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riginal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4; 46(3): 114-125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4

https://doi.org/10.14347/jtd.2024.46.3.114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기공학과 학생의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순석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Received: August 1, 2024; Revised: August 20, 2024; Accepted: August 27, 2024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elf-leadership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ician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on-Suk Kwo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 :
Soon-Suk Kwo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4695, Korea
E-mail: kss37@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9088-9648

Received: August 1, 2024; Revised: August 20, 2024; Accepted: August 27,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fourth-year students graduating from the 4-year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pecific methods and related programs to help graduates adopt positive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43 questionnaires from fourth-year students of the 4-year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Gyeonggi-do, Gangwon-do, and Busan Metropolitan City. T-test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p<0.01)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actors, and the detailed factors of self-leadership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titude” (p<0.05), “natural reward strategies” (p<0.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p<0.01),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p<0.01) demonstra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explanatory power values of the models were 50.7% and 52.9%,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major volunteer activities is needed to ensure students feel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guid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in various self-development programs during their time in university. In addition,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need to develop step-by-step and various career-preparation behavior programs for each year level.

Keyword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ntal technolog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responsibility

고등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목적은 적성과 흥미 등을 바탕으로 학과를 선택하고 전문성을 갖춰 안정적이고 만족한 취업을 하기 위함이나, 현재 입시위주의 고등교육은 본인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한 전공 선택은 쉽지 않으며, 많은 학생들이 입학 한 후에도 중도포기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도 전공과 관련 없는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1]. 의료기사인 치과기공사를 양성하는 치기공(학)과는 매년 약 1,200명의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매년 약 1,000여명이 넘는 치과기공사가 배출되고 있으나[2], 취업 후 초반 이직율이 매우 높아 전체 면허 취득자의 1/3만이 현업에 종사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3].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대학생활과 함께 자신의 미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직업을 선택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4], 대학 시절에 전공 직업세계를 탐색하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준비하는 것은 취업 후 초기 이직률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5].

대학생의 진로 준비 행동은, 자신이 앞으로 선택할 직업과 관련된 자신과 직업 환경에 대한 이해 후 주변 탐색과 진로 결정 및 구체적 실행을 위한 실제적인 행위 또는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이 이뤄진 이후에 그 결정사항을 실행하는 행위 등으로[6,7], 개인의 다양한 내·외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연속선상의 행위이므로 자신에게 존재하는 내적인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8]. 이와 같은 진로 준비 행동에 있어 대학생들에게 매우 유의미한 요인은 전공을 불문하고 셀프리더십이 나타났으며[9-11], 의료기술과 지식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의료소비자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과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간호 및 보건인력에게 창의력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셀프리더십이 더욱 강조되고 이를 기본적인 자질로 요구하고 있다[12].

셀프리더십이란, 스스로 목표를 정해 방향을 설정하고 동기부여를 통해 주도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과정으로 누구나 어느 정도 발휘할 수 있고 효과적 학습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7]. 또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를 스스로 설정 및 성취토록 함으로써 진로 준비를 적극적으로 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며[8], 개인과 조직을 위해 스스로 자신을 생각과 행동을 리드하여 자기역량과 내적인 동기부여에 중점을 둔다[12]. 이러한 셀프리더십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향상 될 수 있으므로 학업시기에 진로 준비 행동과 졸업 후 임상 수행 및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13].

사회적 책임성은 기초적인 사회 규범을 설정하고 이를 신뢰 속에 사회가 유지되게 하는 상호작용으로 사회 구성원 개인의 사회적 책임성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7], 인권과 사회정의 및 지역사회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문직이 갖는 사회적 책임성이 강조되고 있다[14]. Kim 등[15]은 대학 및 학과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전문직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환자의 상실된 치아 및 주위조직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보철물을 만들어 주는 유일한 의료기사인 치과기공사는 환자의 구강건강을 회복시켜주는 사회적 책임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적 책임성은 치과기공사가 되기 전부터 함양해야할 기본 자질이 중에 하나로 판단된다.

선행 연구에서 Cho [16]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대학 졸업 후 취업의 편의성을 위해 타 전공에 비해 보건계열의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했으나, Chung과 Kim [17]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스트레스를 더 크게 느낀다고 했으며, Lim 등[1]은 취직이 잘 된다는 이유로 만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전공과 전혀 다르거나 차이가 있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취업 후에 즉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Lee와 Lee [5]는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자리 탐색경험, 취업 및 면접지원 횟수 등 취업준비 행동에서 차이가 있었고 첫 직장의 만족도가 높았다고 했으며, Kim과 Yu [18]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졸업 후 전공 관련 직업을 갖는 것을 전제로 입학했으므로 전공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곧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Park [3]은 치기공(학)과의 경우 임상에서 곧바로 쓰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학교 실습과 임상 작업과의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생활에서 자신의 적성과 자질, 흥미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설계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대학차원에서도 인재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8], 대학생시기에 셀프리더십을 기르는 것은 진로 준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11]. 또한 대학교 재학 시기에 진로 준비 행동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한 사람일수록 자신이 선택한 첫 번째 직장에서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성 또한 길러야 하는 기본 소양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4년제 치기공학과의 졸업 학년인 4학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졸업대상 학생들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진로 준비 행동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2023년 9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부산광역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4년제 치기공학과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중 자발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총 200명의 설문지 중 통계분석에 누락 및 결여되어 제외한 설문지 외 최종 143명(71.5%)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Shin [19], Kim [7], Kim [14], Choi와 Kim [6], Kim [8] 등의 연구에서 사용하여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다.

사회적 책임성 설문지는 총 27개 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태도와 의무, 능력과 효능감, 수행 등 총 5개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36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 설문지는 총 35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의사결정시 주변의 환경을 관리 및 통제하는 행동 중심적 전략, 일에서 보람을 찾아 자기 결정감과 유능감을 주는 자연적 보상전략, 생각의 방향을 바람직하게 수정 및 확립하는 건설적 사고전략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61로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총 25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자기이해 행동,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 등 3개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45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모두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전공 관련 봉사활동, 진로 관련 프로그램, 학과 지원 동기, 전공 만족도, 희망 직무를 조사했다.

3. 자료분석

본 연구 자료는 SPSS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을 사용했으며, 통계적 검정의 유의수준은 α=0.05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은 기술통계 분석을 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Tukey & Duncan)을 했으며,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의 세부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상관분석을 했다. 또한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실시하였다.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성별에서 ‘여학생’이 51.7%로 ‘남학생’ 48.3%보다 많았고, 전공관련 봉사활동 경험은 ‘없다(69.9%)’, 진로관련 프로그램 참여는 ‘없다(51.0%)’가 높게 나타났다. 학과 지원 동기에서는 ‘부모님 등 주변의 권유(26.6%)’, 전공 만족도는 ‘만족(44.8%)’, 희망 직무는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34.3%)’이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n=143)

ClassificationNumber (%)
Sex
Male69 (48.3)
Female74 (51.7)
Volunteer work experience
Yes43 (30.1)
No100 (69.9)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Yes70 (49.0)
No73 (51.0)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Aptitude and interest34 (23.8)
High employment rate27 (18.9)
Parental or other’s recommendation38 (26.6)
According to own grades34 (23.8)
Others10 (6.9)
Satisfaction for major
Poor19 (13.3)
Average60 (41.9)
Good64 (44.8)
Desired job
Crown or porcelain39 (27.3)
RPD or complete denture9 (6.3)
CAD/CAM51 (35.7)
Orthodontics10 (6.9)
Does not matter34 (23.8)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2.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은 3.54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에서는 ‘의무’가 3.69점으로 가장 높고 ‘수행(3.57점)’, ‘태도(3.56점)’, ‘효능감(3.45점)’, ‘능력(3.38점)’ 순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3.55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세부 요인에서는 ‘행동 중심적 전략(3.59점)’, ‘자연적 보상전략(3.57점)’, ‘건설적 사고전략(3.48점)’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은 3.36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은 ‘자기이해 행동(3.74점)’, ‘직업능력 향상 행동(3.15점)’, ‘직업세계 탐색 행동(3.05점)’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bjects (n=143)

VariableMean±SD
Social responsibility3.54±0.56
Attitude3.56±0.67
Duty3.69±0.60
Ability3.38±0.73
Effectiveness3.45±0.70
Practice3.57±0.66
Self-leadership3.55±0.62
Behavior-focused strategies3.59±0.60
Natural reward strategies3.57±0.76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4
Career preparation behavior3.36±0.56
Self-understanding behavior3.74±0.7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15±0.75
Job world search behavior3.05±0.88

SD: standard deviation.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성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남학생’이 ‘합계’와 세부요인 중 ‘능력’, ‘효능감’, ‘수행’이 높고, ‘여학생’은 ‘태도’와 ‘의무’에서 높았으며, 셀프리더십에서는 ‘남학생’이 세부요인 중 ‘자연적 보상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이 높고, ‘여학생’은 ‘합계’와 ‘행동 중심적 전략’이 높았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남학생’이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ex (n=143)

VariableSext (p)

Male (n=69)Female (n=74)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52±0.763.59±0.57–0.653 (0.515)
Duty3.68±0.663.69±0.54–0.135 (0.892)
Ability3.47±0.853.29±0.601.443 (0.151)
Effectiveness3.52±0.763.39±0.641.110 (0.269)
Practice3.59±0.723.56±0.610.269 (0.788)
Total3.56±0.663.52±0.460.476 (0.63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55±0.623.61±0.58–0.583 (0.561)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83.56±0.750.226 (0.822)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33.47±0.670.070 (0.944)
Total3.53±0.633.56±0.61–0.255 (0.79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78±0.713.71±0.690.625 (0.53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63.10±0.740.810 (0.419)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72.99±0.890.911 (0.364)
Total3.40±0.573.32±0.550.875 (0.383)

SD: standard deviation.



2)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에서는 ‘있다’가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수행’,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와 ‘행동 중심적 전략’,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Table 4).

Table 4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volunteer work experience (n=143)

VariableVolunteer work experiencet (p)

Yes (n=43)No (n=100)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703.49±0.651.724 (0.087)
Duty3.78±0.623.65±0.591.198 (0.233)
Ability3.50±0.743.33±0.731.274 (0.205)
Effectiveness3.59±0.633.40±0.721.503 (0.135)
Practice3.76±0.583.49±0.682.246 (0.026*)
Total3.68±0.553.48±0.561.973 (0.050)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6±0.583.51±0.602.353 (0.020*)
Natural reward strategies3.73±0.713.51±0.781.571 (0.118)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0±0.623.42±0.651.508 (0.134)
Total3.71±0.593.48±0.622.101 (0.037*)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2±0.653.67±0.711.964 (0.05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9±0.793.04±0.712.578 (0.011*)
Job world search behavior3.33±0.852.93±0.872.487 (0.014*)
Total3.52±0.543.29±0.562.272 (0.025*)

SD: standard deviation.

*p<0.05.



3)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서는 ‘있다’가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합계(p<0.05)’, ‘능력(p<0.01)’, ‘효능감(p<0.01)’, ‘태도(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p<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5)’에서,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직업세계 탐색 행동(p<0.001)’, ‘합계(p<0.01)’, ‘직업능력 향상 행동(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n=143)

Variable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t (p)

Yes (n=70)No (n=73)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693.42±0.622.565 (0.011*)
Duty3.76±0.603.61±0.591.522 (0.130)
Ability3.56±0.763.21±0.662.954 (0.004**)
Effectiveness3.62±0.723.30±0.642.845 (0.005**)
Practice3.63±0.663.51±0.661.138 (0.257)
Total3.66±0.573.42±0.532.556 (0.012*)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83.45±0.602.738 (0.007**)
Natural reward strategies3.70±0.773.45±0.751.916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1±0.603.35±0.662.434 (0.016*)
Total3.68±0.593.42±0.622.661 (0.00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6±0.683.63±0.701.979 (0.05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0±0.792.99±0.692.532 (0.012*)
Job world search behavior3.31±0.892.80±0.803.573 (<0.001***)
Total3.49±0.583.23±0.512.858 (0.005**)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0.001.



4) 학과 지원 동기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학과 지원 동기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 ‘적성과 흥미’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태도’, ‘의무’, ‘수행’에서 가장 높고, ‘기타’가 ‘능력’과 ‘효능감’에서 가장 높았으며, ‘효능감(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고, ‘건설적 사고전략(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자기이해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가장 높고, ‘기타’가 ‘직업능력 향상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6).

Table 6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n=143)

Variable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F (p)

Aptitude and interest (n=34)High employment (n=27)Recommendation (n=38)According to own grades (n=34)Others (n=10)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6±0.793.59±0.633.51±0.623.51±0.693.48±0.460.333 (0.855)
Duty3.78±0.703.72±0.603.61±0.533.66±0.633.66±0.380.427 (0.789)
Ability3.55±0.803.37±0.763.17±0.733.35±0.613.70±0.641.796 (0.133)
Effectiveness3.68±0.76ab3.50±0.81ab3.29±0.67a3.29±0.53a3.74±0.56b2.470 (0.048*)
Practice3.74±0.663.48±0.733.52±0.693.52±0.653.60±0.410.788 (0.535)
Total3.70±0.653.54±0.583.44±0.533.46±0.523.64±0.401.220 (0.30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43.55±0.593.58±0.683.48±0.593.58±0.570.721 (0.579)
Natural reward strategies3.91±0.823.53±0.643.46±0.783.45±0.723.38±0.712.353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76±0.72b3.47±0.5ab3.37±0.6ab3.38±0.5ab3.24±0.6a2.518 (0.044*)
Total3.78±0.623.51±0.573.49±0.673.45±0.563.43±0.611.678 (0.158)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6±0.773.76±0.603.71±0.733.52±0.663.84±0.501.849 (0.12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9±0.793.17±0.713.04±0.803.05±0.673.31±0.850.779 (0.541)
Job world search behavior3.26±0.943.13±0.792.92±0.902.90±0.843.15±0.941.031 (0.394)
Total3.47±0.573.35±0.583.33±0.583.25±0.523.44±0.520.689 (0.6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5) 전공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전공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 ‘만족’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합계(p<0.001)’, ‘효능감(p<0.001)’, ‘수행(p<0.001)’, ‘의무(p<0.01)’, ‘태도(p<0.05)’, ‘능력(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p<0.001)’, ‘자연적 보상전략(p<0.001)’, ‘건설적 사고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에서,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자기이해 행동(p<0.001)’, ‘합계(p<0.01)’, ‘직업능력 향상 행동(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7).

Table 7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atisfaction for major (n=143)

VariableSatisfaction for majorF (p)

Poor (n=19)Average (n=60)Good (n=64)



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0±0.813.40±0.563.69±0.693.213 (0.043*)
Duty3.61±0.61ab3.53±0.56a3.86±0.60b5.137 (0.007**)
Ability3.39±0.903.20±0.613.54±0.753.506 (0.033*)
Effectiveness3.36±1.02a3.18±0.50a3.74±0.64b11.533 (<0.001***)
Practice3.26±0.90a3.41±0.54a3.82±0.61b9.401 (<0.001***)
Total3.43±0.74a3.35±0.44a3.75±0.54b9.446 (<0.001***)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37±0.79a3.45±0.52ab3.77±0.56b6.348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3.26±0.89a3.25±0.60a3.97±0.68b19.611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14±0.80a3.34±0.51a3.70±0.63b8.837 (<0.001***)
Total3.27±0.81a3.37±0.50a3.79±0.57b10.753 (<0.00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49±0.95a3.46±0.58a4.08±0.55b16.988 (<0.00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09±0.88ab2.95±0.69a3.34±0.72b4.484 (0.013*)
Job world search behavior2.90±0.992.92±0.833.22±0.882.064 (0.131)
Total3.23±0.71a3.19±0.53a3.55±0.48b7.842 (0.0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p<0.01, ***p<0.001.



6) 희망 직무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희망 직무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교정’이 ‘합계’와 세부요인 중 ‘효능감’과 ‘수행’에서, ‘국소(총)의치’가 ‘태도’, ‘의무’, ‘능력’에서 가장 높았으며, 셀프리더십에서는 ‘교정’이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았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국소(총)의치’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직업능력 향상 행동’과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교정’은 ‘자기이해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며, 희망 직무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8).

Table 8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desired job (n=143)

VariableDesired jobF (p)

Crown or porcelain (n=39)RPD or complete denture (n=9)CAD/CAM (n=51)Orthodontics (n=10)Does not matter (n=34)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4±0.693.73±0.843.46±0.623.50±0.693.56±0.670.537 (0.709)
Duty3.63±0.563.91±0.723.65±0.593.80±0.613.70±0.630.523 (0.719)
Ability3.33±0.703.67±0.913.27±0.683.63±0.763.44±0.781.047 (0.386)
Effectiveness3.38±0.613.57±0.803.46±0.733.83±0.723.40±0.720.946 (0.440)
Practice3.55±0.613.67±0.753.54±0.543.71±0.763.56±0.840.190 (0.943)
Total3.51±0.523.70±0.763.50±0.513.71±0.553.53±0.650.499 (0.736)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66±0.523.77±0.723.57±0.563.82±0.593.42±0.691.396 (0.239)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73.75±0.823.58±0.723.76±0.823.44±0.810.556 (0.695)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53±0.553.69±0.573.41±0.653.78±0.723.37±0.711.299 (0.274)
Total3.61±0.543.74±0.723.53±0.583.78±0.633.39±0.721.207 (0.31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2±0.663.81±0.783.62±0.644.06±0.773.73±0.781.051 (0.38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23.47±0.913.01±0.723.24±0.743.17±0.800.930 (0.448)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63.28±1.002.92±0.833.08±1.073.09±0.920.489 (0.744)
Total3.42±0.503.573±0.613.21±0.553.572±0.413.39±0.631.815 (0.129)

SD: standard deviation,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4.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의 상관관계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 요인에서는 ‘효능감(r=0.665, p<0.01)’이, 셀프리더십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r=0.675, p<0.01)’이 가장 높은 양의(+)상관 관계로 나타났다(Table 9).

Table 9 . Correlations among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AttitudeDutyAbilityEffectivenessPracticeBehavior-focused strategiesNatural reward strategies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Self-understanding behavior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Job world search behavior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titude1
Duty0.660**1
Ability0.611**0.563**1
Effectiveness0.567**0.594**0.738**1
Practice0.685**0.591**0.588**0.651**1
Behavior-focused strategies0.545**0.635**0.519**0.621**0.677**1
Natural reward strategies0.501**0.530**0.535**0.672**0.698**0.697**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0.483**0.519**0.478**0.594**0.616**0.721**0.839**1
Self-understanding behavior0.445**0.507**0.551**0.658**0.601**0.682**0.785**0.709**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
0.575**0.544**0.640**0.649**0.613**0.578**0.618**0.603**0.673**1
Job world search behavior0.525**0.430**0.549**0.465**0.436**0.485**0.453**0.473**0.512**0.782**1
Career preparation behavior0.510**0.539**0.623**0.665**0.606**0.618**0.675**0.653**0.835**0.894**0.707**1

**p<0.01.



5.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p<0.001)과 셀프리더십(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책임성의 세부 요인 중 ‘태도(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7%로 나타났다(Table 10). 셀프리더십의 세부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2.9%로 나타났다(Table 11).

Table 10 . The effec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ocial responsibility

BStd. errorβt (p)
(Constant)0.9390.2204.267 (<0.001***)
Attitude factor–0.1980.093–0.235–2.121 (0.036*)
Duty factor–0.0560.106–0.060–0.530 (0.597)
Ability factor0.0620.0930.0810.667 (0.506)
Practice factor–0.0420.125–0.049–0.333 (0.740)
R2=0.507F=30.195<0.001***

*p<0.05, ***p<0.001.


Table 11 . The effect factors of self-leadershi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elf-leadership

BStd. errorβt (p)
(Constant)0.8040.2313.482 (0.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factor1.0710.3441.1483.119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 factor0.5380.1360.7333.947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factor0.6090.2030.7012.996 (0.003**)
R2=0.529F=38.745<0.001***

**p<0.01, ***p<0.001.


대한치과기공사협회 윤리강령에 ‘치과기공사는 인류의 구강보건향상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봉사한다’라고 명시하여 국민의 구강보건 향상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20], 이러한 사회적 책임은 사회정의 및 지역사회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4]. 또한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대에서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전문 직업이 갖는 사회적 책임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공학과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한 전문지식과 함께 경험 습득을 통해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진로에 대한 성숙 및 진로 확신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21].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 평균은 3.54점(5점 만점), 셀프리더십 평균은 3.55점(5점 만점), 진로 준비 행동 평균은 3.36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7]의 연구에서의 사회적 책임성 평균 3.43점과 진로 준비 행동 평균 3.18점보다는 높았으나, 셀프리더십 평균 3.62점보다 낮게 나타났고, Kim 등[15]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책임성 3.39점, Lee와 Kim [12]에서의 셀프리더십 평균 3.24점 보다는 높았다. 또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8]에서의 셀프리더십 평균 3.57점 보다는 낮았고, 진로 준비 행동 평균 3.24점보다는 높았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구, 경북소재 치기공(학)과 학생이 대상인 Jung과 Lim [22]의 보고에서의 진로 준비 행동 평균 2.42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hin과 An [23]은 학과 선택시 자신의 성향, 적성 비전보다는 취업가능성과 수월성에 비중이 높아지면서 입학과 동시에 직업이 정해져 있는 경우 자신의 미래 진로에 대한 생각이 깊지 않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한다.

성별에 따른 진로 준비 행동에서 ‘남학생’이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im [7], Jung과 Lim [22]의 결과와 동일하며, 간호 및 치과 보건계열 대학생 등은 성별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전문직으로 인식되어 있고, 취업률이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이 ‘있다’는 학생들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모든 요인에서 ‘없다’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준비 행동에서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등[15]에서 봉사활동의 유무가 사회 참여도 및 사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Kim [7]에서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높고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봉사활동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입수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이러한 기회는 개인의 책임성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봉사활동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책임성 수준을 보인다[14]. 또한 사회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사교성이 발달하여 자아실현을 돕고, 동시에 사회성이 증진되고 공동체 의식이 강화됨으로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므로[15], 의료·보건계 대학생 외에도 일반 대학생들에게도 미래 사회인으로서의 올바른 윤리의식과 자신이 선택한 전문직에 대한 가치관 및 지도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 저학년부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서는 ‘있다’는 학생들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직업세계 탐색 행동’,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7]에서 진로와 관련된 수업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 미 참여자보다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높고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결과 유사하며, Park과 Lee [24]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을 높이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보고와 같은 맥락으로 사료된다. 또한 자신의 적성과 흥미, 능력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했을 경우, 진로 준비 행동을 잘 수행하고 자기명확성과 직업 정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선행하여 진로를 결정하면 취업 후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25], 학과에서는 학년별로 진로 준비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적극적 지원이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과 지원 동기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합계’, ‘자기이해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Kim [7]에서의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경우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는 결과와는 상반되지만, Shin [21]의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자신과 맞고, 미래에 하고 싶은 직업과 연관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Kim [8]은 스스로 선택한 직업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진로 준비 행동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므로 실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재학생들의 진로의지를 높일 필요가 있고, Lim 등[1]은 재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공교과목 구성 및 취업준비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치기공(학)과 교육과정에 시급히 도입해야 할 것으로 보고하였다.

전공 만족도에서 ‘만족한다’가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았으며, ‘직업세계 탐색 행동’을 제외한 나머지 진로 준비 행동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등[15]에서 전공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 인식도 높게 나타났고, Kim [7]과 Kim [8]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 준비 행동이 높았으며, Shin [21]에서 전공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 모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Kim과 Yu [18]에서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의 결정과 참여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대학생 시기에 사회적 지지는 진로탐색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고 화합할 수 있는 사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 운영이 필요하므로[11], 진로결정 시기 전후로 학과에서는 진로방향 설정을 위한 취업 설명회 등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18].

희망 직무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won [26]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치기공(학)과의 교육과정은 재학생들이 취업 직후 자신의 직무에 적응하도록 실제적인 치과 보철물 제작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Jung과 Lim [22]에서 치기공(학)과 학생들은 진로결정에서 정보수집 활동을 잘할수록 실천적 노력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와 Kim [8]에서 치위생(학)과 학생의 진로탐색은 임상실습을 통해 전공에 관한 자기 적성을 간접적으로 재확인한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치기공(학)과 학생들도 임상실습 시 치과기공사의 직무를 간접 경험 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설계하도록 지도한 후 졸업 학년에서는 선택한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과목을 집중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별 심화 교육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다. 이는 Jang [10]에서 진로 준비 행동은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와 유사하며, Jung과 Lim [22]에서 치기공(학)과 학생들은 진로결정과 진로 준비 행동 변수 간에 서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는 보고를 고려할 때 저학년의 교육과정부터 치과기공사의 사회적 책임성을 인식하도록 하고 고학년에서는 자신의 전문 직업적 측면에서 올바르게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p<0.001)과 셀프리더십(p<0.0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 [7]에서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은 진로 준비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Kim [8]과 Jang [10], 그리고 Kim [11]에서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가장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대학생의 진로 준비 행동에서 학생들의 학습된 셀프리더십이 미래 직장 생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셀프리더십은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 하는 행동을 발견과 긍정적 자세와 마음으로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것으로[19], 재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수와 학생. 선배와 후배 간 소통과 친목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며[11],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 진로 준비 행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로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8].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프리더십은 학습이나 교육을 통하여 발전하고 유지되는 개념으로[10],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진로 준비 행동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므로[13], 졸업 후 임상 수행 및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며, 4년제에서는 1~2학년인 저학년 시기에 자신의 취업목표 설정과 취업을 위한 직업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5].

아울러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신입생부터 취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자신의 전공과 미래의 직업에 대해 고민이 많이 하므로[4], 4년제에서는 1학년 시기에 대학생활 적응 및 전공진로에 대한 도움을 주는 포괄적 진로 개발과 진로상담 기본 프로그램을 대학의 행정부서 차원에서 운영하고, 2학년부터 스스로 취업목표를 설정 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학과의 특성에 맞게 준비하며, 3~4학년부터는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적인 직업진로 상담과 함께 본인이 목표로 하는 직무나 직장의 체험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이므로 주관적 심리상태와 전공에 대한 만족도 등에 따라 연구의 결과가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와 대상을 확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다소 한시적이고 제한된 결과이며, 3년제 치기공과 학생들과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점 및 유사성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므로 이를 전체 치기공(학)과 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는 데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4년제 치기공학과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통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진로 준비 행동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은 3.54점(5점 만점), 셀프리더십은 3.55점(5점 만점), 진로 준비 행동은 3.36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에서는 ‘의무(3.69점)’, ‘행동 중심적 전략(3.59점)’, ‘자기이해 행동(3.7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 요인에서는 효능감이, 셀프리더십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이 가장 높은 양(+)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3.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책임성의 세부요인에서는 ‘태도(p<0.05)’, 셀프리더십의 세부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각각 50.7%와 52.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4년제 치기공학과 재학생들의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기공학과 교육과정에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을 기를 수 있도록 교양과목의 개설과 함께 이수하도록 지도가 필요하며, 특히 구강보건 전문 의료기사로의 사회적 책임성과 올바른 직업의식 함양을 위해 자발적인 봉사활동 참여기회를 제공이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치과기공사는 직무별로 다양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는 전문 의료기사이므로 학과에서는 학생이 선택한 직무를 고도화 시키면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모듈형(module type) 교육과정 등으로 개발하여 직무별 전문인으로 양성하는 교육과정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1. Lim DK, Kwon HS, Oh WJ. The influence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major satisfac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employability, employment strategies, major hope for employment - in case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ax and accounting -. J Employ Career. 2016;6:85-109.
    CrossRef
  2.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KHPLEI). National examination passing rate for dental technicians by year [Internet]. KHPLEI; 2007 [cited 2023 Nov 25].
    Available from: https://www.kuksiwon.or.kr/peryearPass/list.do?seq=13&srchWord=10.
  3. Park JH. Development of practical curriculum in dental technology.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7;39:205-218.
  4. Choi YK, Kim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uns. 2012;13:2085-2097.
    CrossRef
  5. Kim SK.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20;20:675-684.
    CrossRef
  6. Kim KH.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8.
  7. Lee SY, Kim Y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 Digit Converg. 2016;14:309-318.
    CrossRef
  8. Lee JS. The relationship on nurse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9. Kim JS. The impact of youth service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Myong Ji University, 2000.
  10. Kim J, Lee T, Han N.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 2018;24:21-29.
    CrossRef
  11. Chung Y, Kim DS.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stiny belief in the prediction of job-seeking stress. JLCCI. 2018;18:493-511.
    CrossRef
  12. Kim EM, Yu EY. The effects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n career stress of health university college students. Health Welf. 2018;20:81-99.
    CrossRef
  13. Korea Dental Technologist Association (KDTA). Korea Dental Technologist Association code of ethics [Internet]. KDTA; 2003 [cited 2023 Dec 21].
    Available from: https://www.kdtech.or.kr/intro/intro6.asp.
  14. Shin MJ.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11.
  15. Shin HT, An HJ. The experience of the stop-out of femal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23:165-175.
    CrossRef
  16. Park HM, Lee HS.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5;15:304-312.
    CrossRef
  17. Kwon SS. A study of the opening status of the compulsory courses for the dental technologist license. J Tech Dent. 2021;43:106-116.
    CrossRef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4; 46(3): 114-125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4 https://doi.org/10.14347/jtd.2024.46.3.114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기공학과 학생의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순석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Received: August 1, 2024; Revised: August 20, 2024; Accepted: August 27, 2024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elf-leadership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ician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on-Suk Kwo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Soon-Suk Kwon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4695, Korea
E-mail: kss37@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9088-9648

Received: August 1, 2024; Revised: August 20, 2024; Accepted: August 27,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fourth-year students graduating from the 4-year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pecific methods and related programs to help graduates adopt positive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thods: Th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43 questionnaires from fourth-year students of the 4-year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Gyeonggi-do, Gangwon-do, and Busan Metropolitan City. T-test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p<0.01)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actors, and the detailed factors of self-leadership that influ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titude” (p<0.05), “natural reward strategies” (p<0.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p<0.01), and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p<0.01) demonstrated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explanatory power values of the models were 50.7% and 52.9%,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major volunteer activities is needed to ensure students feel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guid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in various self-development programs during their time in university. In addition,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need to develop step-by-step and various career-preparation behavior programs for each year level.

Keyword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ntal technology students, Self-leadership, Social responsibility

INTRODUCTION

고등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목적은 적성과 흥미 등을 바탕으로 학과를 선택하고 전문성을 갖춰 안정적이고 만족한 취업을 하기 위함이나, 현재 입시위주의 고등교육은 본인의 적성과 능력을 고려한 전공 선택은 쉽지 않으며, 많은 학생들이 입학 한 후에도 중도포기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도 전공과 관련 없는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1]. 의료기사인 치과기공사를 양성하는 치기공(학)과는 매년 약 1,200명의 신입생을 모집하고 있으며, 매년 약 1,000여명이 넘는 치과기공사가 배출되고 있으나[2], 취업 후 초반 이직율이 매우 높아 전체 면허 취득자의 1/3만이 현업에 종사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3].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대학생활과 함께 자신의 미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직업을 선택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4], 대학 시절에 전공 직업세계를 탐색하고 적성에 맞는 진로를 준비하는 것은 취업 후 초기 이직률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5].

대학생의 진로 준비 행동은, 자신이 앞으로 선택할 직업과 관련된 자신과 직업 환경에 대한 이해 후 주변 탐색과 진로 결정 및 구체적 실행을 위한 실제적인 행위 또는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이 이뤄진 이후에 그 결정사항을 실행하는 행위 등으로[6,7], 개인의 다양한 내·외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진로를 탐색하고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연속선상의 행위이므로 자신에게 존재하는 내적인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8]. 이와 같은 진로 준비 행동에 있어 대학생들에게 매우 유의미한 요인은 전공을 불문하고 셀프리더십이 나타났으며[9-11], 의료기술과 지식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의료소비자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과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간호 및 보건인력에게 창의력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셀프리더십이 더욱 강조되고 이를 기본적인 자질로 요구하고 있다[12].

셀프리더십이란, 스스로 목표를 정해 방향을 설정하고 동기부여를 통해 주도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과정으로 누구나 어느 정도 발휘할 수 있고 효과적 학습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7]. 또한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를 스스로 설정 및 성취토록 함으로써 진로 준비를 적극적으로 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며[8], 개인과 조직을 위해 스스로 자신을 생각과 행동을 리드하여 자기역량과 내적인 동기부여에 중점을 둔다[12]. 이러한 셀프리더십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향상 될 수 있으므로 학업시기에 진로 준비 행동과 졸업 후 임상 수행 및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13].

사회적 책임성은 기초적인 사회 규범을 설정하고 이를 신뢰 속에 사회가 유지되게 하는 상호작용으로 사회 구성원 개인의 사회적 책임성의 중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으며[7], 인권과 사회정의 및 지역사회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전문직이 갖는 사회적 책임성이 강조되고 있다[14]. Kim 등[15]은 대학 및 학과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전문직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그러므로 환자의 상실된 치아 및 주위조직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보철물을 만들어 주는 유일한 의료기사인 치과기공사는 환자의 구강건강을 회복시켜주는 사회적 책임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사회적 책임성은 치과기공사가 되기 전부터 함양해야할 기본 자질이 중에 하나로 판단된다.

선행 연구에서 Cho [16]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대학 졸업 후 취업의 편의성을 위해 타 전공에 비해 보건계열의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했으나, Chung과 Kim [17]은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스트레스를 더 크게 느낀다고 했으며, Lim 등[1]은 취직이 잘 된다는 이유로 만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은 전공과 전혀 다르거나 차이가 있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취업 후에 즉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Lee와 Lee [5]는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일자리 탐색경험, 취업 및 면접지원 횟수 등 취업준비 행동에서 차이가 있었고 첫 직장의 만족도가 높았다고 했으며, Kim과 Yu [18]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졸업 후 전공 관련 직업을 갖는 것을 전제로 입학했으므로 전공교육과정을 이수하는 것이 곧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Park [3]은 치기공(학)과의 경우 임상에서 곧바로 쓰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학교 실습과 임상 작업과의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대학생활에서 자신의 적성과 자질, 흥미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설계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대학차원에서도 인재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8], 대학생시기에 셀프리더십을 기르는 것은 진로 준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11]. 또한 대학교 재학 시기에 진로 준비 행동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한 사람일수록 자신이 선택한 첫 번째 직장에서 만족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성 또한 길러야 하는 기본 소양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4년제 치기공학과의 졸업 학년인 4학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상태를 파악하고,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통해 졸업대상 학생들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진로 준비 행동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과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2023년 9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부산광역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4년제 치기공학과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중 자발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총 200명의 설문지 중 통계분석에 누락 및 결여되어 제외한 설문지 외 최종 143명(71.5%)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Shin [19], Kim [7], Kim [14], Choi와 Kim [6], Kim [8] 등의 연구에서 사용하여 타당성과 신뢰도가 확보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했다.

사회적 책임성 설문지는 총 27개 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태도와 의무, 능력과 효능감, 수행 등 총 5개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36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 설문지는 총 35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의사결정시 주변의 환경을 관리 및 통제하는 행동 중심적 전략, 일에서 보람을 찾아 자기 결정감과 유능감을 주는 자연적 보상전략, 생각의 방향을 바람직하게 수정 및 확립하는 건설적 사고전략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61로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총 25문항으로 세부 요인은 자기이해 행동,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 등 3개로 구성되어 있고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45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설문지는 모두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전공 관련 봉사활동, 진로 관련 프로그램, 학과 지원 동기, 전공 만족도, 희망 직무를 조사했다.

3. 자료분석

본 연구 자료는 SPSS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ver. 21.0, IBM) 을 사용했으며, 통계적 검정의 유의수준은 α=0.05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은 기술통계 분석을 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Tukey & Duncan)을 했으며,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의 세부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상관분석을 했다. 또한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방법을 실시하였다.

RESULTS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성별에서 ‘여학생’이 51.7%로 ‘남학생’ 48.3%보다 많았고, 전공관련 봉사활동 경험은 ‘없다(69.9%)’, 진로관련 프로그램 참여는 ‘없다(51.0%)’가 높게 나타났다. 학과 지원 동기에서는 ‘부모님 등 주변의 권유(26.6%)’, 전공 만족도는 ‘만족(44.8%)’, 희망 직무는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34.3%)’이 가장 많았다(Table 1).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n=143).

ClassificationNumber (%)
Sex
Male69 (48.3)
Female74 (51.7)
Volunteer work experience
Yes43 (30.1)
No100 (69.9)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Yes70 (49.0)
No73 (51.0)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Aptitude and interest34 (23.8)
High employment rate27 (18.9)
Parental or other’s recommendation38 (26.6)
According to own grades34 (23.8)
Others10 (6.9)
Satisfaction for major
Poor19 (13.3)
Average60 (41.9)
Good64 (44.8)
Desired job
Crown or porcelain39 (27.3)
RPD or complete denture9 (6.3)
CAD/CAM51 (35.7)
Orthodontics10 (6.9)
Does not matter34 (23.8)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2.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은 3.54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에서는 ‘의무’가 3.69점으로 가장 높고 ‘수행(3.57점)’, ‘태도(3.56점)’, ‘효능감(3.45점)’, ‘능력(3.38점)’ 순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은 3.55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고, 세부 요인에서는 ‘행동 중심적 전략(3.59점)’, ‘자연적 보상전략(3.57점)’, ‘건설적 사고전략(3.48점)’ 순으로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은 3.36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은 ‘자기이해 행동(3.74점)’, ‘직업능력 향상 행동(3.15점)’, ‘직업세계 탐색 행동(3.05점)’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bjects (n=143).

VariableMean±SD
Social responsibility3.54±0.56
Attitude3.56±0.67
Duty3.69±0.60
Ability3.38±0.73
Effectiveness3.45±0.70
Practice3.57±0.66
Self-leadership3.55±0.62
Behavior-focused strategies3.59±0.60
Natural reward strategies3.57±0.76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4
Career preparation behavior3.36±0.56
Self-understanding behavior3.74±0.7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15±0.75
Job world search behavior3.05±0.88

SD: standard deviation..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성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남학생’이 ‘합계’와 세부요인 중 ‘능력’, ‘효능감’, ‘수행’이 높고, ‘여학생’은 ‘태도’와 ‘의무’에서 높았으며, 셀프리더십에서는 ‘남학생’이 세부요인 중 ‘자연적 보상전략’과 ‘건설적 사고전략’이 높고, ‘여학생’은 ‘합계’와 ‘행동 중심적 전략’이 높았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남학생’이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ex (n=143).

VariableSext (p)

Male (n=69)Female (n=74)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52±0.763.59±0.57–0.653 (0.515)
Duty3.68±0.663.69±0.54–0.135 (0.892)
Ability3.47±0.853.29±0.601.443 (0.151)
Effectiveness3.52±0.763.39±0.641.110 (0.269)
Practice3.59±0.723.56±0.610.269 (0.788)
Total3.56±0.663.52±0.460.476 (0.63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55±0.623.61±0.58–0.583 (0.561)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83.56±0.750.226 (0.822)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33.47±0.670.070 (0.944)
Total3.53±0.633.56±0.61–0.255 (0.79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78±0.713.71±0.690.625 (0.53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63.10±0.740.810 (0.419)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72.99±0.890.911 (0.364)
Total3.40±0.573.32±0.550.875 (0.383)

SD: standard deviation..



2)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에서는 ‘있다’가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수행’,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와 ‘행동 중심적 전략’,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Table 4).

Table 4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volunteer work experience (n=143).

VariableVolunteer work experiencet (p)

Yes (n=43)No (n=100)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703.49±0.651.724 (0.087)
Duty3.78±0.623.65±0.591.198 (0.233)
Ability3.50±0.743.33±0.731.274 (0.205)
Effectiveness3.59±0.633.40±0.721.503 (0.135)
Practice3.76±0.583.49±0.682.246 (0.026*)
Total3.68±0.553.48±0.561.973 (0.050)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6±0.583.51±0.602.353 (0.020*)
Natural reward strategies3.73±0.713.51±0.781.571 (0.118)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0±0.623.42±0.651.508 (0.134)
Total3.71±0.593.48±0.622.101 (0.037*)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2±0.653.67±0.711.964 (0.05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9±0.793.04±0.712.578 (0.011*)
Job world search behavior3.33±0.852.93±0.872.487 (0.014*)
Total3.52±0.543.29±0.562.272 (0.025*)

SD: standard deviation..

*p<0.05..



3)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서는 ‘있다’가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합계(p<0.05)’, ‘능력(p<0.01)’, ‘효능감(p<0.01)’, ‘태도(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p<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5)’에서,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직업세계 탐색 행동(p<0.001)’, ‘합계(p<0.01)’, ‘직업능력 향상 행동(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n=143).

Variable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t (p)

Yes (n=70)No (n=73)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693.42±0.622.565 (0.011*)
Duty3.76±0.603.61±0.591.522 (0.130)
Ability3.56±0.763.21±0.662.954 (0.004**)
Effectiveness3.62±0.723.30±0.642.845 (0.005**)
Practice3.63±0.663.51±0.661.138 (0.257)
Total3.66±0.573.42±0.532.556 (0.012*)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83.45±0.602.738 (0.007**)
Natural reward strategies3.70±0.773.45±0.751.916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1±0.603.35±0.662.434 (0.016*)
Total3.68±0.593.42±0.622.661 (0.00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6±0.683.63±0.701.979 (0.05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0±0.792.99±0.692.532 (0.012*)
Job world search behavior3.31±0.892.80±0.803.573 (<0.001***)
Total3.49±0.583.23±0.512.858 (0.005**)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0.001..



4) 학과 지원 동기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학과 지원 동기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 ‘적성과 흥미’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태도’, ‘의무’, ‘수행’에서 가장 높고, ‘기타’가 ‘능력’과 ‘효능감’에서 가장 높았으며, ‘효능감(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고, ‘건설적 사고전략(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자기이해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가장 높고, ‘기타’가 ‘직업능력 향상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6).

Table 6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n=143).

Variable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F (p)

Aptitude and interest (n=34)High employment (n=27)Recommendation (n=38)According to own grades (n=34)Others (n=10)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6±0.793.59±0.633.51±0.623.51±0.693.48±0.460.333 (0.855)
Duty3.78±0.703.72±0.603.61±0.533.66±0.633.66±0.380.427 (0.789)
Ability3.55±0.803.37±0.763.17±0.733.35±0.613.70±0.641.796 (0.133)
Effectiveness3.68±0.76ab3.50±0.81ab3.29±0.67a3.29±0.53a3.74±0.56b2.470 (0.048*)
Practice3.74±0.663.48±0.733.52±0.693.52±0.653.60±0.410.788 (0.535)
Total3.70±0.653.54±0.583.44±0.533.46±0.523.64±0.401.220 (0.30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43.55±0.593.58±0.683.48±0.593.58±0.570.721 (0.579)
Natural reward strategies3.91±0.823.53±0.643.46±0.783.45±0.723.38±0.712.353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76±0.72b3.47±0.5ab3.37±0.6ab3.38±0.5ab3.24±0.6a2.518 (0.044*)
Total3.78±0.623.51±0.573.49±0.673.45±0.563.43±0.611.678 (0.158)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6±0.773.76±0.603.71±0.733.52±0.663.84±0.501.849 (0.12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9±0.793.17±0.713.04±0.803.05±0.673.31±0.850.779 (0.541)
Job world search behavior3.26±0.943.13±0.792.92±0.902.90±0.843.15±0.941.031 (0.394)
Total3.47±0.573.35±0.583.33±0.583.25±0.523.44±0.520.689 (0.6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5) 전공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전공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 ‘만족’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합계(p<0.001)’, ‘효능감(p<0.001)’, ‘수행(p<0.001)’, ‘의무(p<0.01)’, ‘태도(p<0.05)’, ‘능력(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셀프리더십에서는 ‘합계(p<0.001)’, ‘자연적 보상전략(p<0.001)’, ‘건설적 사고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에서,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자기이해 행동(p<0.001)’, ‘합계(p<0.01)’, ‘직업능력 향상 행동(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able 7).

Table 7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atisfaction for major (n=143).

VariableSatisfaction for majorF (p)

Poor (n=19)Average (n=60)Good (n=64)



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0±0.813.40±0.563.69±0.693.213 (0.043*)
Duty3.61±0.61ab3.53±0.56a3.86±0.60b5.137 (0.007**)
Ability3.39±0.903.20±0.613.54±0.753.506 (0.033*)
Effectiveness3.36±1.02a3.18±0.50a3.74±0.64b11.533 (<0.001***)
Practice3.26±0.90a3.41±0.54a3.82±0.61b9.401 (<0.001***)
Total3.43±0.74a3.35±0.44a3.75±0.54b9.446 (<0.001***)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37±0.79a3.45±0.52ab3.77±0.56b6.348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3.26±0.89a3.25±0.60a3.97±0.68b19.611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14±0.80a3.34±0.51a3.70±0.63b8.837 (<0.001***)
Total3.27±0.81a3.37±0.50a3.79±0.57b10.753 (<0.00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49±0.95a3.46±0.58a4.08±0.55b16.988 (<0.00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09±0.88ab2.95±0.69a3.34±0.72b4.484 (0.013*)
Job world search behavior2.90±0.992.92±0.833.22±0.882.064 (0.131)
Total3.23±0.71a3.19±0.53a3.55±0.48b7.842 (0.0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p<0.01, ***p<0.001..



6) 희망 직무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희망 직무에 따른 사회적 책임성에서는 ‘교정’이 ‘합계’와 세부요인 중 ‘효능감’과 ‘수행’에서, ‘국소(총)의치’가 ‘태도’, ‘의무’, ‘능력’에서 가장 높았으며, 셀프리더십에서는 ‘교정’이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았다.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국소(총)의치’가 ‘합계’와 세부요인 중 ‘직업능력 향상 행동’과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교정’은 ‘자기이해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며, 희망 직무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able 8).

Table 8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desired job (n=143).

VariableDesired jobF (p)

Crown or porcelain (n=39)RPD or complete denture (n=9)CAD/CAM (n=51)Orthodontics (n=10)Does not matter (n=34)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4±0.693.73±0.843.46±0.623.50±0.693.56±0.670.537 (0.709)
Duty3.63±0.563.91±0.723.65±0.593.80±0.613.70±0.630.523 (0.719)
Ability3.33±0.703.67±0.913.27±0.683.63±0.763.44±0.781.047 (0.386)
Effectiveness3.38±0.613.57±0.803.46±0.733.83±0.723.40±0.720.946 (0.440)
Practice3.55±0.613.67±0.753.54±0.543.71±0.763.56±0.840.190 (0.943)
Total3.51±0.523.70±0.763.50±0.513.71±0.553.53±0.650.499 (0.736)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66±0.523.77±0.723.57±0.563.82±0.593.42±0.691.396 (0.239)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73.75±0.823.58±0.723.76±0.823.44±0.810.556 (0.695)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53±0.553.69±0.573.41±0.653.78±0.723.37±0.711.299 (0.274)
Total3.61±0.543.74±0.723.53±0.583.78±0.633.39±0.721.207 (0.31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2±0.663.81±0.783.62±0.644.06±0.773.73±0.781.051 (0.38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23.47±0.913.01±0.723.24±0.743.17±0.800.930 (0.448)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63.28±1.002.92±0.833.08±1.073.09±0.920.489 (0.744)
Total3.42±0.503.573±0.613.21±0.553.572±0.413.39±0.631.815 (0.129)

SD: standard deviation,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4.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의 상관관계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 요인에서는 ‘효능감(r=0.665, p<0.01)’이, 셀프리더십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r=0.675, p<0.01)’이 가장 높은 양의(+)상관 관계로 나타났다(Table 9).

Table 9 . Correlations among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AttitudeDutyAbilityEffectivenessPracticeBehavior-focused strategiesNatural reward strategies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Self-understanding behavior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Job world search behavior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titude1
Duty0.660**1
Ability0.611**0.563**1
Effectiveness0.567**0.594**0.738**1
Practice0.685**0.591**0.588**0.651**1
Behavior-focused strategies0.545**0.635**0.519**0.621**0.677**1
Natural reward strategies0.501**0.530**0.535**0.672**0.698**0.697**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0.483**0.519**0.478**0.594**0.616**0.721**0.839**1
Self-understanding behavior0.445**0.507**0.551**0.658**0.601**0.682**0.785**0.709**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
0.575**0.544**0.640**0.649**0.613**0.578**0.618**0.603**0.673**1
Job world search behavior0.525**0.430**0.549**0.465**0.436**0.485**0.453**0.473**0.512**0.782**1
Career preparation behavior0.510**0.539**0.623**0.665**0.606**0.618**0.675**0.653**0.835**0.894**0.707**1

**p<0.01..



5.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p<0.001)과 셀프리더십(p<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책임성의 세부 요인 중 ‘태도(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0.7%로 나타났다(Table 10). 셀프리더십의 세부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2.9%로 나타났다(Table 11).

Table 10 . The effec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ocial responsibility

BStd. errorβt (p)
(Constant)0.9390.2204.267 (<0.001***)
Attitude factor–0.1980.093–0.235–2.121 (0.036*)
Duty factor–0.0560.106–0.060–0.530 (0.597)
Ability factor0.0620.0930.0810.667 (0.506)
Practice factor–0.0420.125–0.049–0.333 (0.740)
R2=0.507F=30.195<0.001***

*p<0.05, ***p<0.001..


Table 11 . The effect factors of self-leadershi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elf-leadership

BStd. errorβt (p)
(Constant)0.8040.2313.482 (0.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factor1.0710.3441.1483.119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 factor0.5380.1360.7333.947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factor0.6090.2030.7012.996 (0.003**)
R2=0.529F=38.745<0.001***

**p<0.01, ***p<0.001..


DISCUSSION

대한치과기공사협회 윤리강령에 ‘치과기공사는 인류의 구강보건향상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봉사한다’라고 명시하여 국민의 구강보건 향상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20], 이러한 사회적 책임은 사회정의 및 지역사회 참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4]. 또한 고령화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현대에서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전문 직업이 갖는 사회적 책임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전공학과에서는 교육과정을 통한 전문지식과 함께 경험 습득을 통해 자신에 대한 탐색과 진로에 대한 성숙 및 진로 확신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21].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 평균은 3.54점(5점 만점), 셀프리더십 평균은 3.55점(5점 만점), 진로 준비 행동 평균은 3.36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7]의 연구에서의 사회적 책임성 평균 3.43점과 진로 준비 행동 평균 3.18점보다는 높았으나, 셀프리더십 평균 3.62점보다 낮게 나타났고, Kim 등[15]에서의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책임성 3.39점, Lee와 Kim [12]에서의 셀프리더십 평균 3.24점 보다는 높았다. 또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8]에서의 셀프리더십 평균 3.57점 보다는 낮았고, 진로 준비 행동 평균 3.24점보다는 높았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구, 경북소재 치기공(학)과 학생이 대상인 Jung과 Lim [22]의 보고에서의 진로 준비 행동 평균 2.42점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hin과 An [23]은 학과 선택시 자신의 성향, 적성 비전보다는 취업가능성과 수월성에 비중이 높아지면서 입학과 동시에 직업이 정해져 있는 경우 자신의 미래 진로에 대한 생각이 깊지 않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한다.

성별에 따른 진로 준비 행동에서 ‘남학생’이 모든 요인에서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im [7], Jung과 Lim [22]의 결과와 동일하며, 간호 및 치과 보건계열 대학생 등은 성별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전문직으로 인식되어 있고, 취업률이 높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전공 관련 봉사활동 경험이 ‘있다’는 학생들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 모든 요인에서 ‘없다’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준비 행동에서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등[15]에서 봉사활동의 유무가 사회 참여도 및 사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Kim [7]에서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높고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봉사활동은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입수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이러한 기회는 개인의 책임성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봉사활동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책임성 수준을 보인다[14]. 또한 사회봉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사교성이 발달하여 자아실현을 돕고, 동시에 사회성이 증진되고 공동체 의식이 강화됨으로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므로[15], 의료·보건계 대학생 외에도 일반 대학생들에게도 미래 사회인으로서의 올바른 윤리의식과 자신이 선택한 전문직에 대한 가치관 및 지도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 저학년부터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로 관련 프로그램 참여에서는 ‘있다’는 학생들이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없다’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준비 행동에서는 ‘직업세계 탐색 행동’, ‘합계’, ‘직업능력 향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7]에서 진로와 관련된 수업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 미 참여자보다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높고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결과 유사하며, Park과 Lee [24]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을 높이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보고와 같은 맥락으로 사료된다. 또한 자신의 적성과 흥미, 능력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했을 경우, 진로 준비 행동을 잘 수행하고 자기명확성과 직업 정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선행하여 진로를 결정하면 취업 후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25], 학과에서는 학년별로 진로 준비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적극적 지원이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과 지원 동기에서는 ‘적성과 흥미’가 있는 학생들이 ‘합계’, ‘자기이해 행동’, ‘직업세계 탐색 행동’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Kim [7]에서의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경우 진로 준비 행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는 결과와는 상반되지만, Shin [21]의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자신과 맞고, 미래에 하고 싶은 직업과 연관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Kim [8]은 스스로 선택한 직업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진로 준비 행동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므로 실제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재학생들의 진로의지를 높일 필요가 있고, Lim 등[1]은 재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공교과목 구성 및 취업준비 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치기공(학)과 교육과정에 시급히 도입해야 할 것으로 보고하였다.

전공 만족도에서 ‘만족한다’가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의 모든 요인에서 가장 높았으며, ‘직업세계 탐색 행동’을 제외한 나머지 진로 준비 행동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Kim 등[15]에서 전공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 인식도 높게 나타났고, Kim [7]과 Kim [8]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 준비 행동이 높았으며, Shin [21]에서 전공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 모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Kim과 Yu [18]에서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의 결정과 참여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대학생 시기에 사회적 지지는 진로탐색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고 화합할 수 있는 사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 운영이 필요하므로[11], 진로결정 시기 전후로 학과에서는 진로방향 설정을 위한 취업 설명회 등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18].

희망 직무에 따라서는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진로 준비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Kwon [26]의 연구에서 우리나라 치기공(학)과의 교육과정은 재학생들이 취업 직후 자신의 직무에 적응하도록 실제적인 치과 보철물 제작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Jung과 Lim [22]에서 치기공(학)과 학생들은 진로결정에서 정보수집 활동을 잘할수록 실천적 노력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보고와 Kim [8]에서 치위생(학)과 학생의 진로탐색은 임상실습을 통해 전공에 관한 자기 적성을 간접적으로 재확인한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치기공(학)과 학생들도 임상실습 시 치과기공사의 직무를 간접 경험 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설계하도록 지도한 후 졸업 학년에서는 선택한 직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과목을 집중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별 심화 교육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다. 이는 Jang [10]에서 진로 준비 행동은 셀프리더십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와 유사하며, Jung과 Lim [22]에서 치기공(학)과 학생들은 진로결정과 진로 준비 행동 변수 간에 서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는 보고를 고려할 때 저학년의 교육과정부터 치과기공사의 사회적 책임성을 인식하도록 하고 고학년에서는 자신의 전문 직업적 측면에서 올바르게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p<0.001)과 셀프리더십(p<0.001)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 [7]에서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은 진로 준비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Kim [8]과 Jang [10], 그리고 Kim [11]에서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가장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대학생의 진로 준비 행동에서 학생들의 학습된 셀프리더십이 미래 직장 생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셀프리더십은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 하는 행동을 발견과 긍정적 자세와 마음으로 올바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것으로[19], 재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교수와 학생. 선배와 후배 간 소통과 친목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며[11], 학과 재학생들의 자발적 진로 준비 행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진로프로그램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8].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셀프리더십은 학습이나 교육을 통하여 발전하고 유지되는 개념으로[10],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진로 준비 행동에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므로[13], 졸업 후 임상 수행 및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며, 4년제에서는 1~2학년인 저학년 시기에 자신의 취업목표 설정과 취업을 위한 직업별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5].

아울러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신입생부터 취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자신의 전공과 미래의 직업에 대해 고민이 많이 하므로[4], 4년제에서는 1학년 시기에 대학생활 적응 및 전공진로에 대한 도움을 주는 포괄적 진로 개발과 진로상담 기본 프로그램을 대학의 행정부서 차원에서 운영하고, 2학년부터 스스로 취업목표를 설정 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학과의 특성에 맞게 준비하며, 3~4학년부터는 취업준비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적인 직업진로 상담과 함께 본인이 목표로 하는 직무나 직장의 체험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이므로 주관적 심리상태와 전공에 대한 만족도 등에 따라 연구의 결과가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와 대상을 확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므로 다소 한시적이고 제한된 결과이며, 3년제 치기공과 학생들과 비교와 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점 및 유사성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므로 이를 전체 치기공(학)과 대학생에게 일반화시키는 데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CONCLUSIONS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강원도와 경기도 소재 4년제 치기공학과의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통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진로 준비 행동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사회적 책임성은 3.54점(5점 만점), 셀프리더십은 3.55점(5점 만점), 진로 준비 행동은 3.36점(5점 만점)이었으며, 세부 요인에서는 ‘의무(3.69점)’, ‘행동 중심적 전략(3.59점)’, ‘자기이해 행동(3.74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사회적 책임성, 셀프리더십 및 진로 준비 행동 요인 간에는 양(+)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p<0.01)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책임성 요인에서는 효능감이, 셀프리더십 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이 가장 높은 양(+)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3.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책임성의 세부요인에서는 ‘태도(p<0.05)’, 셀프리더십의 세부요인에서는 ‘자연적 보상전략(p<0.001)’, ‘행동 중심적 전략(p<0.01)’, ‘건설적 사고전략(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각각 50.7%와 52.9%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4년제 치기공학과 재학생들의 진로 준비 행동에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치기공학과 교육과정에 사회적 책임성과 셀프리더십을 기를 수 있도록 교양과목의 개설과 함께 이수하도록 지도가 필요하며, 특히 구강보건 전문 의료기사로의 사회적 책임성과 올바른 직업의식 함양을 위해 자발적인 봉사활동 참여기회를 제공이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치과기공사는 직무별로 다양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는 전문 의료기사이므로 학과에서는 학생이 선택한 직무를 고도화 시키면서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모듈형(module type) 교육과정 등으로 개발하여 직무별 전문인으로 양성하는 교육과정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None.

FUNDING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yungdong University Research Fund, 2023.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n=143).

ClassificationNumber (%)
Sex
Male69 (48.3)
Female74 (51.7)
Volunteer work experience
Yes43 (30.1)
No100 (69.9)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Yes70 (49.0)
No73 (51.0)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Aptitude and interest34 (23.8)
High employment rate27 (18.9)
Parental or other’s recommendation38 (26.6)
According to own grades34 (23.8)
Others10 (6.9)
Satisfaction for major
Poor19 (13.3)
Average60 (41.9)
Good64 (44.8)
Desired job
Crown or porcelain39 (27.3)
RPD or complete denture9 (6.3)
CAD/CAM51 (35.7)
Orthodontics10 (6.9)
Does not matter34 (23.8)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Table 2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subjects (n=143).

VariableMean±SD
Social responsibility3.54±0.56
Attitude3.56±0.67
Duty3.69±0.60
Ability3.38±0.73
Effectiveness3.45±0.70
Practice3.57±0.66
Self-leadership3.55±0.62
Behavior-focused strategies3.59±0.60
Natural reward strategies3.57±0.76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4
Career preparation behavior3.36±0.56
Self-understanding behavior3.74±0.7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15±0.75
Job world search behavior3.05±0.88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ex (n=143).

VariableSext (p)

Male (n=69)Female (n=74)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52±0.763.59±0.57–0.653 (0.515)
Duty3.68±0.663.69±0.54–0.135 (0.892)
Ability3.47±0.853.29±0.601.443 (0.151)
Effectiveness3.52±0.763.39±0.641.110 (0.269)
Practice3.59±0.723.56±0.610.269 (0.788)
Total3.56±0.663.52±0.460.476 (0.63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55±0.623.61±0.58–0.583 (0.561)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83.56±0.750.226 (0.822)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48±0.633.47±0.670.070 (0.944)
Total3.53±0.633.56±0.61–0.255 (0.79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78±0.713.71±0.690.625 (0.53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63.10±0.740.810 (0.419)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72.99±0.890.911 (0.364)
Total3.40±0.573.32±0.550.875 (0.383)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volunteer work experience (n=143).

VariableVolunteer work experiencet (p)

Yes (n=43)No (n=100)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703.49±0.651.724 (0.087)
Duty3.78±0.623.65±0.591.198 (0.233)
Ability3.50±0.743.33±0.731.274 (0.205)
Effectiveness3.59±0.633.40±0.721.503 (0.135)
Practice3.76±0.583.49±0.682.246 (0.026*)
Total3.68±0.553.48±0.561.973 (0.050)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6±0.583.51±0.602.353 (0.020*)
Natural reward strategies3.73±0.713.51±0.781.571 (0.118)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0±0.623.42±0.651.508 (0.134)
Total3.71±0.593.48±0.622.101 (0.037*)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2±0.653.67±0.711.964 (0.05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9±0.793.04±0.712.578 (0.011*)
Job world search behavior3.33±0.852.93±0.872.487 (0.014*)
Total3.52±0.543.29±0.562.272 (0.025*)

SD: standard deviation..

*p<0.05..


Table 5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 (n=143).

VariableParticipation in career-related programst (p)

Yes (n=70)No (n=73)


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70±0.693.42±0.622.565 (0.011*)
Duty3.76±0.603.61±0.591.522 (0.130)
Ability3.56±0.763.21±0.662.954 (0.004**)
Effectiveness3.62±0.723.30±0.642.845 (0.005**)
Practice3.63±0.663.51±0.661.138 (0.257)
Total3.66±0.573.42±0.532.556 (0.012*)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83.45±0.602.738 (0.007**)
Natural reward strategies3.70±0.773.45±0.751.916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61±0.603.35±0.662.434 (0.016*)
Total3.68±0.593.42±0.622.661 (0.009**)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6±0.683.63±0.701.979 (0.050)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30±0.792.99±0.692.532 (0.012*)
Job world search behavior3.31±0.892.80±0.803.573 (<0.001***)
Total3.49±0.583.23±0.512.858 (0.005**)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0.001..


Table 6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 (n=143).

VariableMotivation for applying for a departmentF (p)

Aptitude and interest (n=34)High employment (n=27)Recommendation (n=38)According to own grades (n=34)Others (n=10)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6±0.793.59±0.633.51±0.623.51±0.693.48±0.460.333 (0.855)
Duty3.78±0.703.72±0.603.61±0.533.66±0.633.66±0.380.427 (0.789)
Ability3.55±0.803.37±0.763.17±0.733.35±0.613.70±0.641.796 (0.133)
Effectiveness3.68±0.76ab3.50±0.81ab3.29±0.67a3.29±0.53a3.74±0.56b2.470 (0.048*)
Practice3.74±0.663.48±0.733.52±0.693.52±0.653.60±0.410.788 (0.535)
Total3.70±0.653.54±0.583.44±0.533.46±0.523.64±0.401.220 (0.305)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72±0.543.55±0.593.58±0.683.48±0.593.58±0.570.721 (0.579)
Natural reward strategies3.91±0.823.53±0.643.46±0.783.45±0.723.38±0.712.353 (0.057)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76±0.72b3.47±0.5ab3.37±0.6ab3.38±0.5ab3.24±0.6a2.518 (0.044*)
Total3.78±0.623.51±0.573.49±0.673.45±0.563.43±0.611.678 (0.158)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96±0.773.76±0.603.71±0.733.52±0.663.84±0.501.849 (0.12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9±0.793.17±0.713.04±0.803.05±0.673.31±0.850.779 (0.541)
Job world search behavior3.26±0.943.13±0.792.92±0.902.90±0.843.15±0.941.031 (0.394)
Total3.47±0.573.35±0.583.33±0.583.25±0.523.44±0.520.689 (0.6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Table 7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atisfaction for major (n=143).

VariableSatisfaction for majorF (p)

Poor (n=19)Average (n=60)Good (n=64)



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0±0.813.40±0.563.69±0.693.213 (0.043*)
Duty3.61±0.61ab3.53±0.56a3.86±0.60b5.137 (0.007**)
Ability3.39±0.903.20±0.613.54±0.753.506 (0.033*)
Effectiveness3.36±1.02a3.18±0.50a3.74±0.64b11.533 (<0.001***)
Practice3.26±0.90a3.41±0.54a3.82±0.61b9.401 (<0.001***)
Total3.43±0.74a3.35±0.44a3.75±0.54b9.446 (<0.001***)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37±0.79a3.45±0.52ab3.77±0.56b6.348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3.26±0.89a3.25±0.60a3.97±0.68b19.611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14±0.80a3.34±0.51a3.70±0.63b8.837 (<0.001***)
Total3.27±0.81a3.37±0.50a3.79±0.57b10.753 (<0.00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49±0.95a3.46±0.58a4.08±0.55b16.988 (<0.00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09±0.88ab2.95±0.69a3.34±0.72b4.484 (0.013*)
Job world search behavior2.90±0.992.92±0.833.22±0.882.064 (0.131)
Total3.23±0.71a3.19±0.53a3.55±0.48b7.842 (0.001**)

SD: standard deviation..

a,b,abThe same character was not significant by Tukey & Duncan multiple comparison at α=0.05..

*p<0.05, **p<0.01, ***p<0.001..


Table 8 .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desired job (n=143).

VariableDesired jobF (p)

Crown or porcelain (n=39)RPD or complete denture (n=9)CAD/CAM (n=51)Orthodontics (n=10)Does not matter (n=34)





Mean±SDMean±SDMean±SDMean±SDMean±SD
Social responsibility
Attitude3.64±0.693.73±0.843.46±0.623.50±0.693.56±0.670.537 (0.709)
Duty3.63±0.563.91±0.723.65±0.593.80±0.613.70±0.630.523 (0.719)
Ability3.33±0.703.67±0.913.27±0.683.63±0.763.44±0.781.047 (0.386)
Effectiveness3.38±0.613.57±0.803.46±0.733.83±0.723.40±0.720.946 (0.440)
Practice3.55±0.613.67±0.753.54±0.543.71±0.763.56±0.840.190 (0.943)
Total3.51±0.523.70±0.763.50±0.513.71±0.553.53±0.650.499 (0.736)
Self-leadership
Behavior-focused strategies3.66±0.523.77±0.723.57±0.563.82±0.593.42±0.691.396 (0.239)
Natural reward strategies3.59±0.773.75±0.823.58±0.723.76±0.823.44±0.810.556 (0.695)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3.53±0.553.69±0.573.41±0.653.78±0.723.37±0.711.299 (0.274)
Total3.61±0.543.74±0.723.53±0.583.78±0.633.39±0.721.207 (0.311)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understanding behavior3.82±0.663.81±0.783.62±0.644.06±0.773.73±0.781.051 (0.383)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3.20±0.723.47±0.913.01±0.723.24±0.743.17±0.800.930 (0.448)
Job world search behavior3.12±0.863.28±1.002.92±0.833.08±1.073.09±0.920.489 (0.744)
Total3.42±0.503.573±0.613.21±0.553.572±0.413.39±0.631.815 (0.129)

SD: standard deviation, RP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Table 9 . Correlations among social responsibility, self-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AttitudeDutyAbilityEffectivenessPracticeBehavior-focused strategiesNatural reward strategies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Self-understanding behavior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Job world search behavior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titude1
Duty0.660**1
Ability0.611**0.563**1
Effectiveness0.567**0.594**0.738**1
Practice0.685**0.591**0.588**0.651**1
Behavior-focused strategies0.545**0.635**0.519**0.621**0.677**1
Natural reward strategies0.501**0.530**0.535**0.672**0.698**0.697**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0.483**0.519**0.478**0.594**0.616**0.721**0.839**1
Self-understanding behavior0.445**0.507**0.551**0.658**0.601**0.682**0.785**0.709**1
Job skill improvement
behavior
0.575**0.544**0.640**0.649**0.613**0.578**0.618**0.603**0.673**1
Job world search behavior0.525**0.430**0.549**0.465**0.436**0.485**0.453**0.473**0.512**0.782**1
Career preparation behavior0.510**0.539**0.623**0.665**0.606**0.618**0.675**0.653**0.835**0.894**0.707**1

**p<0.01..


Table 10 . The effect factors of social responsi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ocial responsibility

BStd. errorβt (p)
(Constant)0.9390.2204.267 (<0.001***)
Attitude factor–0.1980.093–0.235–2.121 (0.036*)
Duty factor–0.0560.106–0.060–0.530 (0.597)
Ability factor0.0620.0930.0810.667 (0.506)
Practice factor–0.0420.125–0.049–0.333 (0.740)
R2=0.507F=30.195<0.001***

*p<0.05, ***p<0.001..


Table 11 . The effect factors of self-leadership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143).

VariableSelf-leadership

BStd. errorβt (p)
(Constant)0.8040.2313.482 (0.001**)
Behavior-focused strategies factor1.0710.3441.1483.119 (0.002**)
Natural reward strategies factor0.5380.1360.7333.947 (<0.001***)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factor0.6090.2030.7012.996 (0.003**)
R2=0.529F=38.745<0.001***

**p<0.01, ***p<0.001..


References

  1. Lim DK, Kwon HS, Oh WJ. The influence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major satisfac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employability, employment strategies, major hope for employment - in case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ax and accounting -. J Employ Career. 2016;6:85-109.
    CrossRef
  2.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KHPLEI). National examination passing rate for dental technicians by year [Internet]. KHPLEI; 2007 [cited 2023 Nov 25]. Available from: https://www.kuksiwon.or.kr/peryearPass/list.do?seq=13&srchWord=10.
  3. Park JH. Development of practical curriculum in dental technology.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7;39:205-218.
  4. Choi YK, Kim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uns. 2012;13:2085-2097.
    CrossRef
  5. Kim SK.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20;20:675-684.
    CrossRef
  6. Kim KH.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8.
  7. Lee SY, Kim Y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 Digit Converg. 2016;14:309-318.
    CrossRef
  8. Lee JS. The relationship on nurses'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9. Kim JS. The impact of youth service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Myong Ji University, 2000.
  10. Kim J, Lee T, Han N.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 2018;24:21-29.
    CrossRef
  11. Chung Y, Kim DS.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stiny belief in the prediction of job-seeking stress. JLCCI. 2018;18:493-511.
    CrossRef
  12. Kim EM, Yu EY. The effects of the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n career stress of health university college students. Health Welf. 2018;20:81-99.
    CrossRef
  13. Korea Dental Technologist Association (KDTA). Korea Dental Technologist Association code of ethics [Internet]. KDTA; 2003 [cited 2023 Dec 21]. Available from: https://www.kdtech.or.kr/intro/intro6.asp.
  14. Shin MJ. A study on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 flow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11.
  15. Shin HT, An HJ. The experience of the stop-out of femal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4;23:165-175.
    CrossRef
  16. Park HM, Lee HS.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J Korea Contents Assoc. 2015;15:304-312.
    CrossRef
  17. Kwon SS. A study of the opening status of the compulsory courses for the dental technologist license. J Tech Dent. 2021;43:106-116.
    CrossRef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Most KeyWord ?

What is Most Keyword?

  • It is most registrated keyword in articles at this journal during for 2 years.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eISSN 2288-5218
pISSN 1229-3954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