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2; 44(4): 144-153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2
https://doi.org/10.14347/jtd.2022.44.4.144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이혜은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 :
Hye-Eun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6495, Korea
E-mail: Hyelee@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5816-603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and the relevance of personal background factors, social activity factors, and satisfaction factors for universi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compani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curriculum necessary for improving core competencie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72 colleg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t K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from September 10, 2022 to September 30, 2022.
Results: 1. The core competency scor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for teamwork was 3.91±0.65, creativity was 3.66±0.70, challenging spirit was 3.64±0.74, professionalism was 3.54±0.74, global was 3.29±0.69. 2.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help in the career decision and preparation proces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eek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technicians and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image of human resources desired by companies in a more diverse way and programs necessary to promote them.
Keywords: Compotencies, Creativity, Education, Professionalism, Required, Satisfaction
대학은 시대를 선도하는 보편가치를 정립하고 국가사회의 성숙한 발전을 위한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곳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갖춘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배출해야 한다[1]. 4차 산업혁명은 고차원적인 사고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식기반으로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유연한 사고와 창의적 혁신을 시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상이 대두되고 있으며[2] 이러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 과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3].
치기공 분야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3D (three-dimensional) printing을 비롯한 신기술 도입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제조공정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치과 병∙의원 및 치과기공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업무능력을 갖춘 치과기공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급격한 환경변화에 유연하며, 능동적인 태도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타인과 소통하며 창의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치과기공사의 역량의 필요가 증대됨에 따라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대학이 미래의 변화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역량을 타당하게 규명하고, 도출된 역량을 토대로 학습지원체계 구축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4]. 핵심역량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역량으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말하며[5],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초능력으로 전 생애에 걸쳐 개발되어야 하기에 대학교육에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6].
치기공 교육은 각 기관의 특성과 지향하는 바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평가체계 및 평가도구를 개발 및 적용하고 있으나 변화하는 기술과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시점에서 치기공(학)과 대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특성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인적자원의 수요처인 기업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치기공(학)과 학생의 역량이 무엇이며, 이를 위해 대학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한다[7].
역량은 단순히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환경과 경험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사를 통한 기업 인재상의 주요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한 도구를 통해 대학생의 개인 배경요인과 사회적 활동요인,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요인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강원 지역의 K 대학 치기공(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0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충분하지 않은 28부를 제외한 17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단일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은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학 간 편차 요인의 영향을 통제하고자 한 데 있다.
개인 배경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졸업 후 진로, 전공과 진로 관련성, 대략적 학점평균, 취업관련 자격증, 취업 진로준비, 취업프로그램 참여경험 등 총 14문항을 사용하였다.
2) 사회적 활동요인사회적 활동요인은 해외 연수경험 1문항, 최근 아르바이트 및 인턴 등의 근로 경험 1문항, 취업캠프 및 상담, 특강 등의 취업프로그램 참여도 1문항으로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3) 대학교육 만족도제공되는 강의 수와 종류, 수업방식과 강의 질, 전공 커리큘럼 및 내용 관련 교육과정 만족도 3문항, 강의실 등 교육 지원시설 및 식당 등 학생 복지시설 관련 교육인프라 만족도 2문항, 진로 관련 상담제도 및 취업 지원제도 1문항, 장학금 등 학생지원제도 1문항으로 총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불만족’ 1점~‘매우 만족’ 5점으로 체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핵심역량대학생 핵심역량(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진단 도구에서 국내기업이 추구하는 인재상의 주요 범주에 속하는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Choi [7]의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창의성 3문항, 전문성 3문항, 도전정신 3문항, 도덕성 3문항, 팀워크 3문항, 글로벌 2문항으로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926으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매우 그렇다’ 5점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able 1).
Table 1 . Value of Cronbach’s α
Core competencies | No. of questions | Cronbach’s α | Total |
---|---|---|---|
Creativity | 3 | 0.808 | 0.926 |
Professionalism | 3 | 0.730 | |
Challenge spirit | 3 | 0.793 | |
Morality | 3 | 0.703 | |
Teamwork | 3 | 0.753 | |
Global | 2 | 0.377 |
측정값과 설문 자료는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4.0 (SPSS, Chicago, IL, USA)으로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개인 배경요인, 사회적 활동요인, 대학교육 만족도 간 차이검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미한 독립변수와 핵심역량 간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 배경요인은 Table 2와 같다. 성별은 남성이 93명(54.1%), 여성 79명(45.9%) 이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이 47명(27.3%), 2학년 각 20%대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편입과 전과 대상은 9명(5.2%)으로 나타났으며, 군복무 경험은 42명(24.2%)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는 취업이 150명(87.2%), 미정은 14명(8.1%)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144명(83.7%)이 전공 관련성이 있는 부분으로의 진로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지난 학기 학점 평균은 B0 65명(37.8%), B+ 53명(30.8%), A0 30명(17.4%)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 관련 자격증은 15명(8.7%)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취업 준비를 한다고 답한 집단이 89명(51.7%)으로 나타났다.
Table 2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factors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Sex | |||||||
Male | 93 (54.1) | 3.64±0.75 | 3.53±0.77 | 3.60±0.78 | 3.89±0.72 | 3.88±0.67 | 3.27±0.73 |
Female | 79 (45.9) | 3.68±0.64 | 3.54±0.70 | 3.68±0.70 | 3.99±0.66 | 3.95±0.63 | 3.31±0.64 |
t (p) | –0.42 (0.671) | –0.05 (0.954) | –0.68 (0.494) | –0.97 (0.333) | –0.67 (0.498) | –0.39 (0.692) | |
Grade | |||||||
1 | 47 (27.3) | 3.58±0.85 | 3.43±0.81 | 3.58±0.92 | 4.00±0.80 | 3.95±0.71 | 3.26±0.90 |
2 | 43 (25.0) | 3.50±0.76 | 3.50±0.81 | 3.48±0.77 | 3.87±0.75 | 3.84±0.69 | 3.24±0.63 |
3 | 45 (26.2) | 3.80±0.51 | 3.67±0.55 | 3.82±0.55 | 4.00±0.57 | 3.96±0.60 | 3.32±0.46 |
4 | 37 (21.5) | 3.78±0.59 | 3.54±0.78 | 3.69±0.63 | 3.86±0.51 | 3.89±0.60 | 3.35±0.70 |
F (p) | 1.88 (0.134) | 0.80 (0.494) | 1.66 (0.178) | 0.48 (0.691) | 0.32 (0.811) | 0.20 (0.893) | |
Transfer | |||||||
Not applicable | 163 (94.8) | 3.64±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1±0.66 | 3.29±0.68 |
Transfer change of major | 9 (5.2) | 3.92±0.57 | 3.59±0.70 | 3.77±0.57 | 4.11±0.44 | 3.96±0.48 | 3.22±0.83 |
t (p) | –1.14 (0.253) | –0.21 (0.831) | –0.54 (0.586) | –0.75 (0.450) | –0.21 (0.829) | 0.31 (0.752) | |
Army service | |||||||
Not applicable | 130 (75.6) | 3.62±0.71 | 3.53±0.73 | 3.61±0.77 | 3.94±0.70 | 3.90±0.65 | 3.29±0.73 |
Experience | 42 (24.4) | 3.79±0.65 | 3.54±0.78 | 3.75±0.65 | 3.91±0.69 | 3.94±0.67 | 3.29±0.57 |
t (p) | –1.38 (0.169) | –0.06 (0.945) | –1.08 (0.280) | 0.29 (0.772) | –0.31 (0.753) | –0.04 (0.966) | |
Career after graduation | |||||||
Undefined | 14 (8.1) | 2.88±0.89 | 3.02±0.80 | 2.71±0.92 | 3.28±0.83 | 3.38±0.50 | 2.92±0.78 |
Work or start a business | 150 (87.2) | 3.72±0.65 | 3.57±0.72 | 3.71±0.67 | 3.99±0.65 | 3.96±0.65 | 3.29±0.66 |
Further education | 8 (4.7) | 3.87±0.56 | 3.83±0.81 | 3.91±0.70 | 4.04±0.67 | 4.04±0.57 | 4.00±0.65 |
F (p) | 10.54 (<0.001) | 4.28 (0.015)* | 13.94 (<0.001) | 7.24 (0.001)** | 5.40 (0.005)** | 6.46 (0.002)** | |
Career relevance | |||||||
Not relevant | 28 (16.3) | 3.29±0.79 | 3.20±0.82 | 3.27±0.81 | 3.65±0.75 | 3.80±0.63 | 3.21±0.69 |
Related | 144 (83.7) | 3.73±0.66 | 3.60±0.71 | 3.71±0.71 | 3.99±0.67 | 3.93±0.65 | 3.30±0.69 |
t (p) | 3.05 (0.003)** | 2.67 (0.008)** | 2.94 (0.004)** | 2.40 (0.017)* | 0.94 (0.346) | 0.66 (0.510) | |
Grade-point average | |||||||
≤C+ | 24 (14.0) | 3.08±0.86 | 3.11±0.76 | 2.98±0.86 | 3.54±0.77 | 3.65±0.68 | 3.00±0.58 |
B0 | 65 (37.8) | 3.61±0.65 | 3.36±0.69 | 3.52±0.68 | 3.83±0.65 | 3.82±0.70 | 3.32±0.63 |
B+ | 53 (30.8) | 3.83±0.50 | 3.66±0.67 | 3.82±0.54 | 4.01±0.64 | 3.97±0.52 | 3.28±0.78 |
A0≤ | 30 (17.4) | 3.92±0.73 | 4.04±0.66 | 4.12±0.65 | 4.36±0.56 | 4.22±0.63 | 3.48±0.67 |
F (p) | 8.98 (<0.001) | 10.27 (<0.001) | 14.78 (<0.001) | 7.97 (<0.001) | 4.25 (0.006)** | 2.27 (0.082) | |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 |||||||
Doesn't exist | 157 (91.3) | 3.63±0.70 | 3.52±0.74 | 3.63±0.75 | 3.92±0.69 | 3.91±0.63 | 3.27±0.69 |
Has exist | 15 (8.7) | 3.91±0.66 | 3.75±0.73 | 3.75±0.70 | 4.04±0.75 | 3.88±0.85 | 3.50±0.68 |
t (p) | –1.42 (0.155) | –1.17 (0.244) | –0.59 (0.550) | –0.60 (0.544) | 0.17 (0.864) | –1.20 (0.229) | |
Job preparation | |||||||
Not ready | 83 (48.3) | 3.42±0.71 | 3.30±0.69 | 3.42±0.75 | 3.79±0.69 | 3.84±0.64 | 3.13±0.67 |
Ready | 89 (51.7) | 3.88±0.62 | 3.75±0.72 | 3.84±0.67 | 4.07±0.67 | 3.98±0.65 | 3.43±0.68 |
t (p) | –4.39 (<0.001) | –4.11 (<0.001) | –3.78 (<0.001) | –2.60 (0.010)* | –1.41 (0.158) | –2.88 (0.004)** | |
Total | 172 (100.0) | 3.66±0.70 | 3.54±0.74 | 3.64±0.74 | 3.93±0.69 | 3.91±0.65 | 3.29±0.69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해외연수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8명(4.7%), 알바∙인턴 등 근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117명(68.0%)으로 나타났다. 취업 프로그램(취업캠프, 면접특강 등) 참여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33명(19.2%), 없다고 답한 집단이 139명(80.8%)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ocial activities (N=172)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Overseas study | |||||||
No | 164 (95.3) | 3.86±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2±0.66 | 3.29±0.69 |
Yes | 8 (4.7) | 3.75±0.52 | 3.66±0.73 | 3.83±0.50 | 4.00±0.59 | 3.75±0.49 | 3.18±0.70 |
t (p) | –0.35 (0.722) | –0.48 (0.626) | –0.72 (0.468) | –0.24 (0.803) | 0.73 (0.463) | 0.44 (0.659) | |
Work experience | |||||||
No | 55 (32.0) | 3.52±0.72 | 3.43±0.73 | 3.48±0.68 | 3.86±0.66 | 3.84±0.59 | 3.34±0.72 |
Yes | 117 (68.0) | 3.43±0.69 | 3.59±0.74 | 3.72±0.76 | 3.97±0.71 | 3.94±0.68 | 3.26±0.68 |
t (p) | –1.73 (0.085) | –1.33 (0.184) | –1.94 (0.044)* | –0.94 (0.345) | –0.93 (0.351) | 0.67 (0.5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No | 139 (80.8) | 3.57±0.69 | 3.43±0.72 | 3.53±0.74 | 3.87±0.70 | 3.84±0.64 | 3.26±0.66 |
Yes | 33 (19.2) | 4.05±0.62 | 3.97±0.66 | 4.10±0.56 | 4.22±0.61 | 4.22±0.63 | 3.39±0.80 |
t (p) | –3.62 (<0.001) | –3.92 (<0.001) | –4.07 (<0.001) | –2.63 (0.009)** | –3.04 (0.003)** | –0.92 (0.35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대학교육의 만족도는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에 대한 만족도 3.67±0.89점,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 3.67±0.8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지원제도(장학금, 봉사활동지원, 교환학생 등) 만족도가 2.61±1.1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No.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Score |
---|---|---|
1 | The number and types of lectures that can be taken | 3.49±0.84 |
2 | Class method and quality of lecture | 3.67±0.89 |
3 | Major curriculum and content | 3.67±0.89 |
4 |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library, lecture room, practice room, etc.) | 3.12±1.12 |
5 | Student support system (scholarship, volunteer activity support, exchange student, etc.) | 2.61±1.10 |
6 | Career-related counseling and employment support system (special lectures, camps, employment introduction, etc.) | 3.15±0.93 |
7 | Student welfare facilities (restaurants, shops, rest facilities, etc.) | 2.75±1.16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연구대상자의 핵심역량 점수는 Table 2와 같다. 도덕성 3.93±0.69와 팀워크의 값이 3.91±0.65로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어 능력 등과 관련한 글로벌 역량이 3.29±0.6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인 배경요인에 따른 핵심역량은 Table 2와 같다. 졸업 후 진로를 ‘대학원 진학’이라 답한 집단(8명, 4.7%)이 6개 핵심역량 모두에서 ‘미정’(14명, 8.1%), ‘취∙창업’(150명, 87.2%)이라 답한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로 관련성에 대해 ‘관련됨’이라 답한 집단(144명, 83.7%)이 ‘관련 안됨’이라 답한 집단(28명, 16.3%)보다 창의성(p<0.01), 전문성(p<0.01), 도전정신(p<0.01), 도덕성(p<0.05)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점 평균이 높을수록 6개 핵심역량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p<0.01, p<0.001), 취업 준비에 대해 ‘준비함’이라 답한 집단이 ‘준비 안함’이라 답한 집단보다 창의성, 전문성, 도전정신(p<0.001), 도덕성(p<0.05), 글로벌(p<0.01) 역량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2) 사회적 활동에 따른 핵심역량사회적 활동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를 살펴본 바 알바, 인턴 등 근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도전정신 역량 점수가 3.72±0.76로 ‘없다’고 답한 집단의 3.48±0.68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취업프로그램(취업캠프, 면접특강 등) 참여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없다’고 답한 집단보다 창의성 4.05±0.62, 전문성 3.97±0.66, 도전정신 4.10±0.56, 도덕성 4.22±0.61, 팀워크 4.22±0.63의 5개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1, p<0.05; Table 3).
3) 대학교육 만족도 따른 핵심역량대학교육 만족도에 따른 핵심 역량의 차이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창의성, 도전정신, 도덕성, 팀워크는 학생지원제도를 제외한 대학교육 만족도 6개 항목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성과 글로벌 역량은 학생지원제도를 포함한 대학교육 만족도 7개 항목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시 말해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핵심역량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Table 5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Variabl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2. Lecture quality | 0.72 p<0.001 | |||||||||||
3. Curriculum | 0.69 p<0.001 | 0.79 p<0.001 | ||||||||||
4. Educationsupport facility | 0.45 p<0.001 | 0.49 p<0.001 | 0.44 p<0.001 | |||||||||
5. Studentsupport system | 0.46 p<0.001 | 0.46 p<0.001 | 0.40 p<0.001 | 0.60 p<0.001 | ||||||||
6. Employmentsupport system | 0.49 p<0.001 | 0.55 p<0.001 | 0.59 p<0.001 | 0.50 p<0.001 | 0.62 p<0.001 | |||||||
7. Student welfarefacility | 0.49 p<0.001 | 0.50 p<0.001 | 0.50 p<0.001 | 0.55 p<0.001 | 0.58 p<0.001 | 0.58 p<0.001 | ||||||
8. Creativity | 0.36 p<0.001 | 0.31 p<0.001 | 0.40 p<0.001 | 0.22 p<0.001 | 0.10 0.172 | 0.21 0.004** | 0.22 0.003** | |||||
9. Professionalism | 0.44 p<0.001 | 0.37 p<0.001 | 0.45 p<0.001 | 0.28 p<0.001 | 0.19 0.012* | 0.33 p<0.001 | 0.22 0.003** | 0.67 p<0.001 | ||||
10. Challenge spirit | 0.42 p<0.001 | 0.42 p<0.001 | 0.44 p<0.001 | 0.25 0.001** | 0.10 0.189 | 0.19 0.011* | 0.22 0.003** | 0.75 p<0.001 | 0.72 p<0.001 | |||
11. Morality | 0.42 p<0.001 | 0.45 p<0.001 | 0.49 p<0.001 | 0.17 0.020* | 0.08 0.291 | 0.20 0.008** | 0.18 0.017* | 0.60 p<0.001 | 0.60 p<0.001 | 0.70 p<0.001 | ||
12. Teamwork | 0.37 p<0.001 | 0.44 p<0.001 | 0.42 p<0.001 | 0.15 0.040* | 0.10 0.157 | 0.19 0.012* | 0.15 0.037* | 0.62 p<0.001 | 0.56 p<0.001 | 0.68 p<0.001 | 0.78 p<0.001 | |
13. Global | 0.37 p<0.001 | 0.30 p<0.001 | 0.38 p<0.001 | 0.28 p<0.001 | 0.25 0.001** | 0.27 p<0.001 | 0.26 0.001** | 0.45 p<0.001 | 0.50 p<0.001 | 0.49 p<0.001 | 0.45 p<0.001 | 0.40 p<0.001 |
1. Number of lectures.
*p<0.05, **p<0.01.
6개의 핵심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 Multiple regression
Variable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
(Constant) | 1.46 | 0.27 | 5.35 | <0.001 | 1.08 | 0.27 | 3.87 | <0.001 | 0.94 | 0.26 | 3.62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56 | 0.17 | 0.26 | 3.12 | 0.002** | 0.26 | 0.18 | 0.11 | 1.42 | 0.155 | 0.73 | 0.17 | 0.32 | 4.29 | <0.00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59 | 0.27 | 0.17 | 2.16 | 0.032* | 0.38 | 0.27 | 0.10 | 1.38 | 0.170 | 0.81 | 0.26 | 0.23 | 3.14 | 0.002**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18 | 0.13 | 0.09 | 1.37 | 0.173 | 0.17 | 0.13 | 0.08 | 1.25 | 0.213 | 0.11 | 0.12 | 0.05 | 0.89 | 0.372 | ||
Grade-point average | 0.13 | 0.05 | 0.17 | 2.49 | 0.014* | 0.18 | 0.05 | 0.23 | 3.47 | 0.001** | 0.23 | 0.05 | 0.29 | 4.60 | <0.001 | ||
Job preparation | |||||||||||||||||
Yes | 0.22 | 0.09 | 0.16 | 2.31 | 0.022* | 0.22 | 0.10 | 0.15 | 2.23 | 0.027* | 0.13 | 0.09 | 0.08 | 1.42 | 0.158 | ||
Work experience | |||||||||||||||||
Yes | 0.14 | 0.09 | 0.09 | 1.49 | 0.136 | 0.10 | 0.09 | 0.06 | 1.01 | 0.312 | 0.15 | 0.09 | 0.09 | 1.63 | 0.1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22 | 0.11 | 0.12 | 1.91 | 0.058 | 0.23 | 0.12 | 0.12 | 1.95 | 0.053 | 0.26 | 0.11 | 0.13 | 2.30 | 0.022*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8 | 0.08 | 0.22 | 2.24 | 0.026* | 0.24 | 0.08 | 0.27 | 2.87 | 0.005** | 0.19 | 0.07 | 0.22 | 2.47 | 0.014* | ||
Lecture quality | –0.06 | 0.09 | –0.08 | –0.71 | 0.476 | –0.08 | 0.09 | –0.09 | –0.86 | 0.387 | 0.08 | 0.08 | 0.10 | 0.98 | 0.328 | ||
Curriculum | 0.13 | 0.09 | 0.16 | 1.42 | 0.156 | 0.12 | 0.09 | 0.15 | 1.31 | 0.190 | 0.07 | 0.08 | 0.08 | 0.81 | 0.414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1 | 06 | 0.01 | 0.16 | 0.869 | 0.05 | 0.06 | 0.07 | 0.92 | 0.358 | 0.04 | 0.05 | 0.06 | 0.75 | 0.452 | ||
Student support system | –0.05 | 0.06 | –0.09 | –0.95 | 0.340 | –0.03 | 0.06 | –0.05 | –0.58 | 0.561 | –0.07 | 0.05 | –0.10 | –1.27 | 0.204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7 | 0.711 | 0.15 | 0.07 | 0.18 | 2.03 | 0.044* | –0.03 | 0.06 | –0.04 | –0.46 | 0.641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47 | 0.636 | –0.07 | 0.05 | –0.11 | –1.31 | 0.191 | 0.00 | 0.05 | –0.00 | 0.06 | 0.952 | ||
R2 | 0.385 | 0.424 | 0.501 | ||||||||||||||
F (p) | 7.02 (<0.001) | 8.27 (<0.001) | 11.24 (<0.001) | ||||||||||||||
Durbin-Watson | 1.674 | 2.020 | 1.839 | ||||||||||||||
(Constant) | 1.72 | 0.26 | 6.44 | <0.001 | 2.19 | 0.26 | 8.13 | <0.001 | 1.73 | 0.29 | 5.81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47 | 0.17 | 0.23 | 2.73 | 0.007** | 0.47 | 0.17 | 0.24 | 2.68 | 0.008 | 0.13 | 0.19 | 0.06 | 0.70 | 0.48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44 | 0.26 | 0.13 | 1.67 | 0.096 | 0.49 | 0.27 | 0.16 | 1.84 | 0.068 | 0.71 | 0.29 | 0.21 | 2.40 | 0.017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07 | 0.13 | 0.04 | 0.59 | 0.554 | –0.07 | 0.13 | –0.04 | –0.53 | 0.593 | 0.08 | 0.14 | 0.04 | 0.59 | 0.554 | ||
Grade-point average | 0.14 | 0.05 | 0.18 | 2.69 | 0.008** | 0.09 | 0.05 | 0.14 | 1.87 | 0.063 | 0.05 | 0.05 | 0.06 | 0.86 | 0.390 | ||
Job preparation | |||||||||||||||||
Yes | 0.08 | 0.09 | 0.06 | 0.92 | 0.359 | –0.01 | 0.09 | –0.01 | –0.15 | 0.894 | 0.13 | 0.10 | 0.09 | 1.25 | 0.211 | ||
Work experience | |||||||||||||||||
Yes | 0.05 | 0.09 | 0.03 | 0.59 | 0.556 | 0.04 | 0.09 | 0.03 | 0.48 | 0.063 | –0.05 | 0.10 | –0.04 | –0.56 | 0.574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11 | 0.11 | 0.06 | 0.96 | 0.334 | 0.22 | 0.11 | 0.13 | 1.93 | 0.055 | –0.05 | 0.12 | –0.03 | –0.42 | 0.671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5 | 0.08 | 0.19 | 1.92 | 0.056 | 0.09 | 0.08 | 0.12 | 1.14 | 0.254 | 0.17 | 0.09 | 0.21 | 1.92 | 0.56 | ||
Lecture quality | 0.12 | 0.09 | 0.16 | 1.36 | 0.174 | 0.19 | 0.09 | 0.27 | 2.15 | 0.033* | –0.10 | 0.10 | –0.13 | –1.04 | 0.298 | ||
Curriculum | 0.18 | 0.09 | 0.23 | 2.01 | 0.045* | 0.10 | 0.09 | 0.14 | 1.13 | 0.257 | 0.17 | 0.10 | 0.22 | 1.72 | 0.086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2 | 0.06 | –0.04 | –0.45 | 0.647 | –0.05 | 0.06 | –0.08 | –0.89 | 0.375 | 0.06 | 0.06 | 0.09 | 0.99 | 0.320 | ||
Student support system | –0.06 | 0.05 | –0.10 | –1.14 | 0.254 | –0.02 | 0.05 | –0.03 | –0.38 | 0.698 | 0.03 | 0.06 | 0.04 | 0.46 | 0.642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5 | 0.723 | –0.02 | 0.07 | –0.03 | –0.30 | 0.762 | 0.02 | 0.07 | 0.03 | 0.32 | 0.750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55 | 0.582 | –0.03 | 0.05 | –0.06 | –0.69 | 0.487 | –0.01 | 0.05 | –0.02 | –0.24 | 0.806 | ||
R2 | 0.393 | 0.307 | 0.250 | ||||||||||||||
F (p) | 7.26 (<0.001) | 4.96 (<0.001) | 3.73 (<0.001) | ||||||||||||||
Durbin-Watson | 1.888 | 1.968 | 2.40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ummy; career after graduation: undefined 0. Job preparation No. 0. Work experience No. 0.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No. 0.
*p<0.05, **p<0.01.
6개의 핵심역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식의 R2는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으며 모두 유의미하였다(p<0.001). 통계분석 과정에서 공차와 VIF 값을 확인하여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able 6에 제시된 Durbin-Watson값이 2에 가까운 것으로 볼 때,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배경 요인을 살펴보면 ‘졸업 후 진로’와 ‘학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된 β값의 절대값이 영향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때, ‘졸업 후 진로’는 창의성(진학 β=0.56, 취∙창업 β=0.59), 도전정신(진학 β=0.73, 취∙창업 β=0.81), 도덕성(진학 β=0.47), 팀워크(진학 β=0.47), 글로벌(취∙창업 β=0.71)의 5개 핵심역량에 대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점’은 창의성(β=0.13), 전문성(β=0.18), 도전정신(β=0.23), 도덕성(β=0.14)의 4개 핵심역량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활동요인으로는 ‘취업프로그램 참여’가 도전정신(β=0.26) 핵심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취업프로그램 참여’의 영향은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참여경험이 없음’을 0, ‘참여경험이 있음’을 1로 처리하였다. 표준화된 베타 계수가 0.26으로 취업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는 집단이 도전정신 핵심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의미한다.
대학교육 만족도 중 ‘들을 수 있는 강의의 수와 종류’에 대한 만족도는 창의성(β=0.18), 전문성(β=0.24), 도전정신(β=0.19) 3개의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은 팀워크(β=0.19) 핵심역량에,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은 도덕성(β=0.18) 핵심역량에, ‘진로관련 상담 및 취업지원제도‘는 전문성(β=0.15)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의 개념은 기업의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의 핵심적 연결 개념으로 향후 직업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능력을 스스로 개발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8]. 치기공(학)과 주도의 핵심역량 특성을 객관적으로 유형화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지만,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단순히 특정 직무에 적합한 특정 기술이나 기능의 개념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이라는 포괄적 개념임을 감안할 때, 기업 인재상의 주요 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한 Choi [7]의 설문 도구를 통해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 점수는 팀워크의 값이 3.91±0.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능력 등과 관련한 글로벌 역량이 3.29±0.6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18년 대학생 대상 Kim 등[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대학생활 기간에 집단생활의 경험을 통해 팀워크 역량이 향상되고 학습을 통한 창의성과 도전정신 등의 개념적 사고가 높은 반면, 호기심이나 관심분야 지식, 자기관리 등을 포함하는 전문성과 외국어 능력을 포함한 글로벌 역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협력과 상호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팀워크의 능력이 제조업 분야에 중요 역량이기는 하나 ‘어학 프로그램’ 및 해외 치기공산업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국제적 안목과 다양성 등을 겸비한 글로벌 역량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프로정신으로 자기관리를 해나가는 전문성 역량은 치과기공사로써 필수로 지녀야 할 중요한 역량임에도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낸데 대해 치기공(학)과 대학생들이 전공 분야에 보다 더 관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018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100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보고서에 따르면 1위는 소통, 2위는 전문성, 3위는 원칙과 신뢰, 4위는 도전정신으로 나타났으며[9], 2021 잡코리아의 시가총액 상위 50위 기업의 인재상으로는 1위 ‘도전’, 2위 ‘혁신’, 3위 ‘존중’, 4위 ‘협력과 소통’, 5위 ‘창의’로 나타났다[10]. 치기공 산업은 제조공정 기술의 혁신적 발전에 따른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중요해졌고, 여러 불안 요인을 이겨낼 적극적인 인재가 필요하다. 변화하는 인재상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사회적 필요를 대학교육에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치과의료 및 보건분야에 3D 방사선이나 구강스캐너 등이 도입되면서 의료서비스 공급방식이 변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을 대표하는 주요 분야인 3D printing, 인공지능 등이 치과보철물 제작과정에 적용되면서 치과기공의 체계와 역할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하고 발전시키는 제도적, 기술적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하고 주요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11].
주요한 통계분석 결과로는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배경 요인 중 ‘졸업 후 진로’와 ‘학점’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를 진학이나 취∙창업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의 방향성을 가이드 하는것 만으로도 여러 핵심역량 향상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점 평균이 높을수록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Choi [7]의 연구에서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학생일수록 핵심역량이 향상된다고 언급한 결과와 맥이 같다. 한편 Baek [12]의 연구에서 핵심역량의 변화가 학점과 상당 부분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에 대해 학부 교육의 성과에 대한 준거로 학점이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학점 중심의 대학생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접근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13].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활동 요인으로는 ‘취업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난 속에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은 대학생들의 최초 직업세계 진입을 위한 진로결정 및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4]. Meyer와 Winer [15]의 연구에서 취업프로그램 참여 저조형 집단은 만성적인 진로 미결정 집단이라고 언급하며, 이 집단을 위한 맞춤형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학교육 만족도 중 ‘들을 수 있는 강의의 수와 종류’,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 ‘진로관련 상담 및 취업지원제도’는 전문성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Roh는 대학 재학 중 경험한 교육인프라 및 교육과정에 관한 만족도는 졸업 후 직장의 경제적∙개인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16], Kim [17]은 이것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고 하였다. Choi [7]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전공커리큘럼 만족도가 역량향상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강원도의 한 대학에 재학하는 치기공(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다. 다만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유형화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인적자원 수요처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변화에 대해 대학생 개인 배경요인과 사회적 활동요인 및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요인이 미치는 영향 및 그 관련성을 파악하여 핵심역량 증진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1.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 점수는 팀워크 3.91±0.65,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 글로벌 3.29±0.69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인프라의 확장을 통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진로 결정 및 준비 과정을 도와 진로의 방향성을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3.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기초한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보다 다각도로 규명하는 연구와 이를 증진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None.
This paper was funded by a research grant from Kyungdong University in 2022.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2; 44(4): 144-153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2 https://doi.org/10.14347/jtd.2022.44.4.144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이혜은
경동대학교 치기공학과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Wonju, Korea
Correspondence to:Hye-Eun Le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Kyungdong University, 815 Gyeonhwon-ro, Munmak-eup, Wonju 26495, Korea
E-mail: Hyelee@kduniv.ac.kr
https://orcid.org/0000-0001-5816-603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and the relevance of personal background factors, social activity factors, and satisfaction factors for university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companies,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curriculum necessary for improving core competencie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72 college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Laboratory Technology at K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from September 10, 2022 to September 30, 2022.
Results: 1. The core competency scor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for teamwork was 3.91±0.65, creativity was 3.66±0.70, challenging spirit was 3.64±0.74, professionalism was 3.54±0.74, global was 3.29±0.69. 2.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help in the career decision and preparation proces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eek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technicians and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image of human resources desired by companies in a more diverse way and programs necessary to promote them.
Keywords: Compotencies, Creativity, Education, Professionalism, Required, Satisfaction
대학은 시대를 선도하는 보편가치를 정립하고 국가사회의 성숙한 발전을 위한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곳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갖춘 인력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배출해야 한다[1]. 4차 산업혁명은 고차원적인 사고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식기반으로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유연한 사고와 창의적 혁신을 시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닌 인재상이 대두되고 있으며[2] 이러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 과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3].
치기공 분야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3D (three-dimensional) printing을 비롯한 신기술 도입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제조공정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치과 병∙의원 및 치과기공소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보다 전문적이고 다양한 업무능력을 갖춘 치과기공사를 필요로 하고 있다. 급격한 환경변화에 유연하며, 능동적인 태도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타인과 소통하며 창의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치과기공사의 역량의 필요가 증대됨에 따라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대학이 미래의 변화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인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역량을 타당하게 규명하고, 도출된 역량을 토대로 학습지원체계 구축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4]. 핵심역량이란 다양한 상황에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역량으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말하며[5],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기초능력으로 전 생애에 걸쳐 개발되어야 하기에 대학교육에 필수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6].
치기공 교육은 각 기관의 특성과 지향하는 바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평가체계 및 평가도구를 개발 및 적용하고 있으나 변화하는 기술과 이와 관련한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시점에서 치기공(학)과 대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특성에 대한 객관적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인적자원의 수요처인 기업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치기공(학)과 학생의 역량이 무엇이며, 이를 위해 대학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한다[7].
역량은 단순히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제도적 환경과 경험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조사를 통한 기업 인재상의 주요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한 도구를 통해 대학생의 개인 배경요인과 사회적 활동요인,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요인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강원 지역의 K 대학 치기공(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0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충분하지 않은 28부를 제외한 17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단일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은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학 간 편차 요인의 영향을 통제하고자 한 데 있다.
개인 배경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졸업 후 진로, 전공과 진로 관련성, 대략적 학점평균, 취업관련 자격증, 취업 진로준비, 취업프로그램 참여경험 등 총 14문항을 사용하였다.
2) 사회적 활동요인사회적 활동요인은 해외 연수경험 1문항, 최근 아르바이트 및 인턴 등의 근로 경험 1문항, 취업캠프 및 상담, 특강 등의 취업프로그램 참여도 1문항으로 총 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3) 대학교육 만족도제공되는 강의 수와 종류, 수업방식과 강의 질, 전공 커리큘럼 및 내용 관련 교육과정 만족도 3문항, 강의실 등 교육 지원시설 및 식당 등 학생 복지시설 관련 교육인프라 만족도 2문항, 진로 관련 상담제도 및 취업 지원제도 1문항, 장학금 등 학생지원제도 1문항으로 총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도구는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불만족’ 1점~‘매우 만족’ 5점으로 체크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4) 핵심역량대학생 핵심역량(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진단 도구에서 국내기업이 추구하는 인재상의 주요 범주에 속하는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Choi [7]의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창의성 3문항, 전문성 3문항, 도전정신 3문항, 도덕성 3문항, 팀워크 3문항, 글로벌 2문항으로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926으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매우 그렇다’ 5점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able 1).
Table 1 . Value of Cronbach’s α.
Core competencies | No. of questions | Cronbach’s α | Total |
---|---|---|---|
Creativity | 3 | 0.808 | 0.926 |
Professionalism | 3 | 0.730 | |
Challenge spirit | 3 | 0.793 | |
Morality | 3 | 0.703 | |
Teamwork | 3 | 0.753 | |
Global | 2 | 0.377 |
측정값과 설문 자료는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4.0 (SPSS, Chicago, IL, USA)으로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개인 배경요인, 사회적 활동요인, 대학교육 만족도 간 차이검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s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미한 독립변수와 핵심역량 간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개인 배경요인은 Table 2와 같다. 성별은 남성이 93명(54.1%), 여성 79명(45.9%) 이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이 47명(27.3%), 2학년 각 20%대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편입과 전과 대상은 9명(5.2%)으로 나타났으며, 군복무 경험은 42명(24.2%)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는 취업이 150명(87.2%), 미정은 14명(8.1%)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144명(83.7%)이 전공 관련성이 있는 부분으로의 진로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지난 학기 학점 평균은 B0 65명(37.8%), B+ 53명(30.8%), A0 30명(17.4%) 순으로 나타났다. 취업 관련 자격증은 15명(8.7%)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취업 준비를 한다고 답한 집단이 89명(51.7%)으로 나타났다.
Table 2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factors.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Sex | |||||||
Male | 93 (54.1) | 3.64±0.75 | 3.53±0.77 | 3.60±0.78 | 3.89±0.72 | 3.88±0.67 | 3.27±0.73 |
Female | 79 (45.9) | 3.68±0.64 | 3.54±0.70 | 3.68±0.70 | 3.99±0.66 | 3.95±0.63 | 3.31±0.64 |
t (p) | –0.42 (0.671) | –0.05 (0.954) | –0.68 (0.494) | –0.97 (0.333) | –0.67 (0.498) | –0.39 (0.692) | |
Grade | |||||||
1 | 47 (27.3) | 3.58±0.85 | 3.43±0.81 | 3.58±0.92 | 4.00±0.80 | 3.95±0.71 | 3.26±0.90 |
2 | 43 (25.0) | 3.50±0.76 | 3.50±0.81 | 3.48±0.77 | 3.87±0.75 | 3.84±0.69 | 3.24±0.63 |
3 | 45 (26.2) | 3.80±0.51 | 3.67±0.55 | 3.82±0.55 | 4.00±0.57 | 3.96±0.60 | 3.32±0.46 |
4 | 37 (21.5) | 3.78±0.59 | 3.54±0.78 | 3.69±0.63 | 3.86±0.51 | 3.89±0.60 | 3.35±0.70 |
F (p) | 1.88 (0.134) | 0.80 (0.494) | 1.66 (0.178) | 0.48 (0.691) | 0.32 (0.811) | 0.20 (0.893) | |
Transfer | |||||||
Not applicable | 163 (94.8) | 3.64±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1±0.66 | 3.29±0.68 |
Transfer change of major | 9 (5.2) | 3.92±0.57 | 3.59±0.70 | 3.77±0.57 | 4.11±0.44 | 3.96±0.48 | 3.22±0.83 |
t (p) | –1.14 (0.253) | –0.21 (0.831) | –0.54 (0.586) | –0.75 (0.450) | –0.21 (0.829) | 0.31 (0.752) | |
Army service | |||||||
Not applicable | 130 (75.6) | 3.62±0.71 | 3.53±0.73 | 3.61±0.77 | 3.94±0.70 | 3.90±0.65 | 3.29±0.73 |
Experience | 42 (24.4) | 3.79±0.65 | 3.54±0.78 | 3.75±0.65 | 3.91±0.69 | 3.94±0.67 | 3.29±0.57 |
t (p) | –1.38 (0.169) | –0.06 (0.945) | –1.08 (0.280) | 0.29 (0.772) | –0.31 (0.753) | –0.04 (0.966) | |
Career after graduation | |||||||
Undefined | 14 (8.1) | 2.88±0.89 | 3.02±0.80 | 2.71±0.92 | 3.28±0.83 | 3.38±0.50 | 2.92±0.78 |
Work or start a business | 150 (87.2) | 3.72±0.65 | 3.57±0.72 | 3.71±0.67 | 3.99±0.65 | 3.96±0.65 | 3.29±0.66 |
Further education | 8 (4.7) | 3.87±0.56 | 3.83±0.81 | 3.91±0.70 | 4.04±0.67 | 4.04±0.57 | 4.00±0.65 |
F (p) | 10.54 (<0.001) | 4.28 (0.015)* | 13.94 (<0.001) | 7.24 (0.001)** | 5.40 (0.005)** | 6.46 (0.002)** | |
Career relevance | |||||||
Not relevant | 28 (16.3) | 3.29±0.79 | 3.20±0.82 | 3.27±0.81 | 3.65±0.75 | 3.80±0.63 | 3.21±0.69 |
Related | 144 (83.7) | 3.73±0.66 | 3.60±0.71 | 3.71±0.71 | 3.99±0.67 | 3.93±0.65 | 3.30±0.69 |
t (p) | 3.05 (0.003)** | 2.67 (0.008)** | 2.94 (0.004)** | 2.40 (0.017)* | 0.94 (0.346) | 0.66 (0.510) | |
Grade-point average | |||||||
≤C+ | 24 (14.0) | 3.08±0.86 | 3.11±0.76 | 2.98±0.86 | 3.54±0.77 | 3.65±0.68 | 3.00±0.58 |
B0 | 65 (37.8) | 3.61±0.65 | 3.36±0.69 | 3.52±0.68 | 3.83±0.65 | 3.82±0.70 | 3.32±0.63 |
B+ | 53 (30.8) | 3.83±0.50 | 3.66±0.67 | 3.82±0.54 | 4.01±0.64 | 3.97±0.52 | 3.28±0.78 |
A0≤ | 30 (17.4) | 3.92±0.73 | 4.04±0.66 | 4.12±0.65 | 4.36±0.56 | 4.22±0.63 | 3.48±0.67 |
F (p) | 8.98 (<0.001) | 10.27 (<0.001) | 14.78 (<0.001) | 7.97 (<0.001) | 4.25 (0.006)** | 2.27 (0.082) | |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 |||||||
Doesn't exist | 157 (91.3) | 3.63±0.70 | 3.52±0.74 | 3.63±0.75 | 3.92±0.69 | 3.91±0.63 | 3.27±0.69 |
Has exist | 15 (8.7) | 3.91±0.66 | 3.75±0.73 | 3.75±0.70 | 4.04±0.75 | 3.88±0.85 | 3.50±0.68 |
t (p) | –1.42 (0.155) | –1.17 (0.244) | –0.59 (0.550) | –0.60 (0.544) | 0.17 (0.864) | –1.20 (0.229) | |
Job preparation | |||||||
Not ready | 83 (48.3) | 3.42±0.71 | 3.30±0.69 | 3.42±0.75 | 3.79±0.69 | 3.84±0.64 | 3.13±0.67 |
Ready | 89 (51.7) | 3.88±0.62 | 3.75±0.72 | 3.84±0.67 | 4.07±0.67 | 3.98±0.65 | 3.43±0.68 |
t (p) | –4.39 (<0.001) | –4.11 (<0.001) | –3.78 (<0.001) | –2.60 (0.010)* | –1.41 (0.158) | –2.88 (0.004)** | |
Total | 172 (100.0) | 3.66±0.70 | 3.54±0.74 | 3.64±0.74 | 3.93±0.69 | 3.91±0.65 | 3.29±0.69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해외연수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8명(4.7%), 알바∙인턴 등 근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117명(68.0%)으로 나타났다. 취업 프로그램(취업캠프, 면접특강 등) 참여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33명(19.2%), 없다고 답한 집단이 139명(80.8%)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ocial activities (N=172).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Overseas study | |||||||
No | 164 (95.3) | 3.86±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2±0.66 | 3.29±0.69 |
Yes | 8 (4.7) | 3.75±0.52 | 3.66±0.73 | 3.83±0.50 | 4.00±0.59 | 3.75±0.49 | 3.18±0.70 |
t (p) | –0.35 (0.722) | –0.48 (0.626) | –0.72 (0.468) | –0.24 (0.803) | 0.73 (0.463) | 0.44 (0.659) | |
Work experience | |||||||
No | 55 (32.0) | 3.52±0.72 | 3.43±0.73 | 3.48±0.68 | 3.86±0.66 | 3.84±0.59 | 3.34±0.72 |
Yes | 117 (68.0) | 3.43±0.69 | 3.59±0.74 | 3.72±0.76 | 3.97±0.71 | 3.94±0.68 | 3.26±0.68 |
t (p) | –1.73 (0.085) | –1.33 (0.184) | –1.94 (0.044)* | –0.94 (0.345) | –0.93 (0.351) | 0.67 (0.5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No | 139 (80.8) | 3.57±0.69 | 3.43±0.72 | 3.53±0.74 | 3.87±0.70 | 3.84±0.64 | 3.26±0.66 |
Yes | 33 (19.2) | 4.05±0.62 | 3.97±0.66 | 4.10±0.56 | 4.22±0.61 | 4.22±0.63 | 3.39±0.80 |
t (p) | –3.62 (<0.001) | –3.92 (<0.001) | –4.07 (<0.001) | –2.63 (0.009)** | –3.04 (0.003)** | –0.92 (0.35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대학교육의 만족도는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에 대한 만족도 3.67±0.89점,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 3.67±0.8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지원제도(장학금, 봉사활동지원, 교환학생 등) 만족도가 2.61±1.1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4).
Table 4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No.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Score |
---|---|---|
1 | The number and types of lectures that can be taken | 3.49±0.84 |
2 | Class method and quality of lecture | 3.67±0.89 |
3 | Major curriculum and content | 3.67±0.89 |
4 |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library, lecture room, practice room, etc.) | 3.12±1.12 |
5 | Student support system (scholarship, volunteer activity support, exchange student, etc.) | 2.61±1.10 |
6 | Career-related counseling and employment support system (special lectures, camps, employment introduction, etc.) | 3.15±0.93 |
7 | Student welfare facilities (restaurants, shops, rest facilities, etc.) | 2.75±1.16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연구대상자의 핵심역량 점수는 Table 2와 같다. 도덕성 3.93±0.69와 팀워크의 값이 3.91±0.65로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어 능력 등과 관련한 글로벌 역량이 3.29±0.6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인 배경요인에 따른 핵심역량은 Table 2와 같다. 졸업 후 진로를 ‘대학원 진학’이라 답한 집단(8명, 4.7%)이 6개 핵심역량 모두에서 ‘미정’(14명, 8.1%), ‘취∙창업’(150명, 87.2%)이라 답한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진로 관련성에 대해 ‘관련됨’이라 답한 집단(144명, 83.7%)이 ‘관련 안됨’이라 답한 집단(28명, 16.3%)보다 창의성(p<0.01), 전문성(p<0.01), 도전정신(p<0.01), 도덕성(p<0.05)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학점 평균이 높을수록 6개 핵심역량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5, p<0.01, p<0.001), 취업 준비에 대해 ‘준비함’이라 답한 집단이 ‘준비 안함’이라 답한 집단보다 창의성, 전문성, 도전정신(p<0.001), 도덕성(p<0.05), 글로벌(p<0.01) 역량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2) 사회적 활동에 따른 핵심역량사회적 활동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를 살펴본 바 알바, 인턴 등 근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도전정신 역량 점수가 3.72±0.76로 ‘없다’고 답한 집단의 3.48±0.68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취업프로그램(취업캠프, 면접특강 등) 참여경험이 ‘있다’고 답한 집단이 ‘없다’고 답한 집단보다 창의성 4.05±0.62, 전문성 3.97±0.66, 도전정신 4.10±0.56, 도덕성 4.22±0.61, 팀워크 4.22±0.63의 5개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p<0.01, p<0.05; Table 3).
3) 대학교육 만족도 따른 핵심역량대학교육 만족도에 따른 핵심 역량의 차이 분석결과는 Table 5와 같다. 창의성, 도전정신, 도덕성, 팀워크는 학생지원제도를 제외한 대학교육 만족도 6개 항목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문성과 글로벌 역량은 학생지원제도를 포함한 대학교육 만족도 7개 항목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시 말해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핵심역량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Table 5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Variabl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2. Lecture quality | 0.72 p<0.001 | |||||||||||
3. Curriculum | 0.69 p<0.001 | 0.79 p<0.001 | ||||||||||
4. Educationsupport facility | 0.45 p<0.001 | 0.49 p<0.001 | 0.44 p<0.001 | |||||||||
5. Studentsupport system | 0.46 p<0.001 | 0.46 p<0.001 | 0.40 p<0.001 | 0.60 p<0.001 | ||||||||
6. Employmentsupport system | 0.49 p<0.001 | 0.55 p<0.001 | 0.59 p<0.001 | 0.50 p<0.001 | 0.62 p<0.001 | |||||||
7. Student welfarefacility | 0.49 p<0.001 | 0.50 p<0.001 | 0.50 p<0.001 | 0.55 p<0.001 | 0.58 p<0.001 | 0.58 p<0.001 | ||||||
8. Creativity | 0.36 p<0.001 | 0.31 p<0.001 | 0.40 p<0.001 | 0.22 p<0.001 | 0.10 0.172 | 0.21 0.004** | 0.22 0.003** | |||||
9. Professionalism | 0.44 p<0.001 | 0.37 p<0.001 | 0.45 p<0.001 | 0.28 p<0.001 | 0.19 0.012* | 0.33 p<0.001 | 0.22 0.003** | 0.67 p<0.001 | ||||
10. Challenge spirit | 0.42 p<0.001 | 0.42 p<0.001 | 0.44 p<0.001 | 0.25 0.001** | 0.10 0.189 | 0.19 0.011* | 0.22 0.003** | 0.75 p<0.001 | 0.72 p<0.001 | |||
11. Morality | 0.42 p<0.001 | 0.45 p<0.001 | 0.49 p<0.001 | 0.17 0.020* | 0.08 0.291 | 0.20 0.008** | 0.18 0.017* | 0.60 p<0.001 | 0.60 p<0.001 | 0.70 p<0.001 | ||
12. Teamwork | 0.37 p<0.001 | 0.44 p<0.001 | 0.42 p<0.001 | 0.15 0.040* | 0.10 0.157 | 0.19 0.012* | 0.15 0.037* | 0.62 p<0.001 | 0.56 p<0.001 | 0.68 p<0.001 | 0.78 p<0.001 | |
13. Global | 0.37 p<0.001 | 0.30 p<0.001 | 0.38 p<0.001 | 0.28 p<0.001 | 0.25 0.001** | 0.27 p<0.001 | 0.26 0.001** | 0.45 p<0.001 | 0.50 p<0.001 | 0.49 p<0.001 | 0.45 p<0.001 | 0.40 p<0.001 |
1. Number of lectures..
*p<0.05, **p<0.01..
6개의 핵심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 . Multiple regression.
Variable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
(Constant) | 1.46 | 0.27 | 5.35 | <0.001 | 1.08 | 0.27 | 3.87 | <0.001 | 0.94 | 0.26 | 3.62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56 | 0.17 | 0.26 | 3.12 | 0.002** | 0.26 | 0.18 | 0.11 | 1.42 | 0.155 | 0.73 | 0.17 | 0.32 | 4.29 | <0.00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59 | 0.27 | 0.17 | 2.16 | 0.032* | 0.38 | 0.27 | 0.10 | 1.38 | 0.170 | 0.81 | 0.26 | 0.23 | 3.14 | 0.002**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18 | 0.13 | 0.09 | 1.37 | 0.173 | 0.17 | 0.13 | 0.08 | 1.25 | 0.213 | 0.11 | 0.12 | 0.05 | 0.89 | 0.372 | ||
Grade-point average | 0.13 | 0.05 | 0.17 | 2.49 | 0.014* | 0.18 | 0.05 | 0.23 | 3.47 | 0.001** | 0.23 | 0.05 | 0.29 | 4.60 | <0.001 | ||
Job preparation | |||||||||||||||||
Yes | 0.22 | 0.09 | 0.16 | 2.31 | 0.022* | 0.22 | 0.10 | 0.15 | 2.23 | 0.027* | 0.13 | 0.09 | 0.08 | 1.42 | 0.158 | ||
Work experience | |||||||||||||||||
Yes | 0.14 | 0.09 | 0.09 | 1.49 | 0.136 | 0.10 | 0.09 | 0.06 | 1.01 | 0.312 | 0.15 | 0.09 | 0.09 | 1.63 | 0.1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22 | 0.11 | 0.12 | 1.91 | 0.058 | 0.23 | 0.12 | 0.12 | 1.95 | 0.053 | 0.26 | 0.11 | 0.13 | 2.30 | 0.022*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8 | 0.08 | 0.22 | 2.24 | 0.026* | 0.24 | 0.08 | 0.27 | 2.87 | 0.005** | 0.19 | 0.07 | 0.22 | 2.47 | 0.014* | ||
Lecture quality | –0.06 | 0.09 | –0.08 | –0.71 | 0.476 | –0.08 | 0.09 | –0.09 | –0.86 | 0.387 | 0.08 | 0.08 | 0.10 | 0.98 | 0.328 | ||
Curriculum | 0.13 | 0.09 | 0.16 | 1.42 | 0.156 | 0.12 | 0.09 | 0.15 | 1.31 | 0.190 | 0.07 | 0.08 | 0.08 | 0.81 | 0.414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1 | 06 | 0.01 | 0.16 | 0.869 | 0.05 | 0.06 | 0.07 | 0.92 | 0.358 | 0.04 | 0.05 | 0.06 | 0.75 | 0.452 | ||
Student support system | –0.05 | 0.06 | –0.09 | –0.95 | 0.340 | –0.03 | 0.06 | –0.05 | –0.58 | 0.561 | –0.07 | 0.05 | –0.10 | –1.27 | 0.204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7 | 0.711 | 0.15 | 0.07 | 0.18 | 2.03 | 0.044* | –0.03 | 0.06 | –0.04 | –0.46 | 0.641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47 | 0.636 | –0.07 | 0.05 | –0.11 | –1.31 | 0.191 | 0.00 | 0.05 | –0.00 | 0.06 | 0.952 | ||
R2 | 0.385 | 0.424 | 0.501 | ||||||||||||||
F (p) | 7.02 (<0.001) | 8.27 (<0.001) | 11.24 (<0.001) | ||||||||||||||
Durbin-Watson | 1.674 | 2.020 | 1.839 | ||||||||||||||
(Constant) | 1.72 | 0.26 | 6.44 | <0.001 | 2.19 | 0.26 | 8.13 | <0.001 | 1.73 | 0.29 | 5.81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47 | 0.17 | 0.23 | 2.73 | 0.007** | 0.47 | 0.17 | 0.24 | 2.68 | 0.008 | 0.13 | 0.19 | 0.06 | 0.70 | 0.48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44 | 0.26 | 0.13 | 1.67 | 0.096 | 0.49 | 0.27 | 0.16 | 1.84 | 0.068 | 0.71 | 0.29 | 0.21 | 2.40 | 0.017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07 | 0.13 | 0.04 | 0.59 | 0.554 | –0.07 | 0.13 | –0.04 | –0.53 | 0.593 | 0.08 | 0.14 | 0.04 | 0.59 | 0.554 | ||
Grade-point average | 0.14 | 0.05 | 0.18 | 2.69 | 0.008** | 0.09 | 0.05 | 0.14 | 1.87 | 0.063 | 0.05 | 0.05 | 0.06 | 0.86 | 0.390 | ||
Job preparation | |||||||||||||||||
Yes | 0.08 | 0.09 | 0.06 | 0.92 | 0.359 | –0.01 | 0.09 | –0.01 | –0.15 | 0.894 | 0.13 | 0.10 | 0.09 | 1.25 | 0.211 | ||
Work experience | |||||||||||||||||
Yes | 0.05 | 0.09 | 0.03 | 0.59 | 0.556 | 0.04 | 0.09 | 0.03 | 0.48 | 0.063 | –0.05 | 0.10 | –0.04 | –0.56 | 0.574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11 | 0.11 | 0.06 | 0.96 | 0.334 | 0.22 | 0.11 | 0.13 | 1.93 | 0.055 | –0.05 | 0.12 | –0.03 | –0.42 | 0.671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5 | 0.08 | 0.19 | 1.92 | 0.056 | 0.09 | 0.08 | 0.12 | 1.14 | 0.254 | 0.17 | 0.09 | 0.21 | 1.92 | 0.56 | ||
Lecture quality | 0.12 | 0.09 | 0.16 | 1.36 | 0.174 | 0.19 | 0.09 | 0.27 | 2.15 | 0.033* | –0.10 | 0.10 | –0.13 | –1.04 | 0.298 | ||
Curriculum | 0.18 | 0.09 | 0.23 | 2.01 | 0.045* | 0.10 | 0.09 | 0.14 | 1.13 | 0.257 | 0.17 | 0.10 | 0.22 | 1.72 | 0.086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2 | 0.06 | –0.04 | –0.45 | 0.647 | –0.05 | 0.06 | –0.08 | –0.89 | 0.375 | 0.06 | 0.06 | 0.09 | 0.99 | 0.320 | ||
Student support system | –0.06 | 0.05 | –0.10 | –1.14 | 0.254 | –0.02 | 0.05 | –0.03 | –0.38 | 0.698 | 0.03 | 0.06 | 0.04 | 0.46 | 0.642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5 | 0.723 | –0.02 | 0.07 | –0.03 | –0.30 | 0.762 | 0.02 | 0.07 | 0.03 | 0.32 | 0.750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55 | 0.582 | –0.03 | 0.05 | –0.06 | –0.69 | 0.487 | –0.01 | 0.05 | –0.02 | –0.24 | 0.806 | ||
R2 | 0.393 | 0.307 | 0.250 | ||||||||||||||
F (p) | 7.26 (<0.001) | 4.96 (<0.001) | 3.73 (<0.001) | ||||||||||||||
Durbin-Watson | 1.888 | 1.968 | 2.40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ummy; career after graduation: undefined 0. Job preparation No. 0. Work experience No. 0.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No. 0..
*p<0.05, **p<0.01..
6개의 핵심역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식의 R2는 Table 6에 제시된 바와 같으며 모두 유의미하였다(p<0.001). 통계분석 과정에서 공차와 VIF 값을 확인하여 다중공선성의 가능성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able 6에 제시된 Durbin-Watson값이 2에 가까운 것으로 볼 때, 잔차의 독립성 가정을 만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배경 요인을 살펴보면 ‘졸업 후 진로’와 ‘학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된 β값의 절대값이 영향력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때, ‘졸업 후 진로’는 창의성(진학 β=0.56, 취∙창업 β=0.59), 도전정신(진학 β=0.73, 취∙창업 β=0.81), 도덕성(진학 β=0.47), 팀워크(진학 β=0.47), 글로벌(취∙창업 β=0.71)의 5개 핵심역량에 대해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학점’은 창의성(β=0.13), 전문성(β=0.18), 도전정신(β=0.23), 도덕성(β=0.14)의 4개 핵심역량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활동요인으로는 ‘취업프로그램 참여’가 도전정신(β=0.26) 핵심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취업프로그램 참여’의 영향은 더미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참여경험이 없음’을 0, ‘참여경험이 있음’을 1로 처리하였다. 표준화된 베타 계수가 0.26으로 취업프로그램 참여경험이 있는 집단이 도전정신 핵심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의미한다.
대학교육 만족도 중 ‘들을 수 있는 강의의 수와 종류’에 대한 만족도는 창의성(β=0.18), 전문성(β=0.24), 도전정신(β=0.19) 3개의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은 팀워크(β=0.19) 핵심역량에,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은 도덕성(β=0.18) 핵심역량에, ‘진로관련 상담 및 취업지원제도‘는 전문성(β=0.15)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의 개념은 기업의 요구에 대응하는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의 핵심적 연결 개념으로 향후 직업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제반 능력을 스스로 개발 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본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8]. 치기공(학)과 주도의 핵심역량 특성을 객관적으로 유형화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지만,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단순히 특정 직무에 적합한 특정 기술이나 기능의 개념이 아니라 삶을 살아가는데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이라는 포괄적 개념임을 감안할 때, 기업 인재상의 주요 범주와 이에 해당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한 Choi [7]의 설문 도구를 통해 치기공(학)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핵심역량 점수는 팀워크의 값이 3.91±0.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어 능력 등과 관련한 글로벌 역량이 3.29±0.6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18년 대학생 대상 Kim 등[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대학생활 기간에 집단생활의 경험을 통해 팀워크 역량이 향상되고 학습을 통한 창의성과 도전정신 등의 개념적 사고가 높은 반면, 호기심이나 관심분야 지식, 자기관리 등을 포함하는 전문성과 외국어 능력을 포함한 글로벌 역량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협력과 상호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팀워크의 능력이 제조업 분야에 중요 역량이기는 하나 ‘어학 프로그램’ 및 해외 치기공산업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국제적 안목과 다양성 등을 겸비한 글로벌 역량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한다.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프로정신으로 자기관리를 해나가는 전문성 역량은 치과기공사로써 필수로 지녀야 할 중요한 역량임에도 다소 낮은 점수를 나타낸데 대해 치기공(학)과 대학생들이 전공 분야에 보다 더 관심을 갖고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2018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발표한 100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보고서에 따르면 1위는 소통, 2위는 전문성, 3위는 원칙과 신뢰, 4위는 도전정신으로 나타났으며[9], 2021 잡코리아의 시가총액 상위 50위 기업의 인재상으로는 1위 ‘도전’, 2위 ‘혁신’, 3위 ‘존중’, 4위 ‘협력과 소통’, 5위 ‘창의’로 나타났다[10]. 치기공 산업은 제조공정 기술의 혁신적 발전에 따른 새로운 시장의 창출이 중요해졌고, 여러 불안 요인을 이겨낼 적극적인 인재가 필요하다. 변화하는 인재상의 트렌드를 이해하고 사회적 필요를 대학교육에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치과의료 및 보건분야에 3D 방사선이나 구강스캐너 등이 도입되면서 의료서비스 공급방식이 변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을 대표하는 주요 분야인 3D printing, 인공지능 등이 치과보철물 제작과정에 적용되면서 치과기공의 체계와 역할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하고 발전시키는 제도적, 기술적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하고 주요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11].
주요한 통계분석 결과로는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배경 요인 중 ‘졸업 후 진로’와 ‘학점’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를 진학이나 취∙창업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의 방향성을 가이드 하는것 만으로도 여러 핵심역량 향상을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점 평균이 높을수록 핵심역량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Choi [7]의 연구에서 수업에 성실히 참여하는 학생일수록 핵심역량이 향상된다고 언급한 결과와 맥이 같다. 한편 Baek [12]의 연구에서 핵심역량의 변화가 학점과 상당 부분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것에 대해 학부 교육의 성과에 대한 준거로 학점이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학점 중심의 대학생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접근에 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13].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활동 요인으로는 ‘취업프로그램 참여’로 나타났다. 청년 취업난 속에서 대학생들의 진로 및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은 대학생들의 최초 직업세계 진입을 위한 진로결정 및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4]. Meyer와 Winer [15]의 연구에서 취업프로그램 참여 저조형 집단은 만성적인 진로 미결정 집단이라고 언급하며, 이 집단을 위한 맞춤형 진로교육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학교육 만족도 중 ‘들을 수 있는 강의의 수와 종류’, ‘수업방식과 강의의 질’, ‘전공커리큘럼 및 내용’, ‘진로관련 상담 및 취업지원제도’는 전문성 핵심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Roh는 대학 재학 중 경험한 교육인프라 및 교육과정에 관한 만족도는 졸업 후 직장의 경제적∙개인적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16], Kim [17]은 이것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고 하였다. Choi [7]는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전공커리큘럼 만족도가 역량향상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강원도의 한 대학에 재학하는 치기공(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다. 다만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유형화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인적자원 수요처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변화에 대해 대학생 개인 배경요인과 사회적 활동요인 및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 요인이 미치는 영향 및 그 관련성을 파악하여 핵심역량 증진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1.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 점수는 팀워크 3.91±0.65, 창의성 3.66±0.70, 도전정신 3.64±0.74 전문성 3.54±0.74, 글로벌 3.29±0.69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인프라의 확장을 통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진로 결정 및 준비 과정을 도와 진로의 방향성을 가이드할 필요가 있다.
3.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에 기초한 치기공(학)과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보다 다각도로 규명하는 연구와 이를 증진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None.
This paper was funded by a research grant from Kyungdong University in 2022.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Table 1 . Value of Cronbach’s α.
Core competencies | No. of questions | Cronbach’s α | Total |
---|---|---|---|
Creativity | 3 | 0.808 | 0.926 |
Professionalism | 3 | 0.730 | |
Challenge spirit | 3 | 0.793 | |
Morality | 3 | 0.703 | |
Teamwork | 3 | 0.753 | |
Global | 2 | 0.377 |
Table 2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factors.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Sex | |||||||
Male | 93 (54.1) | 3.64±0.75 | 3.53±0.77 | 3.60±0.78 | 3.89±0.72 | 3.88±0.67 | 3.27±0.73 |
Female | 79 (45.9) | 3.68±0.64 | 3.54±0.70 | 3.68±0.70 | 3.99±0.66 | 3.95±0.63 | 3.31±0.64 |
t (p) | –0.42 (0.671) | –0.05 (0.954) | –0.68 (0.494) | –0.97 (0.333) | –0.67 (0.498) | –0.39 (0.692) | |
Grade | |||||||
1 | 47 (27.3) | 3.58±0.85 | 3.43±0.81 | 3.58±0.92 | 4.00±0.80 | 3.95±0.71 | 3.26±0.90 |
2 | 43 (25.0) | 3.50±0.76 | 3.50±0.81 | 3.48±0.77 | 3.87±0.75 | 3.84±0.69 | 3.24±0.63 |
3 | 45 (26.2) | 3.80±0.51 | 3.67±0.55 | 3.82±0.55 | 4.00±0.57 | 3.96±0.60 | 3.32±0.46 |
4 | 37 (21.5) | 3.78±0.59 | 3.54±0.78 | 3.69±0.63 | 3.86±0.51 | 3.89±0.60 | 3.35±0.70 |
F (p) | 1.88 (0.134) | 0.80 (0.494) | 1.66 (0.178) | 0.48 (0.691) | 0.32 (0.811) | 0.20 (0.893) | |
Transfer | |||||||
Not applicable | 163 (94.8) | 3.64±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1±0.66 | 3.29±0.68 |
Transfer change of major | 9 (5.2) | 3.92±0.57 | 3.59±0.70 | 3.77±0.57 | 4.11±0.44 | 3.96±0.48 | 3.22±0.83 |
t (p) | –1.14 (0.253) | –0.21 (0.831) | –0.54 (0.586) | –0.75 (0.450) | –0.21 (0.829) | 0.31 (0.752) | |
Army service | |||||||
Not applicable | 130 (75.6) | 3.62±0.71 | 3.53±0.73 | 3.61±0.77 | 3.94±0.70 | 3.90±0.65 | 3.29±0.73 |
Experience | 42 (24.4) | 3.79±0.65 | 3.54±0.78 | 3.75±0.65 | 3.91±0.69 | 3.94±0.67 | 3.29±0.57 |
t (p) | –1.38 (0.169) | –0.06 (0.945) | –1.08 (0.280) | 0.29 (0.772) | –0.31 (0.753) | –0.04 (0.966) | |
Career after graduation | |||||||
Undefined | 14 (8.1) | 2.88±0.89 | 3.02±0.80 | 2.71±0.92 | 3.28±0.83 | 3.38±0.50 | 2.92±0.78 |
Work or start a business | 150 (87.2) | 3.72±0.65 | 3.57±0.72 | 3.71±0.67 | 3.99±0.65 | 3.96±0.65 | 3.29±0.66 |
Further education | 8 (4.7) | 3.87±0.56 | 3.83±0.81 | 3.91±0.70 | 4.04±0.67 | 4.04±0.57 | 4.00±0.65 |
F (p) | 10.54 (<0.001) | 4.28 (0.015)* | 13.94 (<0.001) | 7.24 (0.001)** | 5.40 (0.005)** | 6.46 (0.002)** | |
Career relevance | |||||||
Not relevant | 28 (16.3) | 3.29±0.79 | 3.20±0.82 | 3.27±0.81 | 3.65±0.75 | 3.80±0.63 | 3.21±0.69 |
Related | 144 (83.7) | 3.73±0.66 | 3.60±0.71 | 3.71±0.71 | 3.99±0.67 | 3.93±0.65 | 3.30±0.69 |
t (p) | 3.05 (0.003)** | 2.67 (0.008)** | 2.94 (0.004)** | 2.40 (0.017)* | 0.94 (0.346) | 0.66 (0.510) | |
Grade-point average | |||||||
≤C+ | 24 (14.0) | 3.08±0.86 | 3.11±0.76 | 2.98±0.86 | 3.54±0.77 | 3.65±0.68 | 3.00±0.58 |
B0 | 65 (37.8) | 3.61±0.65 | 3.36±0.69 | 3.52±0.68 | 3.83±0.65 | 3.82±0.70 | 3.32±0.63 |
B+ | 53 (30.8) | 3.83±0.50 | 3.66±0.67 | 3.82±0.54 | 4.01±0.64 | 3.97±0.52 | 3.28±0.78 |
A0≤ | 30 (17.4) | 3.92±0.73 | 4.04±0.66 | 4.12±0.65 | 4.36±0.56 | 4.22±0.63 | 3.48±0.67 |
F (p) | 8.98 (<0.001) | 10.27 (<0.001) | 14.78 (<0.001) | 7.97 (<0.001) | 4.25 (0.006)** | 2.27 (0.082) | |
Employment-related qualifications | |||||||
Doesn't exist | 157 (91.3) | 3.63±0.70 | 3.52±0.74 | 3.63±0.75 | 3.92±0.69 | 3.91±0.63 | 3.27±0.69 |
Has exist | 15 (8.7) | 3.91±0.66 | 3.75±0.73 | 3.75±0.70 | 4.04±0.75 | 3.88±0.85 | 3.50±0.68 |
t (p) | –1.42 (0.155) | –1.17 (0.244) | –0.59 (0.550) | –0.60 (0.544) | 0.17 (0.864) | –1.20 (0.229) | |
Job preparation | |||||||
Not ready | 83 (48.3) | 3.42±0.71 | 3.30±0.69 | 3.42±0.75 | 3.79±0.69 | 3.84±0.64 | 3.13±0.67 |
Ready | 89 (51.7) | 3.88±0.62 | 3.75±0.72 | 3.84±0.67 | 4.07±0.67 | 3.98±0.65 | 3.43±0.68 |
t (p) | –4.39 (<0.001) | –4.11 (<0.001) | –3.78 (<0.001) | –2.60 (0.010)* | –1.41 (0.158) | –2.88 (0.004)** | |
Total | 172 (100.0) | 3.66±0.70 | 3.54±0.74 | 3.64±0.74 | 3.93±0.69 | 3.91±0.65 | 3.29±0.69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Table 3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ocial activities (N=172).
Variable | N (%) | Core competencies | |||||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Morality | Teamwork | Global | ||
Overseas study | |||||||
No | 164 (95.3) | 3.86±0.71 | 3.53±0.74 | 3.63±0.75 | 3.93±0.70 | 3.92±0.66 | 3.29±0.69 |
Yes | 8 (4.7) | 3.75±0.52 | 3.66±0.73 | 3.83±0.50 | 4.00±0.59 | 3.75±0.49 | 3.18±0.70 |
t (p) | –0.35 (0.722) | –0.48 (0.626) | –0.72 (0.468) | –0.24 (0.803) | 0.73 (0.463) | 0.44 (0.659) | |
Work experience | |||||||
No | 55 (32.0) | 3.52±0.72 | 3.43±0.73 | 3.48±0.68 | 3.86±0.66 | 3.84±0.59 | 3.34±0.72 |
Yes | 117 (68.0) | 3.43±0.69 | 3.59±0.74 | 3.72±0.76 | 3.97±0.71 | 3.94±0.68 | 3.26±0.68 |
t (p) | –1.73 (0.085) | –1.33 (0.184) | –1.94 (0.044)* | –0.94 (0.345) | –0.93 (0.351) | 0.67 (0.5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No | 139 (80.8) | 3.57±0.69 | 3.43±0.72 | 3.53±0.74 | 3.87±0.70 | 3.84±0.64 | 3.26±0.66 |
Yes | 33 (19.2) | 4.05±0.62 | 3.97±0.66 | 4.10±0.56 | 4.22±0.61 | 4.22±0.63 | 3.39±0.80 |
t (p) | –3.62 (<0.001) | –3.92 (<0.001) | –4.07 (<0.001) | –2.63 (0.009)** | –3.04 (0.003)** | –0.92 (0.35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p<0.05, **p<0.01..
Table 4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No.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Score |
---|---|---|
1 | The number and types of lectures that can be taken | 3.49±0.84 |
2 | Class method and quality of lecture | 3.67±0.89 |
3 | Major curriculum and content | 3.67±0.89 |
4 |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library, lecture room, practice room, etc.) | 3.12±1.12 |
5 | Student support system (scholarship, volunteer activity support, exchange student, etc.) | 2.61±1.10 |
6 | Career-related counseling and employment support system (special lectures, camps, employment introduction, etc.) | 3.15±0.93 |
7 | Student welfare facilities (restaurants, shops, rest facilities, etc.) | 2.75±1.16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Table 5 .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Variabl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2. Lecture quality | 0.72 p<0.001 | |||||||||||
3. Curriculum | 0.69 p<0.001 | 0.79 p<0.001 | ||||||||||
4. Educationsupport facility | 0.45 p<0.001 | 0.49 p<0.001 | 0.44 p<0.001 | |||||||||
5. Studentsupport system | 0.46 p<0.001 | 0.46 p<0.001 | 0.40 p<0.001 | 0.60 p<0.001 | ||||||||
6. Employmentsupport system | 0.49 p<0.001 | 0.55 p<0.001 | 0.59 p<0.001 | 0.50 p<0.001 | 0.62 p<0.001 | |||||||
7. Student welfarefacility | 0.49 p<0.001 | 0.50 p<0.001 | 0.50 p<0.001 | 0.55 p<0.001 | 0.58 p<0.001 | 0.58 p<0.001 | ||||||
8. Creativity | 0.36 p<0.001 | 0.31 p<0.001 | 0.40 p<0.001 | 0.22 p<0.001 | 0.10 0.172 | 0.21 0.004** | 0.22 0.003** | |||||
9. Professionalism | 0.44 p<0.001 | 0.37 p<0.001 | 0.45 p<0.001 | 0.28 p<0.001 | 0.19 0.012* | 0.33 p<0.001 | 0.22 0.003** | 0.67 p<0.001 | ||||
10. Challenge spirit | 0.42 p<0.001 | 0.42 p<0.001 | 0.44 p<0.001 | 0.25 0.001** | 0.10 0.189 | 0.19 0.011* | 0.22 0.003** | 0.75 p<0.001 | 0.72 p<0.001 | |||
11. Morality | 0.42 p<0.001 | 0.45 p<0.001 | 0.49 p<0.001 | 0.17 0.020* | 0.08 0.291 | 0.20 0.008** | 0.18 0.017* | 0.60 p<0.001 | 0.60 p<0.001 | 0.70 p<0.001 | ||
12. Teamwork | 0.37 p<0.001 | 0.44 p<0.001 | 0.42 p<0.001 | 0.15 0.040* | 0.10 0.157 | 0.19 0.012* | 0.15 0.037* | 0.62 p<0.001 | 0.56 p<0.001 | 0.68 p<0.001 | 0.78 p<0.001 | |
13. Global | 0.37 p<0.001 | 0.30 p<0.001 | 0.38 p<0.001 | 0.28 p<0.001 | 0.25 0.001** | 0.27 p<0.001 | 0.26 0.001** | 0.45 p<0.001 | 0.50 p<0.001 | 0.49 p<0.001 | 0.45 p<0.001 | 0.40 p<0.001 |
1. Number of lectures..
*p<0.05, **p<0.01..
Table 6 . Multiple regression.
Variable | Creativity | Professionalism | Challenge spirit | ||||||||||||||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B | SE | β | t | p-value | |||
(Constant) | 1.46 | 0.27 | 5.35 | <0.001 | 1.08 | 0.27 | 3.87 | <0.001 | 0.94 | 0.26 | 3.62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56 | 0.17 | 0.26 | 3.12 | 0.002** | 0.26 | 0.18 | 0.11 | 1.42 | 0.155 | 0.73 | 0.17 | 0.32 | 4.29 | <0.00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59 | 0.27 | 0.17 | 2.16 | 0.032* | 0.38 | 0.27 | 0.10 | 1.38 | 0.170 | 0.81 | 0.26 | 0.23 | 3.14 | 0.002**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18 | 0.13 | 0.09 | 1.37 | 0.173 | 0.17 | 0.13 | 0.08 | 1.25 | 0.213 | 0.11 | 0.12 | 0.05 | 0.89 | 0.372 | ||
Grade-point average | 0.13 | 0.05 | 0.17 | 2.49 | 0.014* | 0.18 | 0.05 | 0.23 | 3.47 | 0.001** | 0.23 | 0.05 | 0.29 | 4.60 | <0.001 | ||
Job preparation | |||||||||||||||||
Yes | 0.22 | 0.09 | 0.16 | 2.31 | 0.022* | 0.22 | 0.10 | 0.15 | 2.23 | 0.027* | 0.13 | 0.09 | 0.08 | 1.42 | 0.158 | ||
Work experience | |||||||||||||||||
Yes | 0.14 | 0.09 | 0.09 | 1.49 | 0.136 | 0.10 | 0.09 | 0.06 | 1.01 | 0.312 | 0.15 | 0.09 | 0.09 | 1.63 | 0.103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22 | 0.11 | 0.12 | 1.91 | 0.058 | 0.23 | 0.12 | 0.12 | 1.95 | 0.053 | 0.26 | 0.11 | 0.13 | 2.30 | 0.022*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8 | 0.08 | 0.22 | 2.24 | 0.026* | 0.24 | 0.08 | 0.27 | 2.87 | 0.005** | 0.19 | 0.07 | 0.22 | 2.47 | 0.014* | ||
Lecture quality | –0.06 | 0.09 | –0.08 | –0.71 | 0.476 | –0.08 | 0.09 | –0.09 | –0.86 | 0.387 | 0.08 | 0.08 | 0.10 | 0.98 | 0.328 | ||
Curriculum | 0.13 | 0.09 | 0.16 | 1.42 | 0.156 | 0.12 | 0.09 | 0.15 | 1.31 | 0.190 | 0.07 | 0.08 | 0.08 | 0.81 | 0.414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1 | 06 | 0.01 | 0.16 | 0.869 | 0.05 | 0.06 | 0.07 | 0.92 | 0.358 | 0.04 | 0.05 | 0.06 | 0.75 | 0.452 | ||
Student support system | –0.05 | 0.06 | –0.09 | –0.95 | 0.340 | –0.03 | 0.06 | –0.05 | –0.58 | 0.561 | –0.07 | 0.05 | –0.10 | –1.27 | 0.204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7 | 0.711 | 0.15 | 0.07 | 0.18 | 2.03 | 0.044* | –0.03 | 0.06 | –0.04 | –0.46 | 0.641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47 | 0.636 | –0.07 | 0.05 | –0.11 | –1.31 | 0.191 | 0.00 | 0.05 | –0.00 | 0.06 | 0.952 | ||
R2 | 0.385 | 0.424 | 0.501 | ||||||||||||||
F (p) | 7.02 (<0.001) | 8.27 (<0.001) | 11.24 (<0.001) | ||||||||||||||
Durbin-Watson | 1.674 | 2.020 | 1.839 | ||||||||||||||
(Constant) | 1.72 | 0.26 | 6.44 | <0.001 | 2.19 | 0.26 | 8.13 | <0.001 | 1.73 | 0.29 | 5.81 | <0.001 | |||||
Career after graduation | |||||||||||||||||
Further education | 0.47 | 0.17 | 0.23 | 2.73 | 0.007** | 0.47 | 0.17 | 0.24 | 2.68 | 0.008 | 0.13 | 0.19 | 0.06 | 0.70 | 0.481 | ||
Work or start a business | 0.44 | 0.26 | 0.13 | 1.67 | 0.096 | 0.49 | 0.27 | 0.16 | 1.84 | 0.068 | 0.71 | 0.29 | 0.21 | 2.40 | 0.017 | ||
Career relevance | |||||||||||||||||
Related | 0.07 | 0.13 | 0.04 | 0.59 | 0.554 | –0.07 | 0.13 | –0.04 | –0.53 | 0.593 | 0.08 | 0.14 | 0.04 | 0.59 | 0.554 | ||
Grade-point average | 0.14 | 0.05 | 0.18 | 2.69 | 0.008** | 0.09 | 0.05 | 0.14 | 1.87 | 0.063 | 0.05 | 0.05 | 0.06 | 0.86 | 0.390 | ||
Job preparation | |||||||||||||||||
Yes | 0.08 | 0.09 | 0.06 | 0.92 | 0.359 | –0.01 | 0.09 | –0.01 | –0.15 | 0.894 | 0.13 | 0.10 | 0.09 | 1.25 | 0.211 | ||
Work experience | |||||||||||||||||
Yes | 0.05 | 0.09 | 0.03 | 0.59 | 0.556 | 0.04 | 0.09 | 0.03 | 0.48 | 0.063 | –0.05 | 0.10 | –0.04 | –0.56 | 0.574 | ||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 |||||||||||||||||
Yes | 0.11 | 0.11 | 0.06 | 0.96 | 0.334 | 0.22 | 0.11 | 0.13 | 1.93 | 0.055 | –0.05 | 0.12 | –0.03 | –0.42 | 0.671 | ||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 |||||||||||||||||
Number of lectures | 0.15 | 0.08 | 0.19 | 1.92 | 0.056 | 0.09 | 0.08 | 0.12 | 1.14 | 0.254 | 0.17 | 0.09 | 0.21 | 1.92 | 0.56 | ||
Lecture quality | 0.12 | 0.09 | 0.16 | 1.36 | 0.174 | 0.19 | 0.09 | 0.27 | 2.15 | 0.033* | –0.10 | 0.10 | –0.13 | –1.04 | 0.298 | ||
Curriculum | 0.18 | 0.09 | 0.23 | 2.01 | 0.045* | 0.10 | 0.09 | 0.14 | 1.13 | 0.257 | 0.17 | 0.10 | 0.22 | 1.72 | 0.086 | ||
Education support facility | –0.02 | 0.06 | –0.04 | –0.45 | 0.647 | –0.05 | 0.06 | –0.08 | –0.89 | 0.375 | 0.06 | 0.06 | 0.09 | 0.99 | 0.320 | ||
Student support system | –0.06 | 0.05 | –0.10 | –1.14 | 0.254 | –0.02 | 0.05 | –0.03 | –0.38 | 0.698 | 0.03 | 0.06 | 0.04 | 0.46 | 0.642 | ||
Employment support system | –0.02 | 0.07 | –0.03 | –0.35 | 0.723 | –0.02 | 0.07 | –0.03 | –0.30 | 0.762 | 0.02 | 0.07 | 0.03 | 0.32 | 0.750 | ||
Student welfare facility | –0.02 | 0.05 | –0.04 | –0.55 | 0.582 | –0.03 | 0.05 | –0.06 | –0.69 | 0.487 | –0.01 | 0.05 | –0.02 | –0.24 | 0.806 | ||
R2 | 0.393 | 0.307 | 0.250 | ||||||||||||||
F (p) | 7.26 (<0.001) | 4.96 (<0.001) | 3.73 (<0.001) | ||||||||||||||
Durbin-Watson | 1.888 | 1.968 | 2.40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ummy; career after graduation: undefined 0. Job preparation No. 0. Work experience No. 0. Participation in employment programs No. 0..
*p<0.05, **p<0.01..
Hye-Eun Lee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4; 46(3): 126-132 https://doi.org/10.14347/jtd.2024.46.3.126Hye-Eun Lee, Hag Ryong Moon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2; 44(2): 47-52 https://doi.org/10.14347/jtd.2022.44.2.47Ju Young Choi, Im-Sun Kim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2021; 43(4): 186-193 https://doi.org/10.14347/jtd.2021.43.4.186