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Ex) Article Title, Author, Keywords

Original Article

Split Viewer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1; 43(4): 194-20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14347/jtd.2021.43.4.194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기공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강 월1, 장 연2

1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2진주보건대학교 치기공과

Received: November 1, 2021; Revised: December 9, 2021; Accepted: December 15, 2021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mong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Wol Kang1 , Yeon Jang2

1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Daegu Health College, Daegu, Korea
2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Jinju Health College,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 :
Yeon Jang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Jinju Health College, 51 Uibyeong-ro, Jinju 52655, Korea
E-mail: jjyy66@naver.com
https://orcid.org/0000-0002-4691-0582

Received: November 1, 2021; Revised: December 9, 2021; Accepted: December 15,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mong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Method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questionnaires completed by 180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were 3.17, 3.03, and 2.4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Conclus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as a dental technician. Therefore, a clinical practi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Keywords: Career ident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Professional self-concept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중고등학교 때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깊이 있게 고민해 볼 기회가 부족하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학과 선택보다는 학교 성적에 따라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이에 학과 부적응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고 학교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통해 향후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1].

대학알리미 사이트의 2012년 공시자료에 따르면, 전국 19개 대학 치기공(학)과의 중도탈락률이 3년제 대학은 평균 6.0%, 4년제 대학은 평균 2.9%로 나타났다. 그리고 2021년 전국 18개 대학 치기공(학)과 평균 중도탈락 학생 비율은 3년제 대학이 8.9%, 4년제 대학이 3.2%로 2012년 자료와 비교했을 때, 각각 2.9%p, 0.3%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중도탈락비율이 상승 추세에 있음을 보여준다[2].

치기공(학)과의 임상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교육과정으로 치과기공사로서의 올바른 가치관을 갖도록 하며 나아가 치과기공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감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임하도록 한다[3]. 따라서 임상실습 시 만족도가 낮아지게 되면 진로결정에 대한 확신 및 자아존중감이 낮아져서 진로정체감에 혼란을 줄 수 있다[4,5].

진로정체감이란 직업에 대한 자신의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된 상을 가지고 있는 지를 의미한다. 즉 진로에 대한 건강한 자기 확신 정도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6]. 이러한 진로정체감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으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대학생활을 적응하지 못하거나[7], 학습된 무기력 수준을 높게 만들어 학업에 무기력하게 행동하게 된다[8].

한편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자신이 속한 분야의 직업인으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정신적 지각을 말한다. 다시 말해 치과기공사로서 내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느냐 혹은 부정적으로 보느냐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자신감이 넘치며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일에 대한 성취가능성이 높은 반면, 부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자신감이 부족하며, 일적으로 적응이 어렵고 열등감이 높아서 결국은 일에 대한 성취가능성이 낮게 나타난다[9].

이제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임상실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0,11],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진로정체감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12]. 또한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13-15]. 하지만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임상실습 만족도와 더불어 전문직 자아개념과 진로정체감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1.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2021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경북 및 경남지역 소재의 치기공과 3학년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180명을 편의 표본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 86부를 제외한 94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표본 수는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해 단순회귀분석에 필요한 효과크기 0.20,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 예측변인 3개로 설정한 결과 총 88명의 대상자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총 11문항으로 성별, 학과 선택 동기, 친인척 중에 치과기공사 유무,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경험, 임상실습 장소 결정권, 임상실습 장소, 임상실습 시 주거지, 임상실습 시기와 기간, 임상실습처로 취업 의향, 평균 성적을 조사했다.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설문 문항은 Choi [16]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30문항으로 실습 내용에 대한 만족도 2문항, 실습 과목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 5문항, 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 평가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실습 후 도움이 된 정도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임상실습 만족도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8로 나타났다.

치과기공사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Song [17]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의미하며, 윤리, 의사소통, 전문직 실무, 만족감인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부정적인 문항 8번 18번, 20번은 역환산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7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14문항으로, Kwon과 Kim [18]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진로정체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5로 나타났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2.0 (IBM,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처리를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료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은 one-way ANOVA 또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50명, 53.2%)가 여자(44명, 46.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기공과 선택 동기는 전문직이라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2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19.15%)라는 응답과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5%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는 치과기공사가 없다는 응답이 85.1%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51.1%, 만족한다가 25.5%, 매우 만족한다가 17%로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성적은 3.50~3.99점이 34%, 3.00~3.49점이 29.8%, 4.00~4.50점이 21.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장소 선택권은 교수와 함께 결정한다는 응답이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은 치과기공소에서 진행했다는 응답이 8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중에 거주지는 자택에서 한다는 응답이 61.7%, 자취나 하숙을 한다는 응답이 27.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은 방학 중에 한다는 응답이 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간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의견에는 적절하다가 61.7%,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31.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을 했던 곳에 취업을 하겠냐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네’라는 응답이 59.6%, ‘아니오’라는 응답이 40.4%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N%
Sex
Male5053.2
Female444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1819.15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1617
The high employment rate77.5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1617
Because it's a professional1920.2
It seems right aptitude1819.15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1414.9
No8085.1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33.2
Dissatisfaction33.2
Neutrality4851.1
Satisfaction2425.5
Very satisfaction1617
Achievement
1.00~2.4955.3
2.50~2.9999.6
3.00~3.492829.8
3.50~3.993234
4.00~4.502021.3
Right to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739.3
Professor66.4
Me and professor5154.3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8287.2
Clinic dental laboratory99.6
Hospital dental laboratory33.2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5861.7
Dorming or living alone2627.7
Relatives house33.2
Etc.77.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8590.4
During the semester99.6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66.4
Appropriate5861.7
Need to increase3031.9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5659.6
No3840.4


2.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17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는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3.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 경험 후의 만족도가 3.23, 임상실습 과목과 시기에 대한 만족도가 3.18, 임상실습 과목 및 환경, 평가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3.03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윤리와 의사소통이 3.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 실무가 3.11, 만족감이 2.83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정체감은 4점 만점에 2.46로 나타났다.

Table 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Mean±standard devia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3.15±0.79
Subject3.18±0.77
Director3.34±0.78
Environment3.02±0.67
Time3.18±0.77
Evaluation3.01±0.80
Experience3.23±0.75
Total3.17±0.69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Ethic3.16±0.74
Communication3.16±0.74
Professional practice3.11±0.73
Satisfaction2.83±0.56
Total3.03±0.61
Career identity2.46±0.79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전공 만족도와 취업의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진로정체감은 임상실습장소 결정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Career identity



Mean±SDF or t (p)Mean±SDF or t (p)Mean±SDF or t (p)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1.71±1.1210.11** (p<0.01)1.83±0.6820.87** (p<0.01)1.73±1.043.87 (0.06)
Dissatisfaction2.71±0.561.76±0.761.80±1.00
Neutrality3.02±0.612.90±0.422.73±0.53
Satisfaction3.32±0.553.20±0.522.25±0.87
Very satisfaction3.76±0.423.65±0.292.19±0.99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21±0.680.15 (0.86)3.11±0.700.49 (0.62)2.08±0.787.73* (0.01)
Professor3.13±0.433.01±0.352.64±0.33
Me and professor3.13±0.742.98±0.572.70±0.73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3.38±0.533.64** (p<0.01)3.23±0.482.03** (p<0.01)2.42±0.790.09 (0.64)
No2.84±0.782.74±0.672.50±0.80
Sex
Male3.22±0.720.14 (0.41)3.10±0.641.79 (0.27)2.47±0.884.30 (0.80)
Female3.10±0.662.96±0.572.43±0.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2.98±0.580.65 (0.66)2.49±0.430.81 (0.54)2.73±0.531.48 (0.21)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3.03±0.863.05±0.702.17±0.78
The high employment rate3.38±0.423.17±0.622.14±0.36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3.27±0.763.14±0.742.45±0.92
Because it's a professional3.19±0.633.04±0.592.67±0.92
It seems right aptitude3.26±0.743.12±0.592.33±0.78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3.21±0.720.01 (0.83)3.25±0.401.00 (0.16)2.40±0.810.001 (0.79)
No3.16±0.693.00±0.632.46±0.79
Achievement
1~2.53.14±0.270.17 (0.95)2.91±0.040.72 (0.58)2.83±0.180.94 (0.45)
2.5~33.28±0.473.22±0.602.41±0.83
3~3.53.09±0.822.96±0.652.62±0.80
3.5~43.17±0.612.97±0.642.38±0.81
4.0<3.22±0.813.18±0.592.27±0.80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3.18±0.660.22 (0.80)3.06±0.560.63 (0.54)2.48±0.780.65 (0.53)
Clinic dental laboratory3.09±0.762.83±0.792.17±0.77
Hospital dental laboratory2.94±1.482.92±1.292.57±1.06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3.19±0.630.67 (0.57)3.00±0.571.37 (0.26)2.40±0.741.66 (0.18)
Dorming or living alone3.15±0.783.10±0.642.64±0.83
Relatives house2.84±0.983.61±0.591.67±0.73
Etc.3.48±0.492.81±0.802.57±0.9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3.20±0.653.05 (0.19)3.07±0.583.36 (0.07)2.44±0.771.86 (0.56)
During the semester2.87±1.042.92±0.880.60±1.02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2.63±1.212.19 (0.12)2.48±0.612.78 (0.07)2.68±0.840.26 (0.78)
Appropriate3.17±0.633.07±0.632.44±0.83
Need to increase3.27±.0663.08±0.540.43±0.71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value were calculated using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r one-way ANOVA analysis.



4.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관계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p<0.01). 반면에 진로정체감은 전문직 자아개념의 의사소통 문항(p<0.01)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23456789101112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ontents1
Subject0.679**1
Director0.746**0.812**1
Environment0.716**0.743**0.838**1
Time0.720**0.763**0.850**0.838**1
Evaluation0.619**0.647**0.743**0.740**0.764**1
Experience0.730**0.794**0.926**0.843**0.871**0.776**1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0.501**0.547**0.559**0.608**0.676**0.583**0.634**1
Communication0.441**0.536**0.438**0.413**0.550**0.381**0.517**0.705**1
Professional practice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
Satisfaction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00**1
Career identity–0.009–0.083–0.0800.019–0.0880.002–0.0930.048–0.293**0.0960.0961

**p<0.01.



5.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과 진로정체감이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01)을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47.5%로 나타났으며,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The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Bβtp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Professional practice3.230.260.970.34
Satisfaction0.28–0.64–4.88<0.001***
Ethic–0.900.261.030.30

R2=47.5.

***p<0.001.



6.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p<0.05)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고, 시간 만족도(p<0.01)와 실습 후 만족도(p<0.05)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5)을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72.7%로 나타났으며, 지도자 만족도가 감소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했고, 실습시간 만족도와 실습 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 .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ClassificationBβtp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0.050.070.620.54
Subject0.120.161.140.26
Director–0.41–0.52–2.350.02*
Environment–0.03–0.03–0.210.83
Time0.410.512.93<0.01**
Evaluation0.040.150.380.70
Experience0.410.512.230.03*

R2=72.7.

*p<0.05, **p<0.01.


치기공과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고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치과기공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 및 높은 진로정체감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이 높아진다는 기존 여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Cronbach’s alpha 값은 항목의 동질성 또는 단일차원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오차가 전혀 없는 경우 1의 값을 갖기 때문에 1에 가까울수록 문항 간의 내적일관성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Cronbach’s alpha 값은 0.7 이상으로 나와야 문항의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의 Cronbach’s alpha 값이 0.98, 0.97, 0.95로 나타남으로써 문항의 내적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9].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치기공과 선택동기로 전문직이라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2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와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취업 및 직업의 안정성 때문에 치기공과를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던 Choi [16]의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또한 물리치료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결과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1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청년층의 취업자 증가가 미진하고 실업문제가 지속되는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6]. 또한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로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찾아 입학하기도 하지만 전공에 대한 충분한 정보 없이 성적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이는 Kim [13], Shin [21] 그리고 Jung [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학과 교육과정 중 하나인 임상실습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임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업의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Choi [16]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임상실습지를 향후 취업할 곳으로 생각한다면 실습 및 대인관계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되고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 갖는 직업에 대한 신념과 태도인 전문직 자아개념 또한 전공 만족도 및 취업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물리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4]의 연구, 물리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 그리고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2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임상실습은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의 직업세계를 간접체험 해보는 하나의 과정으로 위의 결과는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함으로 치과기공사로서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도록 치기공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만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Lee [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만족감은 자신이 업무를 수행할 때 느끼는 즐거움 및 만족에 대한 자아인식이므로 만족감이 높을수록 치과기공사로서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 시간 만족도, 실습 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2.7%이었다. 임상실습의 영역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간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실습 후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22]의 연구, 작업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im [15]의 연구, 그리고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23,24]와 일치했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실습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실습 시 치과기공사로서의 전문직에 대한 경험을 하게 되므로, 임상실습에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사로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므로 전문직 자아개념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임상실습 영역별 만족도에서 지도자의 만족도가 감소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도자 만족도 영역과 전문직 자아개념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던 연구결과[13,15,21] 및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연구결과[14]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기공과 학생의 치과기공사로서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및 올바른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임상실습 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후속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전국 19개 대학 중 두 대학의 치기공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전국 치기공(학)과 재학생들의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렵고,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설문방식에 의해 불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가 많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연구대상자들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치기공과 3학년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학생 9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치기공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을 높이고 임상실습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1.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 시간 만족도, 실습 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고려하여 외부 실무자 특강 등을 통해 치과기공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임상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실습 후 학과 자체 평가 및 환류를 통해 임상실습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1. Jung JS, Jung MJ, Yoo IY.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20:27-36.
    CrossRef
  2. Higher Education in Korea. Status of dropout students [Internet].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orea; 2012 [cited 2021 Oct 25].
    Available from: https://www.academyinfo.go.kr/popup/main0820/list.do?schlDivCd=02&svyYr=.
  3. Jung YH.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train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iques. [master's thesis].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04.
  4. Kim YH, Kwon YC. The effect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n nurse image, in nursing students perceive. J Digit Converg. 2018;16:215-224.
    CrossRef
  5. Jung H, Kwak DJ, Lee JD.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levels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J Tech Dent. 2016;38:353-363.
    CrossRef
  6. Chae MO.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J Digit Converg. 2019;17:147-156.
    CrossRef
  7. Kwon KN, Choi EH. Factors affecting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0;24:19-28.
    CrossRef
  8. Cho E. A comprehensive review of so-called Cronbach's alpha. J Prod Res. 2020;38:9-20.
    CrossRef
  9. Lee GN, Jyung CY. The development of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J Agric Educ Hum Resour Dev. 2009;41:87-110.
    CrossRef
  10. Shin KA, Kim HS, Lee SK.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of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Korean J Clin Lab Sci. 2019;51:252-259.
    CrossRef

Articl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1; 43(4): 194-20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14347/jtd.2021.43.4.194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치기공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강 월1, 장 연2

1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2진주보건대학교 치기공과

Received: November 1, 2021; Revised: December 9, 2021; Accepted: December 15, 2021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mong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Wol Kang1 , Yeon Jang2

1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Daegu Health College, Daegu, Korea
2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Jinju Health College, Jinju, Korea

Correspondence to:Yeon Jang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Jinju Health College, 51 Uibyeong-ro, Jinju 52655, Korea
E-mail: jjyy66@naver.com
https://orcid.org/0000-0002-4691-0582

Received: November 1, 2021; Revised: December 9, 2021; Accepted: December 15,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mong students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Method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15, 202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questionnaires completed by 180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average scores fo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were 3.17, 3.03, and 2.46,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Conclus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as a dental technician. Therefore, a clinical practic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Keywords: Career ident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Professional self-concept

INTRODUCTION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중고등학교 때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깊이 있게 고민해 볼 기회가 부족하며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한 학과 선택보다는 학교 성적에 따라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이에 학과 부적응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고 학교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통해 향후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1].

대학알리미 사이트의 2012년 공시자료에 따르면, 전국 19개 대학 치기공(학)과의 중도탈락률이 3년제 대학은 평균 6.0%, 4년제 대학은 평균 2.9%로 나타났다. 그리고 2021년 전국 18개 대학 치기공(학)과 평균 중도탈락 학생 비율은 3년제 대학이 8.9%, 4년제 대학이 3.2%로 2012년 자료와 비교했을 때, 각각 2.9%p, 0.3%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중도탈락비율이 상승 추세에 있음을 보여준다[2].

치기공(학)과의 임상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교육과정으로 치과기공사로서의 올바른 가치관을 갖도록 하며 나아가 치과기공에 대한 자부심과 만족감을 가지고 학교생활에 임하도록 한다[3]. 따라서 임상실습 시 만족도가 낮아지게 되면 진로결정에 대한 확신 및 자아존중감이 낮아져서 진로정체감에 혼란을 줄 수 있다[4,5].

진로정체감이란 직업에 대한 자신의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한 명확하고 안정된 상을 가지고 있는 지를 의미한다. 즉 진로에 대한 건강한 자기 확신 정도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6]. 이러한 진로정체감이 제대로 확립되지 않으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대학생활을 적응하지 못하거나[7], 학습된 무기력 수준을 높게 만들어 학업에 무기력하게 행동하게 된다[8].

한편 전문직 자아개념이란 자신이 속한 분야의 직업인으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정신적 지각을 말한다. 다시 말해 치과기공사로서 내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느냐 혹은 부정적으로 보느냐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자신감이 넘치며 모든 일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일에 대한 성취가능성이 높은 반면, 부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진 사람은 매사에 자신감이 부족하며, 일적으로 적응이 어렵고 열등감이 높아서 결국은 일에 대한 성취가능성이 낮게 나타난다[9].

이제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임상실습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0,11], 간호전문직관, 임상실습 스트레스, 진로정체감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12]. 또한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게 나타났다[13-15]. 하지만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임상실습 만족도와 더불어 전문직 자아개념과 진로정체감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1.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2021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경북 및 경남지역 소재의 치기공과 3학년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180명을 편의 표본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 86부를 제외한 94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표본 수는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해 단순회귀분석에 필요한 효과크기 0.20,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 예측변인 3개로 설정한 결과 총 88명의 대상자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도구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총 11문항으로 성별, 학과 선택 동기, 친인척 중에 치과기공사 유무, 전공 만족도, 임상실습 경험, 임상실습 장소 결정권, 임상실습 장소, 임상실습 시 주거지, 임상실습 시기와 기간, 임상실습처로 취업 의향, 평균 성적을 조사했다.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설문 문항은 Choi [16]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 문항은 총 30문항으로 실습 내용에 대한 만족도 2문항, 실습 과목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실습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 5문항, 실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임상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 평가에 대한 만족도 4문항, 실습 후 도움이 된 정도 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임상실습 만족도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8로 나타났다.

치과기공사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Song [17]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의미하며, 윤리, 의사소통, 전문직 실무, 만족감인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부정적인 문항 8번 18번, 20번은 역환산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7로 나타났다.

진로정체감은 14문항으로, Kwon과 Kim [18]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부터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진로정체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Cronbach’s alpha 값은 0.95로 나타났다.

3. 통계분석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2.0 (IBM,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처리를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료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은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은 one-way ANOVA 또는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연관성을 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1. 일반적 특성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자(50명, 53.2%)가 여자(44명, 46.8%)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기공과 선택 동기는 전문직이라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20.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19.15%)라는 응답과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5%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가족이나 친척 중에는 치과기공사가 없다는 응답이 85.1%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51.1%, 만족한다가 25.5%, 매우 만족한다가 17%로 대체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성적은 3.50~3.99점이 34%, 3.00~3.49점이 29.8%, 4.00~4.50점이 21.3%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장소 선택권은 교수와 함께 결정한다는 응답이 54.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은 치과기공소에서 진행했다는 응답이 8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중에 거주지는 자택에서 한다는 응답이 61.7%, 자취나 하숙을 한다는 응답이 27.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은 방학 중에 한다는 응답이 9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기간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의견에는 적절하다가 61.7%,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31.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을 했던 곳에 취업을 하겠냐고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네’라는 응답이 59.6%, ‘아니오’라는 응답이 40.4%로 나타났다.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N%
Sex
Male5053.2
Female444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1819.15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1617
The high employment rate77.5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1617
Because it's a professional1920.2
It seems right aptitude1819.15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1414.9
No8085.1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33.2
Dissatisfaction33.2
Neutrality4851.1
Satisfaction2425.5
Very satisfaction1617
Achievement
1.00~2.4955.3
2.50~2.9999.6
3.00~3.492829.8
3.50~3.993234
4.00~4.502021.3
Right to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739.3
Professor66.4
Me and professor5154.3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8287.2
Clinic dental laboratory99.6
Hospital dental laboratory33.2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5861.7
Dorming or living alone2627.7
Relatives house33.2
Etc.77.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8590.4
During the semester99.6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66.4
Appropriate5861.7
Need to increase3031.9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5659.6
No3840.4


2.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4점 만점에 3.17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는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3.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상실습 경험 후의 만족도가 3.23, 임상실습 과목과 시기에 대한 만족도가 3.18, 임상실습 과목 및 환경, 평가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3.03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윤리와 의사소통이 3.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 실무가 3.11, 만족감이 2.83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정체감은 4점 만점에 2.46로 나타났다.

Table 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Mean±standard devia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3.15±0.79
Subject3.18±0.77
Director3.34±0.78
Environment3.02±0.67
Time3.18±0.77
Evaluation3.01±0.80
Experience3.23±0.75
Total3.17±0.69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Ethic3.16±0.74
Communication3.16±0.74
Professional practice3.11±0.73
Satisfaction2.83±0.56
Total3.03±0.61
Career identity2.46±0.79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은 전공 만족도와 취업의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진로정체감은 임상실습장소 결정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Career identity



Mean±SDF or t (p)Mean±SDF or t (p)Mean±SDF or t (p)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1.71±1.1210.11** (p<0.01)1.83±0.6820.87** (p<0.01)1.73±1.043.87 (0.06)
Dissatisfaction2.71±0.561.76±0.761.80±1.00
Neutrality3.02±0.612.90±0.422.73±0.53
Satisfaction3.32±0.553.20±0.522.25±0.87
Very satisfaction3.76±0.423.65±0.292.19±0.99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21±0.680.15 (0.86)3.11±0.700.49 (0.62)2.08±0.787.73* (0.01)
Professor3.13±0.433.01±0.352.64±0.33
Me and professor3.13±0.742.98±0.572.70±0.73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3.38±0.533.64** (p<0.01)3.23±0.482.03** (p<0.01)2.42±0.790.09 (0.64)
No2.84±0.782.74±0.672.50±0.80
Sex
Male3.22±0.720.14 (0.41)3.10±0.641.79 (0.27)2.47±0.884.30 (0.80)
Female3.10±0.662.96±0.572.43±0.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2.98±0.580.65 (0.66)2.49±0.430.81 (0.54)2.73±0.531.48 (0.21)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3.03±0.863.05±0.702.17±0.78
The high employment rate3.38±0.423.17±0.622.14±0.36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3.27±0.763.14±0.742.45±0.92
Because it's a professional3.19±0.633.04±0.592.67±0.92
It seems right aptitude3.26±0.743.12±0.592.33±0.78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3.21±0.720.01 (0.83)3.25±0.401.00 (0.16)2.40±0.810.001 (0.79)
No3.16±0.693.00±0.632.46±0.79
Achievement
1~2.53.14±0.270.17 (0.95)2.91±0.040.72 (0.58)2.83±0.180.94 (0.45)
2.5~33.28±0.473.22±0.602.41±0.83
3~3.53.09±0.822.96±0.652.62±0.80
3.5~43.17±0.612.97±0.642.38±0.81
4.0<3.22±0.813.18±0.592.27±0.80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3.18±0.660.22 (0.80)3.06±0.560.63 (0.54)2.48±0.780.65 (0.53)
Clinic dental laboratory3.09±0.762.83±0.792.17±0.77
Hospital dental laboratory2.94±1.482.92±1.292.57±1.06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3.19±0.630.67 (0.57)3.00±0.571.37 (0.26)2.40±0.741.66 (0.18)
Dorming or living alone3.15±0.783.10±0.642.64±0.83
Relatives house2.84±0.983.61±0.591.67±0.73
Etc.3.48±0.492.81±0.802.57±0.9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3.20±0.653.05 (0.19)3.07±0.583.36 (0.07)2.44±0.771.86 (0.56)
During the semester2.87±1.042.92±0.880.60±1.02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2.63±1.212.19 (0.12)2.48±0.612.78 (0.07)2.68±0.840.26 (0.78)
Appropriate3.17±0.633.07±0.632.44±0.83
Need to increase3.27±.0663.08±0.540.43±0.71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value were calculated using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r one-way ANOVA analysis..



4.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관계

연구에 참여한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치기공과 임상실습 경험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실습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p<0.01). 반면에 진로정체감은 전문직 자아개념의 의사소통 문항(p<0.01)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23456789101112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ontents1
Subject0.679**1
Director0.746**0.812**1
Environment0.716**0.743**0.838**1
Time0.720**0.763**0.850**0.838**1
Evaluation0.619**0.647**0.743**0.740**0.764**1
Experience0.730**0.794**0.926**0.843**0.871**0.776**1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0.501**0.547**0.559**0.608**0.676**0.583**0.634**1
Communication0.441**0.536**0.438**0.413**0.550**0.381**0.517**0.705**1
Professional practice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
Satisfaction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00**1
Career identity–0.009–0.083–0.0800.019–0.0880.002–0.0930.048–0.293**0.0960.0961

**p<0.01..



5.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과 진로정체감이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01)을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47.5%로 나타났으며,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Table 5 . The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Bβtp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Professional practice3.230.260.970.34
Satisfaction0.28–0.64–4.88<0.001***
Ethic–0.900.261.030.30

R2=47.5..

***p<0.001..



6.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p<0.05)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부적(–)인 관계로 나타났고, 시간 만족도(p<0.01)와 실습 후 만족도(p<0.05)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p<0.05)을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72.7%로 나타났으며, 지도자 만족도가 감소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했고, 실습시간 만족도와 실습 후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 .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ClassificationBβtp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0.050.070.620.54
Subject0.120.161.140.26
Director–0.41–0.52–2.350.02*
Environment–0.03–0.03–0.210.83
Time0.410.512.93<0.01**
Evaluation0.040.150.380.70
Experience0.410.512.230.03*

R2=72.7..

*p<0.05, **p<0.01..


DISCUSSION

치기공과 학생들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고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치과기공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 및 높은 진로정체감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이 높아진다는 기존 여러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치기공과 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Cronbach’s alpha 값은 항목의 동질성 또는 단일차원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0과 1 사이의 값을 갖는다. 오차가 전혀 없는 경우 1의 값을 갖기 때문에 1에 가까울수록 문항 간의 내적일관성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Cronbach’s alpha 값은 0.7 이상으로 나와야 문항의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실습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의 Cronbach’s alpha 값이 0.98, 0.97, 0.95로 나타남으로써 문항의 내적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19].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치기공과 선택동기로 전문직이라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2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와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취업 및 직업의 안정성 때문에 치기공과를 선택한 학생이 가장 많았던 Choi [16]의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또한 물리치료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결과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1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청년층의 취업자 증가가 미진하고 실업문제가 지속되는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16]. 또한 고교 성적을 고려해서 선택했다는 응답이 19.1%로 적성과 맞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찾아 입학하기도 하지만 전공에 대한 충분한 정보 없이 성적에 맞춰 대학에 진학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0].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이는 Kim [13], Shin [21] 그리고 Jung [5]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학과 교육과정 중 하나인 임상실습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가지고 임했을 가능성이 크므로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취업의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Choi [16]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임상실습지를 향후 취업할 곳으로 생각한다면 실습 및 대인관계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되고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 갖는 직업에 대한 신념과 태도인 전문직 자아개념 또한 전공 만족도 및 취업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물리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4]의 연구, 물리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13]의 연구, 그리고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2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임상실습은 졸업 후 치과기공사로서의 직업세계를 간접체험 해보는 하나의 과정으로 위의 결과는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함으로 치과기공사로서 긍정적인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도록 치기공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만 진로정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Lee [12]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만족감은 자신이 업무를 수행할 때 느끼는 즐거움 및 만족에 대한 자아인식이므로 만족감이 높을수록 치과기공사로서의 진로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이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 시간 만족도, 실습 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2.7%이었다. 임상실습의 영역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간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실습 후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Kim [22]의 연구, 작업치료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im [15]의 연구, 그리고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23,24]와 일치했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실습경험을 바탕으로 임상실습 시 치과기공사로서의 전문직에 대한 경험을 하게 되므로, 임상실습에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치과기공사로서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므로 전문직 자아개념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임상실습 영역별 만족도에서 지도자의 만족도가 감소할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도자 만족도 영역과 전문직 자아개념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던 연구결과[13,15,21] 및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연구결과[14]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기공과 학생의 치과기공사로서의 긍정적인 자아개념 및 올바른 진로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서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임상실습 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후속연구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전국 19개 대학 중 두 대학의 치기공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전국 치기공(학)과 재학생들의 결과로 일반화하기 어렵고,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설문방식에 의해 불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지가 많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연구대상자들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CONCLUSIONS

본 연구는 치기공과 3학년 학생 중에서 임상실습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학생 94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진로정체감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치기공과 학생들의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을 높이고 임상실습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1. 임상실습 만족도,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항목인 지도자 만족도, 시간 만족도, 실습 후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항목인 만족감이 높아질수록 진로정체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고려하여 외부 실무자 특강 등을 통해 치과기공사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임상실습 만족도가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므로 임상실습 후 학과 자체 평가 및 환류를 통해 임상실습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N%
Sex
Male5053.2
Female444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1819.15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1617
The high employment rate77.5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1617
Because it's a professional1920.2
It seems right aptitude1819.15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1414.9
No8085.1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33.2
Dissatisfaction33.2
Neutrality4851.1
Satisfaction2425.5
Very satisfaction1617
Achievement
1.00~2.4955.3
2.50~2.9999.6
3.00~3.492829.8
3.50~3.993234
4.00~4.502021.3
Right to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739.3
Professor66.4
Me and professor5154.3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8287.2
Clinic dental laboratory99.6
Hospital dental laboratory33.2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5861.7
Dorming or living alone2627.7
Relatives house33.2
Etc.77.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8590.4
During the semester99.6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66.4
Appropriate5861.7
Need to increase3031.9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5659.6
No3840.4

Table 2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Mean±standard devia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3.15±0.79
Subject3.18±0.77
Director3.34±0.78
Environment3.02±0.67
Time3.18±0.77
Evaluation3.01±0.80
Experience3.23±0.75
Total3.17±0.69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Ethic3.16±0.74
Communication3.16±0.74
Professional practice3.11±0.73
Satisfaction2.83±0.56
Total3.03±0.61
Career identity2.46±0.79

Table 3 .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Career identity



Mean±SDF or t (p)Mean±SDF or t (p)Mean±SDF or t (p)
Major satisfaction
Very dissatisfaction1.71±1.1210.11** (p<0.01)1.83±0.6820.87** (p<0.01)1.73±1.043.87 (0.06)
Dissatisfaction2.71±0.561.76±0.761.80±1.00
Neutrality3.02±0.612.90±0.422.73±0.53
Satisfaction3.32±0.553.20±0.522.25±0.87
Very satisfaction3.76±0.423.65±0.292.19±0.99
Decide the place of clinical practice
Me3.21±0.680.15 (0.86)3.11±0.700.49 (0.62)2.08±0.787.73* (0.01)
Professor3.13±0.433.01±0.352.64±0.33
Me and professor3.13±0.742.98±0.572.70±0.73
Willing to work places that clinical practice
Yes3.38±0.533.64** (p<0.01)3.23±0.482.03** (p<0.01)2.42±0.790.09 (0.64)
No2.84±0.782.74±0.672.50±0.80
Sex
Male3.22±0.720.14 (0.41)3.10±0.641.79 (0.27)2.47±0.884.30 (0.80)
Female3.10±0.662.96±0.572.43±0.68
Motivation for choosing a department
Consider high school grades2.98±0.580.65 (0.66)2.49±0.430.81 (0.54)2.73±0.531.48 (0.21)
Want to become a dental technician3.03±0.863.05±0.702.17±0.78
The high employment rate3.38±0.423.17±0.622.14±0.36
Recommendation from parents or teachers3.27±0.763.14±0.742.45±0.92
Because it's a professional3.19±0.633.04±0.592.67±0.92
It seems right aptitude3.26±0.743.12±0.592.33±0.78
In the family or relatives have a dental technician
Yes3.21±0.720.01 (0.83)3.25±0.401.00 (0.16)2.40±0.810.001 (0.79)
No3.16±0.693.00±0.632.46±0.79
Achievement
1~2.53.14±0.270.17 (0.95)2.91±0.040.72 (0.58)2.83±0.180.94 (0.45)
2.5~33.28±0.473.22±0.602.41±0.83
3~3.53.09±0.822.96±0.652.62±0.80
3.5~43.17±0.612.97±0.642.38±0.81
4.0<3.22±0.813.18±0.592.27±0.80
Clinical practice place
Private dental laboratory3.18±0.660.22 (0.80)3.06±0.560.63 (0.54)2.48±0.780.65 (0.53)
Clinic dental laboratory3.09±0.762.83±0.792.17±0.77
Hospital dental laboratory2.94±1.482.92±1.292.57±1.06
Where housing to clinical practice
Living with parents3.19±0.630.67 (0.57)3.00±0.571.37 (0.26)2.40±0.741.66 (0.18)
Dorming or living alone3.15±0.783.10±0.642.64±0.83
Relatives house2.84±0.983.61±0.591.67±0.73
Etc.3.48±0.492.81±0.802.57±0.94
Clinical practice period
Term-end holidays3.20±0.653.05 (0.19)3.07±0.583.36 (0.07)2.44±0.771.86 (0.56)
During the semester2.87±1.042.92±0.880.60±1.02
Adequacy of the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Should be reduced2.63±1.212.19 (0.12)2.48±0.612.78 (0.07)2.68±0.840.26 (0.78)
Appropriate3.17±0.633.07±0.632.44±0.83
Need to increase3.27±.0663.08±0.540.43±0.71

SD: standard deviation..

*p<0.05, **p<0.01; p-value were calculated using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r one-way ANOVA analysis..


Table 4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areer ident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23456789101112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ontents1
Subject0.679**1
Director0.746**0.812**1
Environment0.716**0.743**0.838**1
Time0.720**0.763**0.850**0.838**1
Evaluation0.619**0.647**0.743**0.740**0.764**1
Experience0.730**0.794**0.926**0.843**0.871**0.776**1
Professional
self-concept
Ethic0.501**0.547**0.559**0.608**0.676**0.583**0.634**1
Communication0.441**0.536**0.438**0.413**0.550**0.381**0.517**0.705**1
Professional practice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
Satisfaction0.542**0.573**0.602**0.613**0.701**0.613**0.680**0.927**0.631**1.00**1
Career identity–0.009–0.083–0.0800.019–0.0880.002–0.0930.048–0.293**0.0960.0961

**p<0.01..


Table 5 . The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on career identity.

ClassificationBβtp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
Professional practice3.230.260.970.34
Satisfaction0.28–0.64–4.88<0.001***
Ethic–0.900.261.030.30

R2=47.5..

***p<0.001..


Table 6 .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ClassificationBβtp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s0.050.070.620.54
Subject0.120.161.140.26
Director–0.41–0.52–2.350.02*
Environment–0.03–0.03–0.210.83
Time0.410.512.93<0.01**
Evaluation0.040.150.380.70
Experience0.410.512.230.03*

R2=72.7..

*p<0.05, **p<0.01..


References

  1. Jung JS, Jung MJ, Yoo IY.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20:27-36.
    CrossRef
  2. Higher Education in Korea. Status of dropout students [Internet]. Seoul: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Korea; 2012 [cited 2021 Oct 25]. Available from: https://www.academyinfo.go.kr/popup/main0820/list.do?schlDivCd=02&svyYr=.
  3. Jung YH.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train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techniques. [master's thesis]. Gyeongsan: Yeungnam University, 2004.
  4. Kim YH, Kwon YC. The effect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on nurse image, in nursing students perceive. J Digit Converg. 2018;16:215-224.
    CrossRef
  5. Jung H, Kwak DJ, Lee JD.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levels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J Tech Dent. 2016;38:353-363.
    CrossRef
  6. Chae MO.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J Digit Converg. 2019;17:147-156.
    CrossRef
  7. Kwon KN, Choi EH. Factors affecting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0;24:19-28.
    CrossRef
  8. Cho E. A comprehensive review of so-called Cronbach's alpha. J Prod Res. 2020;38:9-20.
    CrossRef
  9. Lee GN, Jyung CY. The development of college major selection program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J Agric Educ Hum Resour Dev. 2009;41:87-110.
    CrossRef
  10. Shin KA, Kim HS, Lee SK.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major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of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Korean J Clin Lab Sci. 2019;51:252-259.
    CrossRef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Most KeyWord ?

What is Most Keyword?

  • It is most registrated keyword in articles at this journal during for 2 years.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eISSN 2288-5218
pISSN 1229-3954
qr-code Down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