강화 전략이 필요하겠다. 또한, 무엇보다도 보수교육 내용의 관리와 보수교육 학습방법의 다양화 전략으로 강사풀의 적극적 확대와(신입강사, 전문강사 등) 교육수준의 구별을 통해 필요한 수준의 강의를 제공하고, 필수와 전문영역으로 교육을 구분하여 필요성에 따라 교육내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등 가능한 다양한 방법들의 제공은 보수교육이 형식적인 행사로 그치지 않을 때 가능하다. 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이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다면 회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수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보수교육 미이수자들에게 징계 등의 행정적인 조치만을 고려하기 보다는 면허신고제도를 적절히 활용하여 협회 가입을 유도하고 제도권 안에서 보수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협회에서 1차적으로 면허신고를 하지 않은 회원들을 확인하고, 시·도회를 통해 각 개인에게 통보하여 면허신고를 적극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치과기공사는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직업인으로 현재는 협회를 중심으로 중앙회와 시·도회, 학회 등의 교육을 보수교육으로 승인하고 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다양한 보수교육 기관을 인정하고 평점을 부여해야 하며 온라인 보수교육을 활성화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각 기관과 강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보수교육 내용과 운영, 강사, 평점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개선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운영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023 KDTEX에 참석한 치과기공사 18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기공사가 희망하는 보수교육 형태는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 온라인 강의,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만족도는 개설 강의 수 만족도 2.78, 전공분야의 구성의 만족도 2.81, 강의내용 만족도 3.21, 강사 수준 2.96, 전체적인 만족도 2.87로 조사되었고, 보수교육 만족도는 평균 2.93으로 보통(3점)보다 낮게 조사되어 전체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수교육 및 면허신고의 개선방안으로 보수교육 미필자에 대한 홍보 및 경고 강화, 교육내용의 관리와 보수교육 학습방법의 다양화, 면허신고제도와의 연계, 사후관리 및 평가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은 개인의 자기개발과 국민에게 지속적인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보수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도적으로 강화하고 협회 차원에서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면허신고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정부의 법적 영향력 안에서 보수교육 미필자 대책이 실행되어야 한다. 치과기공소 개설 시 보수교육 이수 확인 강화, 자율징계권 강화, 보수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의 다양화, 면허신고제도와의 연계, 사후평가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관련 정책도입 등이 진행돼야 한다. 치과기공사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는 미가입 회원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치과기공사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이는 국민구강 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1. Jung JY, Kim KM, Cho MS, Ahn GS, Song KH, Choi HJ, et al. A study on the state of inservice education for dental hygienists and their relevant awareness. J Korean Soc Dent Hyg. 2007;7:73-89.
  2. Jho MY.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Korean J Adult Nurs. 2013;25:1-12.
    CrossRef
  3. Shin H. A study on status and needs of in-service educ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Disabil Employ. 2017;27:5-27.
    CrossRef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Guidelines for the notific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medical personnel, etc. MOHW; 2014.
  5. Lee SM, Lee EK. A stud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Busan region. J Korean Acad Dent Hyg. 2009;11:197-207.
  6. Park IS, Lee SH. A study on satisfaction level with supplementary edu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159-167.
  7. Lee SK.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of dental technicians.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8;40:97-104.
    CrossRef
  8. Kim Y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dental hygienist. Korea High Vocat Educ Assoc. 2008;9:97-109.
  9. Park JE, Kang BW, Kim Y, Lee SM.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499-506.
    CrossRef
  10. Jeong BJ, Park JK, Kang SS, Noh SC. A study on satisfaction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J Korean Soc Radiol. 2017;11:475-481.
    CrossRef
  11. Lee SG. Licensing declaration status by medical practitioner [Internet]. Medipana; 2013 [cited 2023 Oct 30].
    Available from: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124002&sch_menu=1&sch_gubun=5.
  12. Lee UB. Medical technician license not managed… reporting rate is only 27% [Internet]. Medical Observer; 2015 [cited 2023 Oct 30].
    Available from: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909.
  13. French HP, Dowds J. An overview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hysiotherapy. Physiotherapy. 2008;94:190-197.
    CrossRef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3; 45(4): 111-117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3 https://doi.org/10.14347/jtd.2023.45.4.111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 및 발전을 위한 연구

이선경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Received: November 6, 2023; Revised: December 12, 2023; Accepted: December 20, 2023

A study on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status and development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6495, Korea
E-mail: oksk3737@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7025-7483

Received: November 6, 2023; Revised: December 12, 2023; Accepted: December 20,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aid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progressive continuing education and licensing reporting and development program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dental technicians nationwide who attended the 2023 Korea Dental Technology Expo & Scientific Conference and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from July 21 to July 23, 2023. In total, 180 copies were analyzed.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demonstrated a Cronbach’s α of 0.924.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IBM)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was 2.78, 2.81, 3.21, 2.96, and 2.87 for the number of lectures offered, composition of major fields, lecture content, instructor level, and overall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was 2.93,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 point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overall improvement was required.
Conclusion: Measures for those who have not completed continuing education must be implemented within the government’s legal influence by actively using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Strengthening verification of comple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mproving autonomous disciplinary rights, diversifying the content and learning methods of continuing education, linking with the license reporting system, improving institutional postevaluation, and introducing related policies should be conducted when opening a dental laboratory.

Keywords: Continuing education, Dental technicians,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License report

INTRODUCTION

보건의료인은 급변하는 의료상황에서 각자의 역할에 요구되는 책임을 다하고 대상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받아야 한다[1]. 특히 보건의료 분야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의료의 질적 유지 및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분야이고, 지속적인 교육은 환자들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2].

보수교육이란 ‘기술·기능 및 자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해당자격의 변화된 내용과 기술정보를 제공, 보충하는 교육으로서 주기적이고 계속적으로 실시하는 교육’으로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에서는 치기공분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와 기술을 습득하여 임상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3]. 따라서 보수교육은 치과기공사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며, 교육의 방법이나 수준은 담당하고 있는 직무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보수교육은 급격한 사회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하는 전문적인 직업일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하겠다[4]. 이러한 보수교육의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핵심적 내용은 전문성 강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한 조직의 안정성 강화, 자기효능감의 증진으로 압축될 수 있다[5].

보건의료인의 보수교육과 면허관리를 통해 환자 안전 및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료인의 면허신고제도가 2014년부터 시행되었다. 보건의료인의 면허신고제를 통해 의료인의 자격관리 및 보수교육 내실화를 통한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보건의료인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제고하는 것이 목표이다. 보건의료인은 최초로 면허를 받은 후부터 3년마다 소속 중앙회 홈페이지를 통해 면허신고가 가능하다[6].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은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생산되는 최신의 의료기술과 정보를 전달하여 의료기사의 자질향상을 도모하고 개인의 자기개발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국민의 보건 및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사법과 대한치과기공사협회(이하 협회)의 정관에 의거하여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7]. 협회 보수교육 시행의 목적은 ‘의료기사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8조, 정관 제51조’에 의거 필요한 보수교육을 실시하여 회원의 자질향상을 도모함에 있다. 그러나 보수교육은 법 이전에 사회적인 요구와 치과기공사의 자발적인 필요성 인식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환자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하는 치과기공사에게 전문직 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은 항상 새로워야 한다. 매일 새로워지는 의료지식이나 기술의 수명은 영원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면허 취득 후에는 그 역할을 협회가 보수교육을 통해 마련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속에서 치과기공의 재료 및 장비는 3-dimensional 프린터,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등 최첨단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다양한 요구를 대응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평생교육이고 협회에서는 이를 보수교육으로 칭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이 이와 같은 목적과 변화의 추세를 달성하고 있는지 미가입 회원의 증가추세로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으며, 그 동안 시대 변화에 따른 보수교육의 점수, 내용구성과 제공방법, 교육에 대한 사후 평가 관리 등의 개선점에 대한 지적들이 꾸준히 있어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때라고 생각된다.

기존의 보수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보수교육 실태와 인식[1], 보수교육의 실태와 만족도[8-10], 보수교육의 실태와 요구도[11], 보수교육의 개선 관련[12], 보수교육의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13]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보수교육에 대한 실태 파악으로만 그쳐지고 면허신고와 연관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운영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1. 연구대상

연구대상자는 2023 KDTEX (Korea Dental Technology Expo & Scientific Conference, 치과기공사 국제학술대회)에 참석한 전국 치과기공사를 대상으로 2023년 7월 21일부터 7월 23일까지 온라인 설문 응답을 받았다. 설문지에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개인의 비밀을 보장하고 설문 내용은 연구 이외의 목적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명시하였다. 설문 시간은 10분 정도이며 총 186부의 설문을 회수하였고, 무응답 문항이 많은 6부를 제외하고 180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Lee [10] 그리고 Park 등[13]의 선행연구를 참고하였고, 본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 3문항(성별, 연령, 근무지),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도 1문항,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의 만족도 5문항(개설 강의 수 만족도, 전공분야 구성 만족도, 강의 내용 만족도, 강사 수준 만족도, 전체적인 만족도)으로 구성하였으며, 리커트(Likert) 5점 척도 ‘매우 만족’은 5점, ‘매우 불만족’은 1점으로 산정하였다. 보수교육 만족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24로 나타났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에서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아 협회 회원 현황, 협회 회원 보수교육 이수자수 및 이수비율(2018~2022년),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2015~2022년)에 대해 연도별 빈도와 퍼센트를 정리하였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1.0 (IBM)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 특성,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도 관련 내용, 보수교육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가 70.6%, 여자가 29.4%를 나타냈고, 연령은 40~49세가 34.5%, 30~39세 29.4%, 20~29세 25.0%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지는 치과기공소가 72.8%, 치과의원 기공실이 14.4%, 치과병원 기공실이 8.3%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teristicDivisionN (%)
GenderMan127 (70.6)
Woman53 (29.4)
Age (yr)20~2945 (25.0)
30~3953 (29.4)
40~4962 (34.5)
50~5916 (8.9)
≥604 (2.2)
Work placeDental laboratory131 (72.8)
Dental clinic laboratory26 (14.4)
Dental hospital laboratory15 (8.3)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5 (2.8)
Etc.3 (1.7)
Total180 (100.0)


2.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회원 현황

치과기공사 면허자수는 2022년 41,789명이며, 협회에 가입한 치과기공사 수는 2022년 20,303명이다. 그 중 협회 자료에 의하면 보수교육에 참여하고 꾸준히 활동하는 회원은 10,706명(2022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면허자 수 대비 26.2%이다(Table 2).

Table 2 . Membership status of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Division20222021202020192018
Number of licensees41,78940,86339,93738,42937,466
Registered member20,30320,18419,75519,39818,625
Active member10,70610,91110,74111,04610,502
Active membership rate (%)26.226.726.928.728.0


3. 대한치과기공사협회 회원 보수교육 이수자수 및 이수비율(2018~2022년)

협회에 가입된 16개 시도회의 회원은 총 20,303명(100.0%)이며 2022년 보수교육 이수현황을 보면 서울회가 33.3%, 경기회 12.7%, 부산회 10.4%, 대구회 9.6%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보수교육 이수비율은 2018년 39.4%, 2019년 36.8%, 2020년 33.9%, 2021년 29.3%, 2022년 24.2%로 최근 5년간 보수교육 이수자가 감소하고 있음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 3 . Number and completion rate of continuing education among members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RegionMember (%)20222021202020192018
Seoul6,733 (33.3)1,651 (24.5)1,832 (9.0)2,126 (10.5)2,373 (11.7)2,448 (12.1)
Busan2,112 (10.4)549 (26.0)541 (2.7)607 (3.0)682 (3.4)702 (3.5)
Daegu1,947 (9.6)373 (19.2)557 (2.7)596 (2.9)557 (2.7)604 (3.0)
Gyeongbuk609 (3.0)103 (16.9)145 (0.7)184 (0.9)166 (0.8)161 (0.8)
Gyeongnam794 (3.9)169 (21.3)221 (1.1)290 (1.4)324 (1.6)349 (1.7)
Ulsan415 (2.0)78 (18.8)90 (0.4)144 (0.7)127 (0.6)155 (0.8)
Incheon636 (3.1)219 (34.4)262 (1.3)272 (1.3)268 (1.3)249 (1.2)
Gyeonggi2,583 (12.7)670 (25.9)833 (4.1)990 (4.9)1,052 (5.2)1,011 (5.0)
Daejeon816 (4.0)268 (32.8)321 (1.6)317 (1.6)309 (1.5)320 (1.6)
Chungnam527 (2.6)135 (25.6)132 (0.7)157 (0.8)175 (0.9)135 (0.7)
Chungbuk424 (2.1)140 (33.0)150 (0.7)182 (0.9)185 (0.9)205 (1.0)
Jeonnam473 (2.3)147 (31.1)174 (0.9)181 (0.9)196 (1.0)200 (1.0)
Gwangju945 (4.7)162 (17.1)269 (1.3)312 (1.5)374 (1.8)724 (3.6)
Jeonbuk758 (3.7)197 (26.0)223 (1.1)280 (1.4)294 (1.4)303 (1.5)
Gangwon301 (1.5)50 (16.6)104 (0.5)134 (0.7)200 (1.0)186 (0.9)
Jeju230 (1.1)98 (42.6)92 (0.5)108 (0.5)186 (0.9)253 (1.2)
Total20,303 (100.0)4,911 (24.2)5,946 (29.3)6,880 (33.9)7,468 (36.8)8,005 (39.4)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4.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요구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는 Table 4와 같다. 보수교육의 형태를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로 원하는 경우가 32.8%,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형태가 19.5%로 조사되었으며,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가 17.2%, 온라인 강의 17.0%,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가 13.5%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4 . Dema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DivisionN (%)
Practice-oriented field experience lecture126 (32.8)
Appropriate allocation of audiovisual and field experience lectures75 (19.5)
Audiovisual lectures by field and level66 (17.2)
Online lecture65 (17.0)
Lecture on audiovisual theory of overseas speakers52 (13.5)
Total180 (100.0)

Multiple responses (total=384)..



5.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만족도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만족도에 관한 내용은 Table 5와 같다. 보수교육 강의내용의 만족도는 3.21±0.81점, 강사 수준의 만족도는 2.96±0.77점, 전체적인 만족도는 2.87±0.85점, 전공분야의 구성 만족도는 2.81±0.79점, 개설된 강의 수 만족도는 2.78±0.82점으로 나타났다.

Table 5 . Satisfaction with dental technician continuing education.

CharacteristicMean±SD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continuing education2.78±0.82
Satisfaction with composition of major field2.81±0.79
Satisfaction with course content3.21±0.81
Instructor level satisfaction2.96±0.77
Overall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2.87±0.85
Average2.93±0.80

Likert scale (max 5, min 1)..

SD: standard deviation..



보수교육 만족도는 평균 2.93±0.80점으로 보통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6.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2015~2022년)

치과기공사 면허신고현황은 Table 6과 같다. 2014년에 의료기사 면허신고제가 도입되어 2015년도에는 8,988명(51.1%)이 면허신고를 하였으며, 2016년 198명(1.1%), 2017년 58명(0.3%)이 면허신고를 하였다. 면허신고가 3년 주기로 진행되어 2018년에 다시 증가하여 3,174명(17.0%), 2019년 3,536명(18.2%), 2020년 773명(3.9%)이 신고하였다. 2021년 1,345명(6.7%), 2022년 619명(3.0%)이 면허신고를 하였다. 면허신고 예외자인 미활동자 사유는 출산육아, 일시적 폐업, 실직, 질병사고, 해외체류, 기타 등으로 나타났다.

Table 6 . Dental technician license report status (2015~2022).

YearMembers (%)First quarter2nd quarter3rd quarter4th quarterTotal
202220,303 (100.0)183 (0.9)112 (0.6)77 (0.4)247 (1.2)619 (3.0)
202120,184 (100.0)172 (0.9)144 (0.7)393 (1.9)636 (3.2)1,345 (6.7)
202019,755 (100.0)199 (1.0)221 (1.1)124 (0.6)229 (1.2)773 (3.9)
201919,398 (100.0)1,103 (5.7)467 (2.4)443 (2.3)1,523 (7.9)3,536 (18.2)
201818,625 (100.0)184 (1.0)237 (1.3)293 (1.6)2,460 (13.2)3,174 (17.0)
201718,275 (100.0)10 (0.05)11 (0.06)17 (0.09)20 (0.1)58 (0.3)
201617,822 (100.0)123 (0.7)38 (0.2)22 (0.1)15 (0.08)198 (1.1)
201517,575 (100.0)915 (5.2)2,127 (12.1)1,187 (6.8)4,759 (27.1)8,988 (51.1)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DISCUSSION

보수교육을 의무화한 것은 의료기사로 국민의 보건 및 의료향상을 위해 최소한의 실력향상을 보장하게 하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14]. 교육이란 받는 사람이 적극적으로 받아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면허는 있으나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의 보수교육 이수여부는 정확한 파악이 되지 않아 관리가 되지 않고, 보수교육 이수의무를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제20조, 보수교육)에 위반되는 경우이므로 보수교육 이수의무에 대한 홍보 및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사의 면허신고제 도입(2014.11.23.) 이후에는 보수교육을 이수하지 않고 면허신고를 하지 않은 의료기사는 면허의 효력이 정지된다[6]. 따라서 보수교육과 면허신고는 의료에 종사하는 의료기사는 의무적으로 이수 및 신고해야 한다.

치과기공사의 면허신고율은 시행초기인 2015년 5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다 면허신고 3년 주기인 2018년 약간 증가하여 17.0%를 나타냈다. 의료인(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 조산사) 단체는 협회 가입이 의무로 지정되어 있어서 2013년 면허신고율이 평균 69%이나[15], 협회가 임의 가입단체로 분류되어있는 의료기사 등(치과기공사,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치과위생사, 의무기록사, 안경사)은 평균 27% 수준이다[16]. 이는 신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보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 4만 명이 넘는 보수교육대상자 관리 인력 부족이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결국 협회 미등록자 2만여명은 관리의 사각지대에서 보수교육에 대한 정보를 받기가 어렵고 해당 자격의 변화된 내용과 취득자격의 기술, 기능 및 자질향상을 도모하기 어렵다. 보수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문제는 그동안 협회와 시·도회 등 꾸준한 개선과 대책을 요구해 온 사항이다. 미이수자에 대한 정부의 미온적인 행정처분이 일차적인 불만대상이다. 그리고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소재 미파악자들의 보수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다는 것 또한 보수교육 대상자 관리 어려움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년 협회 주관으로 시행하는 중앙회 보수교육을 중심으로 보수교육의 형태와 만족도 등을 알아보고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응답자가 희망하는 보수교육의 형태는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를 원하는 경우가 32.8%,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형태가 19.5%로 조사되었으며,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가 17.2%, 온라인 강의 17.0%,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가 13.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Lee [10] 그리고 Park 등[13]의 연구결과와 같은 의견으로, 치과기공사는 보수교육에서 실제 임상현장에서 활용가능하고, 치과기공사의 주된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그리고 온라인 보수교육에 대한 요구가 17.0% 나타났는데 French와 Dowds [17]는 보수교육을 이수하는데 있어서 제한점으로 시간 및 거리, 그리고 재정적인 문제를 포함한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보수교육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비용 등의 재정적인 문제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치과기공사의 보수교육 만족도에 관한 내용에서 보수교육에 개설된 강의 수 만족도는 2.78로 조사되었고, 전공분야의 구성의 만족도는 2.81로 조사되었으며, 강의내용의 만족도는 3.21로 조사되었다. 강사 수준은 2.9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만족도는 2.87로 나타났다. 이는 Lee [10]의 연구와 같은 결과로 보수교육 만족도가 보통(3점) 이하로 조사되어 보수교육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매년 보건복지부에 보수교육에 대한 현황을 보고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미필자에 대한 행정조치가 적절하게 취해지지 않아 일부 회원들은 보수교육 이수 의무가 있음에도 이수의무에 대한 인식저하로 이수하지 않거나, 혹은 본인이 보수교육을 얼마나 이수하지 않았는지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가장 빨리 제대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협회에 의무가입을 하게하거나 자율징계권을 부여하는 것이지만,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시·도회별로 해마다 한 번씩은 보수교육실적에 대한 부분을 회원에게 개별 우편배송하고 개인 SNS 등을 통해 보수교육 정보를 제공하는 등 보수교육 미필자에 대한 홍보 및 경고 강화 전략이 필요하겠다. 또한, 무엇보다도 보수교육 내용의 관리와 보수교육 학습방법의 다양화 전략으로 강사풀의 적극적 확대와(신입강사, 전문강사 등) 교육수준의 구별을 통해 필요한 수준의 강의를 제공하고, 필수와 전문영역으로 교육을 구분하여 필요성에 따라 교육내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등 가능한 다양한 방법들의 제공은 보수교육이 형식적인 행사로 그치지 않을 때 가능하다. 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이 병행하여 진행될 수 있다면 회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며 수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보수교육 미이수자들에게 징계 등의 행정적인 조치만을 고려하기 보다는 면허신고제도를 적절히 활용하여 협회 가입을 유도하고 제도권 안에서 보수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협회에서 1차적으로 면허신고를 하지 않은 회원들을 확인하고, 시·도회를 통해 각 개인에게 통보하여 면허신고를 적극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치과기공사는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직업인으로 현재는 협회를 중심으로 중앙회와 시·도회, 학회 등의 교육을 보수교육으로 승인하고 있다. 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다양한 보수교육 기관을 인정하고 평점을 부여해야 하며 온라인 보수교육을 활성화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각 기관과 강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보수교육 내용과 운영, 강사, 평점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적극 반영하여 개선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CONCLUSIONS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실태와 면허신고 현황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운영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2023 KDTEX에 참석한 치과기공사 18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과기공사가 희망하는 보수교육 형태는 실습위주의 현장 체험형 강의, 시청각과 현장체험의 적절한 배분의 강의, 해외 연자들의 시청각 이론 강의, 온라인 강의, 분야·수준별 시청각 강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2. 치과기공사 보수교육 만족도는 개설 강의 수 만족도 2.78, 전공분야의 구성의 만족도 2.81, 강의내용 만족도 3.21, 강사 수준 2.96, 전체적인 만족도 2.87로 조사되었고, 보수교육 만족도는 평균 2.93으로 보통(3점)보다 낮게 조사되어 전체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보수교육 및 면허신고의 개선방안으로 보수교육 미필자에 대한 홍보 및 경고 강화, 교육내용의 관리와 보수교육 학습방법의 다양화, 면허신고제도와의 연계, 사후관리 및 평가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치과기공사 보수교육은 개인의 자기개발과 국민에게 지속적인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보수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제도적으로 강화하고 협회 차원에서 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면허신고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정부의 법적 영향력 안에서 보수교육 미필자 대책이 실행되어야 한다. 치과기공소 개설 시 보수교육 이수 확인 강화, 자율징계권 강화, 보수교육의 교육내용과 학습방법의 다양화, 면허신고제도와의 연계, 사후평가에 대한 제도적 개선과 관련 정책도입 등이 진행돼야 한다. 치과기공사 보수교육과 면허신고의 활성화는 궁극적으로는 미가입 회원을 감소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치과기공사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이는 국민구강 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None.

FUNDING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yungdong University Research Fund, 2023.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CharacteristicDivisionN (%)
GenderMan127 (70.6)
Woman53 (29.4)
Age (yr)20~2945 (25.0)
30~3953 (29.4)
40~4962 (34.5)
50~5916 (8.9)
≥604 (2.2)
Work placeDental laboratory131 (72.8)
Dental clinic laboratory26 (14.4)
Dental hospital laboratory15 (8.3)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5 (2.8)
Etc.3 (1.7)
Total180 (100.0)

Table 2 . Membership status of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Division20222021202020192018
Number of licensees41,78940,86339,93738,42937,466
Registered member20,30320,18419,75519,39818,625
Active member10,70610,91110,74111,04610,502
Active membership rate (%)26.226.726.928.728.0

Table 3 . Number and completion rate of continuing education among members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2018~2022).

RegionMember (%)20222021202020192018
Seoul6,733 (33.3)1,651 (24.5)1,832 (9.0)2,126 (10.5)2,373 (11.7)2,448 (12.1)
Busan2,112 (10.4)549 (26.0)541 (2.7)607 (3.0)682 (3.4)702 (3.5)
Daegu1,947 (9.6)373 (19.2)557 (2.7)596 (2.9)557 (2.7)604 (3.0)
Gyeongbuk609 (3.0)103 (16.9)145 (0.7)184 (0.9)166 (0.8)161 (0.8)
Gyeongnam794 (3.9)169 (21.3)221 (1.1)290 (1.4)324 (1.6)349 (1.7)
Ulsan415 (2.0)78 (18.8)90 (0.4)144 (0.7)127 (0.6)155 (0.8)
Incheon636 (3.1)219 (34.4)262 (1.3)272 (1.3)268 (1.3)249 (1.2)
Gyeonggi2,583 (12.7)670 (25.9)833 (4.1)990 (4.9)1,052 (5.2)1,011 (5.0)
Daejeon816 (4.0)268 (32.8)321 (1.6)317 (1.6)309 (1.5)320 (1.6)
Chungnam527 (2.6)135 (25.6)132 (0.7)157 (0.8)175 (0.9)135 (0.7)
Chungbuk424 (2.1)140 (33.0)150 (0.7)182 (0.9)185 (0.9)205 (1.0)
Jeonnam473 (2.3)147 (31.1)174 (0.9)181 (0.9)196 (1.0)200 (1.0)
Gwangju945 (4.7)162 (17.1)269 (1.3)312 (1.5)374 (1.8)724 (3.6)
Jeonbuk758 (3.7)197 (26.0)223 (1.1)280 (1.4)294 (1.4)303 (1.5)
Gangwon301 (1.5)50 (16.6)104 (0.5)134 (0.7)200 (1.0)186 (0.9)
Jeju230 (1.1)98 (42.6)92 (0.5)108 (0.5)186 (0.9)253 (1.2)
Total20,303 (100.0)4,911 (24.2)5,946 (29.3)6,880 (33.9)7,468 (36.8)8,005 (39.4)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Table 4 . Dema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dental technicians.

DivisionN (%)
Practice-oriented field experience lecture126 (32.8)
Appropriate allocation of audiovisual and field experience lectures75 (19.5)
Audiovisual lectures by field and level66 (17.2)
Online lecture65 (17.0)
Lecture on audiovisual theory of overseas speakers52 (13.5)
Total180 (100.0)

Multiple responses (total=384)..


Table 5 . Satisfaction with dental technician continuing education.

CharacteristicMean±SD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continuing education2.78±0.82
Satisfaction with composition of major field2.81±0.79
Satisfaction with course content3.21±0.81
Instructor level satisfaction2.96±0.77
Overall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2.87±0.85
Average2.93±0.80

Likert scale (max 5, min 1)..

SD: standard deviation..


Table 6 . Dental technician license report status (2015~2022).

YearMembers (%)First quarter2nd quarter3rd quarter4th quarterTotal
202220,303 (100.0)183 (0.9)112 (0.6)77 (0.4)247 (1.2)619 (3.0)
202120,184 (100.0)172 (0.9)144 (0.7)393 (1.9)636 (3.2)1,345 (6.7)
202019,755 (100.0)199 (1.0)221 (1.1)124 (0.6)229 (1.2)773 (3.9)
201919,398 (100.0)1,103 (5.7)467 (2.4)443 (2.3)1,523 (7.9)3,536 (18.2)
201818,625 (100.0)184 (1.0)237 (1.3)293 (1.6)2,460 (13.2)3,174 (17.0)
201718,275 (100.0)10 (0.05)11 (0.06)17 (0.09)20 (0.1)58 (0.3)
201617,822 (100.0)123 (0.7)38 (0.2)22 (0.1)15 (0.08)198 (1.1)
201517,575 (100.0)915 (5.2)2,127 (12.1)1,187 (6.8)4,759 (27.1)8,988 (51.1)

Data of the Korean Dental Technicians Association..


References

  1. Jung JY, Kim KM, Cho MS, Ahn GS, Song KH, Choi HJ, et al. A study on the state of inservice education for dental hygienists and their relevant awareness. J Korean Soc Dent Hyg. 2007;7:73-89.
  2. Jho MY. Nurse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Korean J Adult Nurs. 2013;25:1-12.
    CrossRef
  3. Shin H. A study on status and needs of in-service educ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Disabil Employ. 2017;27:5-27.
    CrossRef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Guidelines for the notific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medical personnel, etc. MOHW; 2014.
  5. Lee SM, Lee EK. A study on continuing educa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in Busan region. J Korean Acad Dent Hyg. 2009;11:197-207.
  6. Park IS, Lee SH. A study on satisfaction level with supplementary education among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159-167.
  7. Lee SK.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of dental technicians.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8;40:97-104.
    CrossRef
  8. Kim Y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dental hygienist. Korea High Vocat Educ Assoc. 2008;9:97-109.
  9. Park JE, Kang BW, Kim Y, Lee SM.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499-506.
    CrossRef
  10. Jeong BJ, Park JK, Kang SS, Noh SC. A study on satisfaction of supplementary education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 J Korean Soc Radiol. 2017;11:475-481.
    CrossRef
  11. Lee SG. Licensing declaration status by medical practitioner [Internet]. Medipana; 2013 [cited 2023 Oct 30]. Available from: https://www.medipana.com/article/view.php?news_idx=124002&sch_menu=1&sch_gubun=5.
  12. Lee UB. Medical technician license not managed… reporting rate is only 27% [Internet]. Medical Observer; 2015 [cited 2023 Oct 30]. Available from: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6909.
  13. French HP, Dowds J. An overview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in physiotherapy. Physiotherapy. 2008;94:190-197.
    CrossRef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Most KeyWord ?

What is Most Keyword?

  • It is most registrated keyword in articles at this journal during for 2 years.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eISSN 2288-5218
pISSN 1229-3954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