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riginal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4; 46(4): 189-196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4

https://doi.org/10.14347/jtd.2024.46.4.189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여부와 구강 건강 문제의 연관성 연구

이선경

신한대학교 보건대학 치기공학과

Received: November 7, 2024; Revised: November 27, 2024; Accepted: December 2, 2024

Relationship between dental prostheses and oral health problems in older Koreans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College of Biotechnology & Health, Shinhan University, Uijeongbu, Korea

Correspondence to :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College of Biotechnology & Health, Shinhan University, 95 Hoam-ro, Uijeongbu 11644, Korea
E-mail: oksk3737@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1-7025-7483

Received: November 7, 2024; Revised: November 27, 2024; Accepted: December 2,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ntal prosthesis condition and oral health problems in older Koreans.
Methods: This study used primary raw data from the 9th (202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1,323 people aged ≥65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requency and cross-analyses were performed (p<0.05).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IBM).
Results: Among the older group, 33.6% complained of chewing problems and masticatory discomfort, and 12.7% reported speech problems. The presence of upper and lower jaw implants and the need for partial and full dent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ewing problems (p<0.05) and masticatory discomfort (p<0.05). The presence of upper and lower jaw implants and the need for dent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eech problems (p<0.05). This indicates that the type and presence of dental prostheses are closely related to speech problems.
Conclusion: Oral healthcare and prosthesis management for older people are essential to maintain oral heal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n aging society.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promot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dental prosthesis management programs.

Keywords: Aged, Dental prostheses, Mastication, Masticatory discomfort, Oral health problems

현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 건강에 대한 인식의 증가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1]. 고령 인구와 기대 여명의 증가로 인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Kim과 Lee [2]는 신체 건강과 구강 건강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Ju 등[3]도 구강 건강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밝혔으며, Ware과 Sherbourne [4] 역시 구강 건강이 노후의 건강한 삶을 위해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노년층에서 흔히 나타나는 결손치 증가나 만성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 건강의 악화는 저작 기능의 감소를 초래하며, 이는 소화 기능 약화와 영양 섭취 저하로 이어져 전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국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연 치아의 상실이 증가하는 노년기에는 적절한 치과 보철물을 통해 구강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5].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구강 기능에는 저작, 발음, 연하 기능이 있으며,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감은 음식물 섭취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6-8]. 구강 건강 문제는 치아 손실, 치아 마모, 충치, 치주질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는 치과 보철물의 필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과 보철물(크라운, 임플란트, 의치 등)은 이러한 구강 문제로 인해 상실된 치아의 기능과 미적 요소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 및 구강 구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치아 손실로 인한 저작 기능 저하는 음식물 섭취를 어렵게 하고, 잔존 치아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추가적인 치아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치과 보철물은 이러한 기능적 결손을 보완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고, 주변 치아와 잇몸의 부담을 줄이며, 구강 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치열의 변형을 방지하여 치주 조직의 건강 증진에도 기여한다[10]. 이러한 치과 보철물의 유무는 구강 건강 문제의 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치과 보철물의 적절한 사용은 구강 건강 유지와 개선에 필수적이며, 치과 보철물의 필요성은 구강 건강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Jung과 Lee [11]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상태 및 필요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Lee와 Kim [12]은 노인의 구강 건강과 치과 보철물 필요도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ur 등[5]은 일부 노인의 치과 보철물 상태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치과 보철물의 필요와 구강 건강 삶의 질을 연구한 것이며 구강 건강 문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제9기(2022) 1차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다[13]. 제9기 1차년도(2022)의 조사 대상자는 9,437명으로 192개 표본 조사구 내에서 연구에 필요한 변수만을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한국 노인의 나이를 만 65세로 정의하였고, 65세 이상 노인 1,666명 중에서 치과 보철물과 구강 건강 관련 문항의 무응답이 많은 것을 제외한 1,3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1) 종속변수

본 연구에서는 구강 건강 변수로 리커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말하기 문제 문항을 매우 불편함, 불편함은 ‘있다’로, 그저 그러함, 불편하지 않음, 전혀 불편하지 않음은 ‘없다’로 재정의하였다.

2) 독립변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나이, 교육 수준을 사용하였다. 치과 보철물 여부는 상∙하악의 보철물 상태, 임플란트 존재, 고정성 가공의치,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로 구성하였다.

3. 통계분석

자료는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1.0, IBM)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치과 보철물 여부는 빈도분석하였고, 치과 보철물 여부와 씹기 문제와의 연관성, 치과 보철물 저작 불편 호소와의 연관성, 치과 보철물 여부와 말하기 문제와의 연관성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의 평가는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 보철물 상태는 Table 1과 같다. 총 1,323명의 대상자 중, 성별은 여성 55.1%, 남성 44.9%로 조사되었고, 연령대는 65~70세가 40.6%로 가장 많았고, 76~80세가 32.7%, 71~75세가 26.7%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이하가 50.7%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졸업 16.3%, 고등학교 졸업 20.4%, 대졸 이상이 12.6%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n=1,323)

Characteristicn (%)
Sex
Male594 (44.9)
Female729 (55.1)
Age (yr)
65~70537 (40.6)
71~75354 (26.7)
76~80432 (32.7)
Education
≤Elementary school671 (50.7)
Middle school215 (16.3)
High school270 (20.4)
≥College167 (12.6)
Maxillary prosthesis
No prosthesis426 (32.2)
1 fixed prosthesis235 (17.8)
≥2 fixed prostheses326 (24.6)
Partial denture98 (7.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3 (3.3)
Full dentures195 (14.7)
Mandibular prosthesis
No prosthesis395 (29.9)
1 fixed prosthesis259 (19.6)
≥2 fixed prostheses360 (27.2)
Partial denture124 (9.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5 (3.4)
Full dentures140 (10.6)
Chewing problems
No878 (66.4)
Yes445 (33.6)
Masticatory discomfort
No878 (66.4)
Yes445 (33.6)
Speech problems
No1,155 (87.3)
Yes168 (12.7)


상악 보철물 상태에서는 보철물이 없는 경우가 32.2%로 가장 많았고, 고정성 보철물 1개가 17.8%, 고정성 보철물 2개 이상이 24.6%, 국소의치만 있는 경우가 7.4%,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를 모두 가진 경우가 3.3%으로 나타났고, 총의치 14.7%로 나타났다. 하악 보철물 상태는 보철물이 없는 경우가 29.9%로 가장 많았고, 고정성 보철물 1개가 19.6%, 고정성 보철물 2개 이상이 27.2%, 국소의치만 있는 경우가 9.4%,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를 모두 가진 경우가 3.4%로 나타났고, 총의치 10.6%로 나타났다.

씹기에 문제가 ‘없다’ 66.4%, ‘있다’ 33.6%로 나타났고, 저작 불편 호소는 ‘없다’가 66.4%, ‘있다’가 33.6%로 나타났으며 말하기 문제는 ‘없다’가 87.3%, ‘있다’가 12.7%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구강 내 임플란트 개수 및 보철물 필요

연구대상자들의 구강 내 임플란트 개수 및 보철물 필요는 Table 2와 같다. 상악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가 없는 대상자가 67.0%로 가장 많았으며, 1개는 8.2%, 2개는 9.3%, 3개는 4.4%, 4개는 4.7%, 5~12개는 6.4%로 나타났다. 하악 임플란트의 경우에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가 62.7%로 가장 많았고, 1개는 9.3%, 2개는 11.8%, 3개는 4.5%, 4개는 5.0%, 5~12개는 6.7%로 나타났다.

Table 2 . Number of implants in the oral cavity of the study subject and prosthesis required (n=1,323)

Characteristicn (%)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886 (67.0)
1109 (8.2)
2123 (9.3)
358 (4.4)
462 (4.7)
5~1285 (6.4)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829 (62.7)
1123 (9.3)
2156 (11.8)
360 (4.5)
466 (5.0)
5~1289 (6.7)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13 (91.7)
1~380 (6.0)
4~830 (2.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40 (93.7)
1~359 (4.5)
4~824 (1.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4 (94.8)
Partial dentures62 (4.7)
Full dentures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3 (94.7)
Partial dentures59 (4.5)
Full dentures11 (0.8)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필요하지 않음이 9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3개가 필요한 경우는 6.0%, 4~8개가 필요한 경우는 2.3%로 나타났다. 하악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 여부도 필요하지 않음이 93.7%, 1~3개가 필요한 경우가 4.5%, 4~8개가 필요한 경우가 1.8%로 나타났다.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94.8%로 가장 많았고, 국소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4.7%, 총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0.5%로 나타났으며, 하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에서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소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4.5%, 총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0.8%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여부와 씹기 문제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41.8%,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이 39.5%로 가장 높았으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3.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7)를 보였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0.8%, 있는 경우는 30.8%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08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2.7%,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31.0%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235).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으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9.9%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하악에서도 국소의치와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4.5%,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30.2%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Table 3).

Table 3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and chewing problems (n=1,323)

VariableChewing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1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4. 치과 보철물 여부와 저작 불편 호소 여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41.8%, 호소하는 비율은 2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가 있었다. 하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39.5%, 호소하는 비율은 23.2%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p=0.007)가 있었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0.8%, 호소하는 비율은 30.8%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08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2.7%, 호소하는 비율은 31.0%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35).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4.9%, 호소하는 비율은 29.9%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4.5%, 호소하는 비율은 30.2%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가 있었다(Table 4).

Table 4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masticatory discomfort (n=1,323)

VariableMasticatory discomfort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2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5. 치과 보철물 여부와 말하기 문제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56.9%,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6)가 있었고,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이 53.8%로 가장 높았고,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8.8%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9)가 있었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79.7%,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9%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p=0.35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1.7%,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2.0%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792).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3.6%,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2%로 유의미한 차이(p<0.001)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3.4%,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Table 5).

Table 5 . The association between having a dental prosthesis and speaking problems (n=1,323)

VariableSpeech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753 (56.9)133 (10.1)0.006
1105 (7.9)4 (0.3)
2112 (8.5)11 (0.8)
354 (4.1)4 (0.3)
454 (4.1)8 (0.6)
5~1277 (5.8)8 (0.6)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712 (53.8)117 (8.8)0.039
1119 (9.0)4 (0.3)
2135 (10.2)21 (1.6)
352 (3.9)8 (0.6)
458 (4.4)8 (0.6)
5~1279 (6.0)10 (0.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55 (79.7)158 (11.9)0.354
1~374 (5.6)6 (0.5)
4~826 (2.0)4 (0.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81 (81.7)159 (12.0)0.792
1~352 (3.9)7 (0.5)
4~822 (1.7)2 (0.2)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6 (83.6)148 (11.2)<0.001
Partial dentures45 (3.4)17 (1.3)
Full dentures4 (0.3)3 (0.2)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3 (83.4)150 (11.3)<0.001
Partial dentures46 (3.5)13 (1.0)
Full dentures6 (0.5)5 (0.4)

p<0.05, by chi-square test.


노년기에는 구강 건강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노인의 구강 건강 관리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14].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에 필수적이지만, 많은 노인들은 치아 문제를 정상적인 노화 현상으로 여기고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아 치과 방문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구강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구강보건정책은 국민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15].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9기 1차년도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여부가 구강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4년 자료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평균 자연치아 수는 17.4개로 2010년의 16.0개보다 증가했지만, 20.0개 이상의 자연치아를 보유한 비율은 50.5%에 불과하며, 의치 필요율도 28.6%로 조사되었다[16]. Roh 등[17]의 연구에서는 틀니 사용률이 60대에서 29.2%, 70대에서 35.0%, 80대 이상에서는 73.7%로 나타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틀니 사용률이 증가한다고 하였다[18]. 본 연구에서도 65세 이상 노인 중 상악에 보철물이 있는 경우는 67.8%, 하악은 70.1%였으며, 국소의치 및 총의치는 상악 22.1%, 하악 20.0%로 조사되어 치아 상실과 결손이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저작, 통증, 외관상의 문제로 인해 보철물의 필요성이 커진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맥 상통한다[19]. 또한, 2015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70대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이 저작 불편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 본 연구에서도 씹기와 저작 불편을 호소하는 비율이 33.6%로,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상악에 임플란트가 있는 경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5.2%, 하악에서는 23.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7)를 보였으며,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할 때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9.9% (p<0.001), 하악에서는 30.2%로,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와 씹기 문제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구강 건강 유지와 치과 보철물 여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악에 임플란트가 있을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0.1%로 나타났고(p=0.006),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있을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8.8%로 나타났다(p=0.039).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할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2% (p<0.001)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할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상∙하악 보철물 필요도에서는 상∙하악 의치 필요도가 적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12]. McGrath와 Bedi [21]는 가철성 및 고정성 치과 보철물이 없는 치아 상실은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이며, 삶의 질을 측정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Heydecke 등[22]은 의치를 착용하는 것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변수들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임플란트 개수는 평균 상악 1.01개, 하악 1.08개로 나타났고,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는 42.4%, 하악 46.8%를 나타냈으며, 상악 의치 비율은 22.1%, 하악 20.0%로 나타났다.

2. 노인 중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을 호소하는 비율은 33.6%, 말하기 문제가 있다는 비율은 12.7%로 나타났다.

3. 상∙하악 임플란트 유무와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는 씹기 문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저작 불편 호소와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상∙하악 임플란트 유무와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는 말하기 문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이는 치과 보철물의 종류와 유무가 말하기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악 및 하악 임플란트와 국소의치, 총의치의 필요 여부는 씹기와 저작 불편, 그리고 말하기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구강 기능 유지에 있어 치과 보철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 대상의 구강 보건 관리 및 보철물 관리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노인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치과 보철물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1. Lee SM, ·Kim SK, ·Kang BW. Adults' concern for oral health and subjective oral health symptom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871-880.
  2. Kim YH, Lee JH.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periodontal disease for the elderly. J Korean Soc Dent Hyg. 2019;19:555-564.
    CrossRef
  3. Ju OJ, Kim IJ, Son JL.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on or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 Converg Soc. 2020;11:309-315.
  4.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473-483.
    Pubmed CrossRef
  5. Hur IG,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101-110.
    CrossRef
  6. Salleh NM, Fueki K, Garrett NR, Ohyama T. Objective and subjective hardness of a test item used for evaluating food mixing ability. J Oral Rehabil. 2007;34:174-183.
    Pubmed CrossRef
  7. Laudisio A, Marzetti E, Antonica L, Settanni S, Georgakakis I, Bernabei R, et al. Masticatory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older men. J Clin Periodontol. 2007;34:964-968.
    Pubmed CrossRef
  8. Ritchie CS, Joshipura K, Silliman RA, Miller B, Douglas CW. Oral health problems and significant weight lo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0;55:M366-M371.
    Pubmed CrossRef
  9. Kim JS. A cognitive degree on the operative dentistry, prosdontis. J Korean Acad Dent Technol. 1996;18:27-37.
  10. Lee JD, Kim J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prosthetic treatment.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08;30:109-119.
  11. Jung HK, Lee JD. A study on the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needs of elderly in Korea (from the 2010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2;34:315-324.
    CrossRef
  12. Lee HS, Kim HG. The effect of oral health index and dental prosthesis need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KAIS. 2016;17:72-78.
    CrossRef
  1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9th 1st raw data 2022) [Internet]. KDCA; 2022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3/sub03_02_05.do.
  14. Woo SR.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e of the oral cavity and the health-caring act on the oral cavity on the life quality concerning the health of the oral cavity of the senior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13.
  15. Park JH.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ngju, Korea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8.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th 2nd Year [Internet]. MOHW; 2015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act=view&list_no=337363&tag=&nPage=55.
  17. Roh J, Cha S, Kim H, Lee E, Shin J, Lee R, et al. Study on dental prosthesis status for community oral health promotion project in Wonju. Korean J Clin Dent Hyg. 2017;5:29-36.
  18. Han SY, Kim CS. Recognition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denture among the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J Korean Dent Assoc. 2012;50:407-419.
    CrossRef
  19. Kim SY, Shin SY.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prostheses by increased vertical occlusal dimension using 3D printed splint in a patient with excessive tooth wear.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3;61:215-226.
    CrossRef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and Korea Institute for Hearth and Social Affairs (KIHASA). OECD health statistics 2017 [Internet]. MOHW and KIHASA; 2017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300&bid=0019&act=view&list_no=341573.
  21. McGrath C, Bedi R. Can dentur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nsiderable tooth loss?. J Dent. 2001;29:243-246.
    Pubmed CrossRef
  22. Heydecke G, Tedesco LA, Kowalski C, Inglehart MR. Complete denture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97-306.
    Pubmed CrossRef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4; 46(4): 189-196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4 https://doi.org/10.14347/jtd.2024.46.4.189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여부와 구강 건강 문제의 연관성 연구

이선경

신한대학교 보건대학 치기공학과

Received: November 7, 2024; Revised: November 27, 2024; Accepted: December 2, 2024

Relationship between dental prostheses and oral health problems in older Koreans

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College of Biotechnology & Health, Shinhan University, Uijeongbu, Korea

Correspondence to:Sun-Kyoung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College of Biotechnology & Health, Shinhan University, 95 Hoam-ro, Uijeongbu 11644, Korea
E-mail: oksk3737@hanmail.net
https://orcid.org/0000-0001-7025-7483

Received: November 7, 2024; Revised: November 27, 2024; Accepted: December 2,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ntal prosthesis condition and oral health problems in older Koreans.
Methods: This study used primary raw data from the 9th (202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1,323 people aged ≥65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Frequency and cross-analyses were performed (p<0.05).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IBM).
Results: Among the older group, 33.6% complained of chewing problems and masticatory discomfort, and 12.7% reported speech problems. The presence of upper and lower jaw implants and the need for partial and full dent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hewing problems (p<0.05) and masticatory discomfort (p<0.05). The presence of upper and lower jaw implants and the need for dentu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peech problems (p<0.05). This indicates that the type and presence of dental prostheses are closely related to speech problems.
Conclusion: Oral healthcare and prosthesis management for older people are essential to maintain oral health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n aging society.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promoting the oral health of older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dental prosthesis management programs.

Keywords: Aged, Dental prostheses, Mastication, Masticatory discomfort, Oral health problems

INTRODUCTION

현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 건강에 대한 인식의 증가와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1]. 고령 인구와 기대 여명의 증가로 인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이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 역시 커지고 있다. Kim과 Lee [2]는 신체 건강과 구강 건강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Ju 등[3]도 구강 건강이 건강 관련 삶의 질과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밝혔으며, Ware과 Sherbourne [4] 역시 구강 건강이 노후의 건강한 삶을 위해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노년층에서 흔히 나타나는 결손치 증가나 만성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 건강의 악화는 저작 기능의 감소를 초래하며, 이는 소화 기능 약화와 영양 섭취 저하로 이어져 전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결국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연 치아의 상실이 증가하는 노년기에는 적절한 치과 보철물을 통해 구강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5].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구강 기능에는 저작, 발음, 연하 기능이 있으며,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감은 음식물 섭취 시 불편함을 초래한다[6-8]. 구강 건강 문제는 치아 손실, 치아 마모, 충치, 치주질환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이는 치과 보철물의 필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과 보철물(크라운, 임플란트, 의치 등)은 이러한 구강 문제로 인해 상실된 치아의 기능과 미적 요소를 회복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 및 구강 구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치아 손실로 인한 저작 기능 저하는 음식물 섭취를 어렵게 하고, 잔존 치아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추가적인 치아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치과 보철물은 이러한 기능적 결손을 보완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고, 주변 치아와 잇몸의 부담을 줄이며, 구강 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치열의 변형을 방지하여 치주 조직의 건강 증진에도 기여한다[10]. 이러한 치과 보철물의 유무는 구강 건강 문제의 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치과 보철물의 적절한 사용은 구강 건강 유지와 개선에 필수적이며, 치과 보철물의 필요성은 구강 건강 문제 해결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Jung과 Lee [11]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상태 및 필요도에 대해 조사하였고, Lee와 Kim [12]은 노인의 구강 건강과 치과 보철물 필요도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ur 등[5]은 일부 노인의 치과 보철물 상태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치과 보철물의 필요와 구강 건강 삶의 질을 연구한 것이며 구강 건강 문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제9기(2022) 1차 원시 자료를 활용하였다[13]. 제9기 1차년도(2022)의 조사 대상자는 9,437명으로 192개 표본 조사구 내에서 연구에 필요한 변수만을 추출하여 이용하였다. 한국 노인의 나이를 만 65세로 정의하였고, 65세 이상 노인 1,666명 중에서 치과 보철물과 구강 건강 관련 문항의 무응답이 많은 것을 제외한 1,32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1) 종속변수

본 연구에서는 구강 건강 변수로 리커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는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말하기 문제 문항을 매우 불편함, 불편함은 ‘있다’로, 그저 그러함, 불편하지 않음, 전혀 불편하지 않음은 ‘없다’로 재정의하였다.

2) 독립변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나이, 교육 수준을 사용하였다. 치과 보철물 여부는 상∙하악의 보철물 상태, 임플란트 존재, 고정성 가공의치,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로 구성하였다.

3. 통계분석

자료는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ocial Sciences ver. 21.0, IBM)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치과 보철물 여부는 빈도분석하였고, 치과 보철물 여부와 씹기 문제와의 연관성, 치과 보철물 저작 불편 호소와의 연관성, 치과 보철물 여부와 말하기 문제와의 연관성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의 평가는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RESULTS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 보철물 상태는 Table 1과 같다. 총 1,323명의 대상자 중, 성별은 여성 55.1%, 남성 44.9%로 조사되었고, 연령대는 65~70세가 40.6%로 가장 많았고, 76~80세가 32.7%, 71~75세가 26.7%로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이하가 50.7%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졸업 16.3%, 고등학교 졸업 20.4%, 대졸 이상이 12.6%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n=1,323).

Characteristicn (%)
Sex
Male594 (44.9)
Female729 (55.1)
Age (yr)
65~70537 (40.6)
71~75354 (26.7)
76~80432 (32.7)
Education
≤Elementary school671 (50.7)
Middle school215 (16.3)
High school270 (20.4)
≥College167 (12.6)
Maxillary prosthesis
No prosthesis426 (32.2)
1 fixed prosthesis235 (17.8)
≥2 fixed prostheses326 (24.6)
Partial denture98 (7.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3 (3.3)
Full dentures195 (14.7)
Mandibular prosthesis
No prosthesis395 (29.9)
1 fixed prosthesis259 (19.6)
≥2 fixed prostheses360 (27.2)
Partial denture124 (9.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5 (3.4)
Full dentures140 (10.6)
Chewing problems
No878 (66.4)
Yes445 (33.6)
Masticatory discomfort
No878 (66.4)
Yes445 (33.6)
Speech problems
No1,155 (87.3)
Yes168 (12.7)


상악 보철물 상태에서는 보철물이 없는 경우가 32.2%로 가장 많았고, 고정성 보철물 1개가 17.8%, 고정성 보철물 2개 이상이 24.6%, 국소의치만 있는 경우가 7.4%,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를 모두 가진 경우가 3.3%으로 나타났고, 총의치 14.7%로 나타났다. 하악 보철물 상태는 보철물이 없는 경우가 29.9%로 가장 많았고, 고정성 보철물 1개가 19.6%, 고정성 보철물 2개 이상이 27.2%, 국소의치만 있는 경우가 9.4%, 고정성 보철물과 국소의치를 모두 가진 경우가 3.4%로 나타났고, 총의치 10.6%로 나타났다.

씹기에 문제가 ‘없다’ 66.4%, ‘있다’ 33.6%로 나타났고, 저작 불편 호소는 ‘없다’가 66.4%, ‘있다’가 33.6%로 나타났으며 말하기 문제는 ‘없다’가 87.3%, ‘있다’가 12.7%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구강 내 임플란트 개수 및 보철물 필요

연구대상자들의 구강 내 임플란트 개수 및 보철물 필요는 Table 2와 같다. 상악 임플란트의 경우, 임플란트가 없는 대상자가 67.0%로 가장 많았으며, 1개는 8.2%, 2개는 9.3%, 3개는 4.4%, 4개는 4.7%, 5~12개는 6.4%로 나타났다. 하악 임플란트의 경우에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가 62.7%로 가장 많았고, 1개는 9.3%, 2개는 11.8%, 3개는 4.5%, 4개는 5.0%, 5~12개는 6.7%로 나타났다.

Table 2 . Number of implants in the oral cavity of the study subject and prosthesis required (n=1,323).

Characteristicn (%)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886 (67.0)
1109 (8.2)
2123 (9.3)
358 (4.4)
462 (4.7)
5~1285 (6.4)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829 (62.7)
1123 (9.3)
2156 (11.8)
360 (4.5)
466 (5.0)
5~1289 (6.7)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13 (91.7)
1~380 (6.0)
4~830 (2.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40 (93.7)
1~359 (4.5)
4~824 (1.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4 (94.8)
Partial dentures62 (4.7)
Full dentures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3 (94.7)
Partial dentures59 (4.5)
Full dentures11 (0.8)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필요하지 않음이 91.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3개가 필요한 경우는 6.0%, 4~8개가 필요한 경우는 2.3%로 나타났다. 하악 고정성 가공의치 필요 여부도 필요하지 않음이 93.7%, 1~3개가 필요한 경우가 4.5%, 4~8개가 필요한 경우가 1.8%로 나타났다.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에 대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94.8%로 가장 많았고, 국소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4.7%, 총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0.5%로 나타났으며, 하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에서도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9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소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4.5%, 총의치가 필요한 경우는 0.8%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여부와 씹기 문제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41.8%,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이 39.5%로 가장 높았으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3.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7)를 보였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0.8%, 있는 경우는 30.8%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p=0.08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2.7%,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31.0%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235).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으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9.9%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하악에서도 국소의치와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씹기 문제가 없는 비율은 64.5%,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30.2%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Table 3).

Table 3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and chewing problems (n=1,323).

VariableChewing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1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4. 치과 보철물 여부와 저작 불편 호소 여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41.8%, 호소하는 비율은 25.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가 있었다. 하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39.5%, 호소하는 비율은 23.2%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p=0.007)가 있었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0.8%, 호소하는 비율은 30.8%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08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2.7%, 호소하는 비율은 31.0%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35).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4.9%, 호소하는 비율은 29.9%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저작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비율은 64.5%, 호소하는 비율은 30.2%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2)가 있었다(Table 4).

Table 4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masticatory discomfort (n=1,323).

VariableMasticatory discomfort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2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5. 치과 보철물 여부와 말하기 문제와의 연관성

상악에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56.9%,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6)가 있었고,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이 53.8%로 가장 높았고,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8.8%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39)가 있었다.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79.7%,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9%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p=0.354), 하악에서도 고정성 가공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1.7%,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2.0%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792).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3.6%,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2%로 유의미한 차이(p<0.001)를 보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 없는 경우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 비율은 83.4%,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Table 5).

Table 5 . The association between having a dental prosthesis and speaking problems (n=1,323).

VariableSpeech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753 (56.9)133 (10.1)0.006
1105 (7.9)4 (0.3)
2112 (8.5)11 (0.8)
354 (4.1)4 (0.3)
454 (4.1)8 (0.6)
5~1277 (5.8)8 (0.6)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712 (53.8)117 (8.8)0.039
1119 (9.0)4 (0.3)
2135 (10.2)21 (1.6)
352 (3.9)8 (0.6)
458 (4.4)8 (0.6)
5~1279 (6.0)10 (0.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55 (79.7)158 (11.9)0.354
1~374 (5.6)6 (0.5)
4~826 (2.0)4 (0.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81 (81.7)159 (12.0)0.792
1~352 (3.9)7 (0.5)
4~822 (1.7)2 (0.2)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6 (83.6)148 (11.2)<0.001
Partial dentures45 (3.4)17 (1.3)
Full dentures4 (0.3)3 (0.2)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3 (83.4)150 (11.3)<0.001
Partial dentures46 (3.5)13 (1.0)
Full dentures6 (0.5)5 (0.4)

p<0.05, by chi-square test..


DISCUSSION

노년기에는 구강 건강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노인의 구강 건강 관리 필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14]. 구강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에 필수적이지만, 많은 노인들은 치아 문제를 정상적인 노화 현상으로 여기고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아 치과 방문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구강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구강보건정책은 국민의 적극적인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15].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9기 1차년도 원시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여부가 구강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4년 자료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평균 자연치아 수는 17.4개로 2010년의 16.0개보다 증가했지만, 20.0개 이상의 자연치아를 보유한 비율은 50.5%에 불과하며, 의치 필요율도 28.6%로 조사되었다[16]. Roh 등[17]의 연구에서는 틀니 사용률이 60대에서 29.2%, 70대에서 35.0%, 80대 이상에서는 73.7%로 나타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틀니 사용률이 증가한다고 하였다[18]. 본 연구에서도 65세 이상 노인 중 상악에 보철물이 있는 경우는 67.8%, 하악은 70.1%였으며, 국소의치 및 총의치는 상악 22.1%, 하악 20.0%로 조사되어 치아 상실과 결손이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저작, 통증, 외관상의 문제로 인해 보철물의 필요성이 커진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맥 상통한다[19]. 또한, 2015년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70대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이 저작 불편을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20]. 본 연구에서도 씹기와 저작 불편을 호소하는 비율이 33.6%로,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상악에 임플란트가 있는 경우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5.2%, 하악에서는 23.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7)를 보였으며, 상악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할 때 씹기 문제가 있는 비율은 29.9% (p<0.001), 하악에서는 30.2%로,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와 씹기 문제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구강 건강 유지와 치과 보철물 여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악에 임플란트가 있을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0.1%로 나타났고(p=0.006), 하악에서도 임플란트가 있을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8.8%로 나타났다(p=0.039). 상악에서 국소의치 또는 총의치가 필요할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2% (p<0.001)였고, 하악에서도 국소의치 및 총의치가 필요할 때 말하기 문제를 경험하는 비율은 11.3%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상∙하악 보철물 필요도에서는 상∙하악 의치 필요도가 적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12]. McGrath와 Bedi [21]는 가철성 및 고정성 치과 보철물이 없는 치아 상실은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이며, 삶의 질을 측정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Heydecke 등[22]은 의치를 착용하는 것은 구강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변수들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CONCLUSIONS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임플란트 개수는 평균 상악 1.01개, 하악 1.08개로 나타났고,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는 42.4%, 하악 46.8%를 나타냈으며, 상악 의치 비율은 22.1%, 하악 20.0%로 나타났다.

2. 노인 중 씹기 문제와 저작 불편을 호소하는 비율은 33.6%, 말하기 문제가 있다는 비율은 12.7%로 나타났다.

3. 상∙하악 임플란트 유무와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는 씹기 문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저작 불편 호소와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5).

4. 상∙하악 임플란트 유무와 국소의치 및 총의치 필요 여부는 말하기 문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p<0.05), 이는 치과 보철물의 종류와 유무가 말하기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65세 이상 노인의 치과 보철물 유무와 구강 건강 문제 간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악 및 하악 임플란트와 국소의치, 총의치의 필요 여부는 씹기와 저작 불편, 그리고 말하기 문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구강 기능 유지에 있어 치과 보철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 구강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 대상의 구강 보건 관리 및 보철물 관리가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노인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과 치과 보철물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NDING

None to declare.

ACKNOWLEDGE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n=1,323).

Characteristicn (%)
Sex
Male594 (44.9)
Female729 (55.1)
Age (yr)
65~70537 (40.6)
71~75354 (26.7)
76~80432 (32.7)
Education
≤Elementary school671 (50.7)
Middle school215 (16.3)
High school270 (20.4)
≥College167 (12.6)
Maxillary prosthesis
No prosthesis426 (32.2)
1 fixed prosthesis235 (17.8)
≥2 fixed prostheses326 (24.6)
Partial denture98 (7.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3 (3.3)
Full dentures195 (14.7)
Mandibular prosthesis
No prosthesis395 (29.9)
1 fixed prosthesis259 (19.6)
≥2 fixed prostheses360 (27.2)
Partial denture124 (9.4)
Fixed prostheses and partial dentures45 (3.4)
Full dentures140 (10.6)
Chewing problems
No878 (66.4)
Yes445 (33.6)
Masticatory discomfort
No878 (66.4)
Yes445 (33.6)
Speech problems
No1,155 (87.3)
Yes168 (12.7)

Table 2 . Number of implants in the oral cavity of the study subject and prosthesis required (n=1,323).

Characteristicn (%)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886 (67.0)
1109 (8.2)
2123 (9.3)
358 (4.4)
462 (4.7)
5~1285 (6.4)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829 (62.7)
1123 (9.3)
2156 (11.8)
360 (4.5)
466 (5.0)
5~1289 (6.7)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13 (91.7)
1~380 (6.0)
4~830 (2.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240 (93.7)
1~359 (4.5)
4~824 (1.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4 (94.8)
Partial dentures62 (4.7)
Full dentures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253 (94.7)
Partial dentures59 (4.5)
Full dentures11 (0.8)

Table 3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and chewing problems (n=1,323).

VariableChewing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1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Table 4 .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masticatory discomfort (n=1,323).

VariableMasticatory discomfort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553 (41.8)333 (25.2)0.002
182 (6.2)27 (2.0)
288 (6.7)35 (2.6)
345 (3.4)13 (1.0)
447 (3.6)15 (1.1)
5~1263 (4.8)22 (1.7)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522 (39.5)307 (23.2)0.007
194 (7.1)29 (2.2)
2108 (8.2)48 (3.6)
338 (2.9)22 (1.7)
451 (3.9)15 (1.1)
5~1265 (4.9)24 (1.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05 (60.8)408 (30.8)0.084
1~358 (4.4)22 (1.7)
4~815 (1.1)15 (1.1)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830 (62.7)410 (31.0)0.235
1~334 (2.6)25 (1.9)
4~814 (1.1)10 (0.8)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9 (64.9)395 (29.9)<0.001
Partial dentures19 (1.4)43 (3.3)
Full dentures0 (0.0)7 (0.5)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853 (64.5)400 (30.2)0.002
Partial dentures23 (1.7)36 (2.7)
Full dentures2 (0.2)9 (0.7)

p<0.05, by chi-square test..


Table 5 . The association between having a dental prosthesis and speaking problems (n=1,323).

VariableSpeech problem (%)p

NoYes
Number of maxillary implants
0753 (56.9)133 (10.1)0.006
1105 (7.9)4 (0.3)
2112 (8.5)11 (0.8)
354 (4.1)4 (0.3)
454 (4.1)8 (0.6)
5~1277 (5.8)8 (0.6)
Number of mandibular implants
0712 (53.8)117 (8.8)0.039
1119 (9.0)4 (0.3)
2135 (10.2)21 (1.6)
352 (3.9)8 (0.6)
458 (4.4)8 (0.6)
5~1279 (6.0)10 (0.8)
Maxillary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55 (79.7)158 (11.9)0.354
1~374 (5.6)6 (0.5)
4~826 (2.0)4 (0.3)
Mandibular fixed prosthesis may be required
01,081 (81.7)159 (12.0)0.792
1~352 (3.9)7 (0.5)
4~822 (1.7)2 (0.2)
Maxillary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6 (83.6)148 (11.2)<0.001
Partial dentures45 (3.4)17 (1.3)
Full dentures4 (0.3)3 (0.2)
Mandibular dentures required
Not required1,103 (83.4)150 (11.3)<0.001
Partial dentures46 (3.5)13 (1.0)
Full dentures6 (0.5)5 (0.4)

p<0.05, by chi-square test..


References

  1. Lee SM, ·Kim SK, ·Kang BW. Adults' concern for oral health and subjective oral health symptoms. J Korean Soc Dent Hyg. 2011;11:871-880.
  2. Kim YH, Lee JH.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n periodontal disease for the elderly. J Korean Soc Dent Hyg. 2019;19:555-564.
    CrossRef
  3. Ju OJ, Kim IJ, Son JL. Influenc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on or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 Converg Soc. 2020;11:309-315.
  4.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1992;30:473-483.
    Pubmed CrossRef
  5. Hur IG,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101-110.
    CrossRef
  6. Salleh NM, Fueki K, Garrett NR, Ohyama T. Objective and subjective hardness of a test item used for evaluating food mixing ability. J Oral Rehabil. 2007;34:174-183.
    Pubmed CrossRef
  7. Laudisio A, Marzetti E, Antonica L, Settanni S, Georgakakis I, Bernabei R, et al. Masticatory dysfunction i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in older men. J Clin Periodontol. 2007;34:964-968.
    Pubmed CrossRef
  8. Ritchie CS, Joshipura K, Silliman RA, Miller B, Douglas CW. Oral health problems and significant weight los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0;55:M366-M371.
    Pubmed CrossRef
  9. Kim JS. A cognitive degree on the operative dentistry, prosdontis. J Korean Acad Dent Technol. 1996;18:27-37.
  10. Lee JD, Kim J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prosthetic treatment.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08;30:109-119.
  11. Jung HK, Lee JD. A study on the dental prosthesis status and needs of elderly in Korea (from the 2010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Korean Acad Dent Technol. 2012;34:315-324.
    CrossRef
  12. Lee HS, Kim HG. The effect of oral health index and dental prosthesis needs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JKAIS. 2016;17:72-78.
    CrossRef
  1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9th 1st raw data 2022) [Internet]. KDCA; 2022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3/sub03_02_05.do.
  14. Woo SR. The effect of the health state of the oral cavity and the health-caring act on the oral cavity on the life quality concerning the health of the oral cavity of the senior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13.
  15. Park JH.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ngju, Korea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8.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6th 2nd Year [Internet]. MOHW; 2015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act=view&list_no=337363&tag=&nPage=55.
  17. Roh J, Cha S, Kim H, Lee E, Shin J, Lee R, et al. Study on dental prosthesis status for community oral health promotion project in Wonju. Korean J Clin Dent Hyg. 2017;5:29-36.
  18. Han SY, Kim CS. Recognition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the actual condition of denture among the elderly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J Korean Dent Assoc. 2012;50:407-419.
    CrossRef
  19. Kim SY, Shin SY.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fixed prostheses by increased vertical occlusal dimension using 3D printed splint in a patient with excessive tooth wear. J Korean Acad Prosthodont. 2023;61:215-226.
    CrossRef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and Korea Institute for Hearth and Social Affairs (KIHASA). OECD health statistics 2017 [Internet]. MOHW and KIHASA; 2017 [cited 2024 Oct 1]. Available from: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300&bid=0019&act=view&list_no=341573.
  21. McGrath C, Bedi R. Can dentur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considerable tooth loss?. J Dent. 2001;29:243-246.
    Pubmed CrossRef
  22. Heydecke G, Tedesco LA, Kowalski C, Inglehart MR. Complete denture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do coping styles matter?.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4;32:297-306.
    Pubmed CrossRef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Most KeyWord ?

What is Most Keyword?

  • It is most registrated keyword in articles at this journal during for 2 years.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eISSN 2288-5218
pISSN 1229-3954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